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봉오거리’가궁금했다.
구로공단반세기를기념하여’가리봉오거리’를
서울역사박물관안으로옮겨다놓았다.
박물관측은"지난시대구로공단에서젊음을보낸수많은분들의땀과꿈,
인고와열망을나누고자특별전을기획했다"고한다.
더하여"이를통해오늘의우리가이들에게빚지고있음을기억하고자함"이란다.
허허벌판이던구로구가리봉동에공장돌아가는소리가
들리기시작한것은1974년4월부터다.
이후순차적으로2,3공단이들어섰다.
전국에서소녀소년들이60여만평의구로공단으로꾸역꾸역모여들었다.
그렇게10만명의고사리손이모여거대구로공단은쉴새없이돌아갔다.
이렇듯누군가에게는’수출증진의거점’이,누군가에게는’일생일대의기회’가,
또누군가에겐’집안유일의밥줄’이던구로공단이었다.
구로공단이쌩쌩돌아가던70~80년대,’가리봉오거리’를줄여’가오리’로,
이일대를통칭하여’가리베가스’라불렀다.
가리봉과라스베가스를조합한말이다.
그만큼젊은이들로넘쳐날만큼북적이던곳이다.
당시구로공단에서좀’논다’하는젊은이들이다모이는’핫플레이스’였다.
공단기숙사에서외출이허용된수요일과외박이가능한주말,
그리고월급날인월말이되면가리봉시장일대까지사람들로넘쳐났다.
커플끼리데이트를즐기고,고고장에서스트레스를날리고,
음악다방을찾아DJ박스에’긴머리소녀’를신청하고,
꼬박모은돈으로양품점에들러원피스를만지작거리는등
고단한삶을잊게하는소소한기쁨도가득했다.
이젠옌벤거리로불리는우마길과가리봉시장은중국어로된
간판들이넘쳐나마치중국의어느거리를축소해놓은듯하다.
역사박물관벽면에’가리봉오거리’대형플래카드가내걸려있다.
종로새문안로에서만난’가리봉오거리’가자못흥미롭다.
전시장안은타임머신을타고시간을거슬러온느낌이다.
구로공단시절,시골서올라온어린소녀들은대개회사기숙사에
거주했으나그렇지못한경우엔’벌집’또는’닭장집’이라불리는곳에
보통서너명이돈모아한방에모여살았다.
그’벌집’이그대로재현되어있다.2평남짓좁은방이다.
부엌엔석유곤로가,방엔비키니옷장과앉은뱅이상이,
벽면엔작업복이걸려있다.단출한세간이다.
출근준비시간이면좁은마당에복작대며공용화장실앞에길게줄을서던
‘벌집’이었다.
지금은주로4~50대일용직근로자들이새벽바람에옷깃여미며문을빠져
나갔다가지친몸을이끌고늦은저녁에들어와몸을뉘는곳이돼버렸다.
억척으로일했지만살림살이는늘팍팍했다.
1982년구로공단에있던대우어패럴근로자의1일평균임금은2,920원,
효성물산은3,000원이었다.
당시일반미중품8kg이6,000원,영화요금이1,500원,목욕비가800원이었던걸
감안하면기본적생활이어려울만큼빠듯한수준이다.
고향의가족을부양해야하는입장인근로자들은잔업수당을통해서라도
악착같이돈을모았다.월급은대체로식비,기숙사비,월세로지출되었고
의류나미용비로도간간이나갔다.
월급날이되면화장품외판원들이공장정문앞으로와서
외상값을받아가는진풍경이벌어지곤했다.
2015년현재디지털산업단지의모습은구로공단시절보다더분주하다.
구로,가산,금천의이니셜을따’G밸리’로불리는이곳은
지금도변신을거듭하고있다.
건물외관도,사람모습도,근무환경도크게달라졌다.
출퇴근시간이면가산디지털단지역은직장인들로북새통이다.
작업복에스카프를쓴女工은사라지고청바지에로퍼를신은젊은이들이
아메리카노를들고오피스타워속으로사라진다.
매일매일상전벽해를실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