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혀 –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권정현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0월
해마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여러 문학상들이 있지만 유독 이 상을 수상한 작품을 해마다 거르지 않고 읽게 되는 것은 이미 고인이 된 저자의 문학의 느낌 여운이 남아있다고나 할까?
거기에 더해 계속 한국 문학 창작의 변주를 통해 다양한 시도를 접목하려는 작가들의 신선함이 나와는 잘 맞는다는 느낌이 들어서 더욱 그러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요즘 방송에서 요리 프로그램이 정말 많다.
TV를 틀게 되면 배꼽시계가 어떻게 배고픈 줄을 알고 그 시간에 맞춰 방송을 해주는지…
보다 보면 밥상머리에 있는 음식은 멀리하게 되고 오히려 군침이 돌게 만드는 음식 프로그램에 빠져들게 되는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인간의 먹고자 하는 욕구, 특히 식욕은 성욕과도 맞먹는다는 말이 있던데, 이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세 인물의 동선은 ‘요리’와 ‘칼’, 특히 ‘혀’와 상반되는 ‘칼’과의 극명한 대립을 그렸다는 점에서 타 수상작에 비해 강한 인상을 심어줬다.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품인 이 책 속의 배경은 1945년 일제 패망 직전의 붉은 땅 만주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을 싫어하는 일본 관동군 사령관 모리, 책 속에서 유일한 실존인물로 나온다.
그가 머물고 있는 곳에 그를 암살하려고 작심한 중국인 요리사 첸이 붙잡힌다.
중국 지하운동원인 그의 목표가 실패로 끝남에 따라 자신의 목숨이 붙어있질 않을 것이란 기대와는 달리 모리는 그를 살려주되 요리사라 했으니 정말 맛난 요리를 하는 조건으로 그를 살려준다.
시시각각 조여 오는 매끼 한 순간마다 요리를 해야 하는 두려움 속에 자신의 천재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첸, 그런 그에게는 조선인 아내가 있다.
길순-
청진에서 아버지를 뒤로하고 독립운동하는 오빠를 찾아가려다 위안부 생활을 하게 된 여인, 첸의 도움으로 극적으로 도망치지만 길순의 목적 또한 첸과 다르지 않다.
책은 세 인물이 생각하는 전쟁에 대한 생각과 자신들이 해야 할 의무와 목적을 앞에 두고 생각하는 것을 보이는 과정을 통해 당시의 패망 직전의 일본인들의 생각, 이 기회를 이용해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다 혀를 잘리고 그러면서도 결국 다시 모리의 요리 요청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던 첸, 모리의 현지처처럼 살아가는 길순이 오빠의 독립 지시를 따르기 위해 모리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들까지 요리의 여러 가지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소개와 과정이 함께 곁들여져 앙상블을 이룬다.
어릴 적 엄마의 음식인 분고규에 대한 맛을 잊지 못하는 모리는 맛과 미륵불의 미(美)에 대한 관심을 통해 전쟁 중인 현 상황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 그러한 모리를 향해 자신의 음식 솜씨를 통해 서서히 천연의 자연 맛이 아닌 사람의 손 맛에 길들여져 가게 만드는 첸의 집요한 목적의식과 더불어 자신의 몸을 이용해 점차 모리의 목숨을 노리는 길순의 행동과 말들은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등장인물들의 고민과 그 시대에서 겪을 수 있는 인간들의 본성을 제대로 드러내 보인다.
눈뜨면 다시 시작되는 전쟁의 두려움, 언제 죽을지 이 전쟁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갈 수나 있을까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되면서도 인간의 식욕 그 자체는 이 모든 것들을 뒤로하고 덤벼들 만큼 강한 본능의 자세를 취하게 만든다.
책 속에서 그려지는 세 인물들은 각기 자신들의 나라를 대표하는 등장인물로도 생각할 수 있고, 그러한 가운데 요리를 통해 서로가 서로를 향한 인간적인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장면들은 어느 인간이 나쁘고 좋다는 것을 떠나 이념과 전체적인 무리 속에 힘없는 한 인간들의 나약함을 보여준 작품이란 것에서 인상적으로 다가온 책이 아닌가 싶다.
저자의 중국 음식에 대한 지식을 재밌게 볼 수 있는 글은 생존과 죽음, 그러한 가운데 한 순간 음식 앞에 그 모든 것을 잊어버리게 할 만큼 주인공들의 느낌을 통해 독자들 또한 다양한 음식 맛을 느껴보고 싶게 한 작품이기도 하다.
전주 한옥마을에 갔다가 그곳에 최명희문학관이 있길래 들려봤지요.
참 아까운 작가였는데 일찍 가버려서 아쉽습니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이라니 흥미가 갑니다. 더구나 무대가 만주이고
요리까지 나온다니 읽어 보고 싶어요.
한번 읽어보세요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