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루시 바턴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9월
‘올리브 키터리지’ 란 책을 접하고 다시 만나보는 작가의 신작이다.
보통 책을 읽으면서 어떤 커다란 줄거리 속에 포함된 주된 내용들을 따라가며 전개과정을 즐기는 편이기에 이 작가처럼 커다란 흐름의 변동 없이 잔잔한 물결처럼 흐르게 쓰인 글들을 읽노라면 이야기의 방향을 잡기가 어렵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럼에도 여전히 그녀의 신작에 대한 목마름은 뭐랄까, 그저 스치듯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이야기들을 적절히 고루 배합해 가면서 보이는 그녀만의 글에 대한 매혹을 뿌리칠 수 없음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 또한 줄거리를 말하라면 어떤 큰 포인트를 꼬집어 내기가 쉽지 않은 그저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곁에서 들은 것이 아닌 읽는다는 느낌에 속한다고 말하고 싶다.
누구나 자신만의 인생 이야기를 지니고 살아간다.
인생의 최대 고비와 희로애락을 통해서 성장해가는 인생의 노선을 생각해 본다면 누구나 겪을 수 있었을 시대적인 배경과 함께 어떤 환경에서 자라나는냐에 따라 저마다 다른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다는 사실, 그렇기에 어쩌면 소설이 지닌 힘의 첫 시작은 인생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소재로 출발점으로 시작한다는 의미가 크게 부여됨을 느끼게 된다.
책은 ‘기억’이란 것에 의지하며 회상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된다.
맹장수술과 뜻하지 않게 길어진 병원 입원의 생활을 하게 된 루시 바턴이란 여작가의 이야기는 그녀가 입원한 병원에 친정엄마가 병간호를 해주기 위해 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서부터 진행이 된다.
지독히도 가난했던 차고에서 살았던 어린 시절의 회상, 냄새난다고 손가락질당하는 한편 그런 환경에 처한 것을 몰랐던 부모, 게이인 오빠와 언니와의 학교 생활은 어린 시절의 아픔이자 성장하는 루시에게 있어서 이 곳을 벗어나게 된 주된 동기로 작용한다.
오로지 따뜻함을 간직하고자 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숙제와 책 일기를 했던 루시, 덕분에 대학까지 진학하고 남편을 만나 두 딸과 함께 뉴욕이란 도시에서 살아가는, 타인들의 눈에 보기엔 어느 집에서나 볼 수 있는 그렇고 그런 가정의 모습이다.
하지만 루시가 엄마와의 대화를 통해 서로 간의 쌓이고 쌓인 해포는 풀어보지 못한다.
그것이 부모와의 왕래를 끊다시피 하고 형제지간의 연락을 두절하고 살아가는 루시라는 여인에게는 하나의 환경에서 온, 그다지 친근했던 기억조차 없었던 가정의 분위기 탓과 엄마와 자신의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오는 서먹함이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누구나 자신의 인생을 돌아다보게 될 기회가 있을 때면 어린 시절의 과거로의 여행 속에 좋았던 기억, 하고 싶지 않은 기억,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간직하는 기억들이 공존한다.
이 책에는 시대적인 흐름인 1980년대를 관통하면서 살아가는 루시가 있고 그 시대에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변화와 그 이후에 벌어지는 9.11 사태까지를 관통하면서 그녀 자신이 알고 지냈던 이웃인 제레미가 동성애자란 사실과 그의 죽음을 알게 된 뒤늦은 사실, 남편과 끝까지 해후를 하지 못한 이혼의 아픔과 남겨진 딸들과의 왕래를 그리는 이야기들이 담담히 기억에 의존한 채 서술해 나간다.
내가 나 자신을 가장 잘 들여다보는 계기는 무엇일까?
어떤 계기를 통해서 이런 시간들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루시처럼 엄마에게 적극적인 애정공세도, 그런 애정 행동과 말에 호응을 보이지 않았던 엄마, 엄마의 죽음을 계기로 다시 만나는 아버지와의 해후는 자신이 돌아보지 않길 원했어도 여전히 그녀의 삶에 침투해 있는 ‘가족’이란 의미를 버릴 수 없다는 사실, 가까이 느껴질 만도 했던 엄마였지만 속내 깊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둘이 아는 주위 사람들에 대한 추억과 최근의 소식들을 통해 간간히 나누는 대화만이 유일했다는 사실에서 과연 루시는 엄마를 이해할 수 있었을까? 아니면 엄마 또한 루시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이해를 하고나 있었을까를 물어보고 싶게 만든다.
사는 곳은 달라도 저자가 이전의 작품에서도 보였던 인간 중심의 이야기,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다각적인 방면의 이야기들은 미국에 한정된 것만이 아닌 우리 주위에서도 얼마든지 느껴 볼 수 있는 글이란 생각을 해 본다.
– “지금은 내 인생도 완전히 달라졌기에, 어린 시절을 돌이켜보며 이런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다.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고. 어쩌면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을 거라고. 하지만 햇살이 내리쬐는 보도를 걷거나 바람에 휘는 나무 우듬지를 볼 때, 또는 이스트 강 위로 나지막이 걸린 11월의 하늘을 바라볼 때, 내 마음이 갑자기 어둠에 대한 앎으로 가득 차는 순간들이? 예기치 않게? 찾아오기도 한다.” _p 21
루시처럼 좋았던 기억도 있지만 엄마로서의 루시가 느끼는 자식에 대한 미안함은 가슴 한편이 뭉클하게 아파오게 만드는 인생의 이야기라서 인상적으로 남는다.
– 얼마 전에 크러시가 내 지금의 남편에 대해 말했다. “아저씨가 좋아요. 엄마. 하지만 아저씨가 잠을 자다 죽고 새엄마도 죽어서 엄마와 아빠가 다시 합치면 좋겠어요.” 나는 아이의 정수리에 키스한 뒤 생각했다. 내가 내 아이에게 이런 짓을 했구나. -p 217
인생이란 마냥 좋을 수만을 없다는 것을 살아가면서 더욱 느낀다면 나이가 들었다는 탓만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우리 모두 루시가 기억하고 있는 기억을 같이 더듬어봄으로써 나 자신의 인생 또한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사실, 기억의 한 조각 한 조각들이 모여 인생이란 커다란 모자이크를 이룬다는 점에서 여전히 저자가 그리는 이 책은 많은 공감을 받게 했다.
그렇기에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나 자신에 대한 이해도 나 자신 스스로 알 수가 없다는 사실, 하물며 타인에 대한 잣대를 세우고 평가하고 이해하기란 어렵다는 사실을 깨우쳐주기에 세상에 던져진 나 자신, 루시는 물론이고 우리 모두는 루시 바턴이란 이름, 각자의 이름으로 세상을 향한 손길을 멈추어선 안될 것 같다.
내 이름은 루시 바턴, 어느 드라마의 제목처럼 내 이름은 김삼순뿐만이 아닌 우리 모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이름을 걸고 인생을 더욱 뜻깊게 살아봐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