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he called constructor method for WP_Widget is deprecated since version 4.3.0! Use
__construct()
instead.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新냉전의 씨앗… 동유럽·아시아의 ‘러시아 디아스포라(diaspora·이주민)’ - 중동 천일야화
新냉전의 씨앗… 동유럽·아시아의 ‘러시아 디아스포라(diaspora·이주민)’

新냉전의 씨앗… 동유럽·아시아의 ‘러시아 디아스포라(diaspora·이주민)’

2014032600115_0.jpg

우크라·조지아·몰도바 등… 러시아계 주민 2000만명 푸틴 지지층으로 떠올라

러 경제 빠르게 회복하면서… 러시아계, 최근 귀속 열망 커져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 조지아(러시아명 그루지야)의 남오세티야, 몰도바의 트란스니스트리아. 러시아의 팽창주의로 인한 이들 분쟁 지역에는 공통점이 있다. 러시아계 주민 비중이 30~58%에 이른다는 점이다. 이들 지역은 약속한 것처럼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연출하고 있다. ①러시아계 주민들이 지역 독립과 러시아 합병을 요구한다. ②중앙정부에서 이를 거부하면 지역 자경단이나 무장 단체들이 갈등을 증폭시킨다. ③러시아는 국경 지역에 병력을 파견해서 ‘무력시위’로 호응한다. ④결국 이들 지역은 독립이나 러시아 합병을 선언한다.

2008년 남오세티야와 올해 크림반도 사태가 모두 같은 전철을 밟았다. ‘제2의 크림 사태’가 우려되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도 최근 러시아계 주민들이 러시아 귀속을 요구하는 주민투표 실시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 분쟁 지역을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가 ‘러시아 디아스포라(diaspora·이주민)’다.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러시아를 조국으로 여기는 2000만명의 러시아계 주민을 말한다. 전 세계의 러시아계(2700만명)의 74%에 해당하는 이들의 ‘러시아 귀소본능(歸巢本能)’이 러시아의 팽창을 꿈꾸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층이 되어 분쟁을 촉발하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분석한다.

러시아인들의 이주가 본격화한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서유럽에 비해 뒤늦게 산업화에 나선 러시아는 이때부터 광물자원이 풍부한 우랄산맥과 우크라이나로 러시아계 이주민 숫자를 늘렸다. 1922년 소련 결성 이후에는 군사 대국화를 위해 우크라이나와 카자흐스탄 등 연방국 각지로 고급 기술자·군사 훈련관·무역관 등을 내보냈다. 구리·철광석 등 지하자원이 많은 카자흐스탄에는 1950~1960년대 550만명(현재 407만명)의 러시아계 주민이 거주했다.

1930~1940년대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구구성 자체가 달라진 지역도 많다. 크림반도에 살던 타타르인 20만명과 조지아의 터키·쿠르드족 9만명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했다. 그 자리는 자연스럽게 러시아계 주민들이 채웠다. 1959년 크림반도의 러시아계 주민은 71%(현재 58%)에 육박했다.

이들 러시아계 주민들이 1991년 소련 해체 당시에는 잠잠했다가, 최근 ‘러시아 귀속’을 주장하고 나선 이유는 뭘까. 그 해답은 러시아의 경제 회복에 있다는 것이 전문가 분석이다. 러시아는 1998년 모라토리엄(moratorium·채무지불유예)을 선언할 정도로 극심한 경제난에 빠졌다. 하지만 2000년대 고유가 시대가 되면서 러시아는 원유와 천연가스를 앞세워 빠르게 경제 회복을 이뤘다. 1999년 12.6%였던 실업률은 2006년 7%대로 떨어졌다. 2005년에는 연평균 경제성장률 6%와 외환 보유고 2257억달러(세계 4위권)를 기록하며 다른 옛 소련 연방국의 부러움을 샀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든든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과거 연방국에 ‘돈 보따리’를 풀면서 자신의 세력권으로 끌어들였다. 경기 침체에 빠진 벨라루스에 지난해 20억달러(약 2조1500억원)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푸틴은 2015년 1월에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경제 공동체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을 출범시킨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大)러시아’ 경제 공동체의 부활에 동유럽·중앙아시아의 러시아계 주민들이 호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노석조 기자 stonebird@chosun.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