일요일(10/20),홀로고령산을오른다.
보광사토담을타고오르는담쟁이덩쿨이가을햇살에불콰하게물들어간다.
보광사는경기도파주고령산기슭너른터에자리한천년고찰이다.
기록을살펴보면
고려시대고종2년(1215)원진국사가중창했고법민대사가불보살5위를봉안했으며
우왕14년(1388)무학대사가삼창했다.
임진왜란으로전소된것을광해군14년(1622)설미,덕인스님이복원하였다.
고령산(622m)은파주시광탄면과양주군장흥계곡에걸쳐있다.
등산로표시가제대로되어있지않다.
대체로행정구역경계선에위치한산들이그러하다.
산능선에군사시설들이많아한동안출입이통제되었던산이라더욱그러하다.
보광사계곡은사방댐공사로파헤쳐놓아들머리찾기가쉽지않다.
산에들면늘만나던이정표가새삼그립다.
다행히산속으로들자,산길이뚜렷하다.
인적없는한적한골짜기를유유자적걷는기분,최고의자유다.
어머니가아기를잉태한지열달이되면
바야흐로아기가태어나게되나니만약효순한아들이라면
주먹을쥐어합장하고나와서어머니의몸을상하지않게한다.
만약오역죄를범할아들이라면
어머니의포태(胞胎)를제치고손으로는어머니의간과염통을움켜쥐고
다리로는어머니의엉덩이뼈를밟아서
어머니는마치일천개의칼로배를저미고
일만개의칼날로염통을쑤시는듯한고통을느끼게된다.
~~~~
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독경소리가고명산산자락을휘감는다.
멀어졌다가다시가깝게,미풍에실려골골마다스민다.
뼈속까지파고드는’부모은중경’이구구절절섧다.
고갤들어올려다보니어느새도솔암이다.
인기척없이고요한암자뜰에는낙엽만이이리저리흩날린다.
불사중이라어수선하다.
노송옆좁은길을따라앵무봉기슭으로올라붙는다.
손대면핏빛이묻어날것만같은진홍빛단풍잎사이로
간간히가을햇살이파고든다.
더없이걷기좋은계절,붙들어두고싶다.
앵무봉(鸚鵡峯)은앵무새가마주보고있는듯하다하여
붙여진이름이라하는데…귀엽게잘도갖다붙였다.
귀여운봉우리이름과는달리,앵무봉정상은군안테나가버티고서있다.
정상석은군시설물아래한귀퉁이에초라하게박혀있고
지뢰매설지역임을알리는경고판이서늘하게나붙어있다.
서울근교산들중에서도’왕따’군에속하는산이지만
산정에서의조망은여느명산안부럽다.
西로는파주너른들판이발아래펼쳐지고,
南으로는사패산,도봉산,삼각산이장쾌하고,
北으로는멀리감악산이가물거린다.
(불곡산에도,감악산에도임꺽정봉이있어서하는야그^^)
이정표가없어오로지오르기전,머릿속에입력해둔
등로를되새겨가며어름어름수구암방향을가늠해내려선다.
이정표도,물어볼사람도없다.
왼쪽으로내려서면보광사에바로닿을것같아
좀더걷는편을택해곧장걷기로했다.
결국찾고자한수구암은놓치고보광사를가운데두고
한바퀴빙돌아나온셈이다.
천년고찰임을증명이라도하듯빛바랜단청의대웅보전이지엄하다.
만개한연꽃,알수없는짐승을탄승려등벽화가발길을붙들어세운다.
정수리위엔뱃속이텅빈커다란목어가떠있다.
대웅보전너머로봉긋한앵무봉이잘가라손짓하고.
사하촌(寺下村)평상으로옮겨앉아산채비빔밥에동동주한사발로
고령산앵무봉홀로산행을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