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우스의 노래
매들린 밀러 지음, 이은선 옮김 / 이봄 / 2020년 6월
익히 알고 있는 고전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그린다는 것은 또 하나의 모험일 것이다.
모두가 아는 이야기, 그러면서도 확실히 어떤 특정 캐릭터에 대한 연상이 떠오를 만큼의 유명한 이야기라면 더욱 그럴 것 같은데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저자의 영민함에 놀라곤 했다.
자신의 주 전공을 살려 이렇게 현대 감각과 함께 고전의 맛을 살려냈다니…
9살 난 파트로클로스가 아버지와 함께 틴타레오스의 헬레나 구혼자가 되기 위해 출발을 한 시점으로 헬레나가 선택한 사람이 메넬라오스란 점을 필두로 책의 진행은 처음부터 화자가 누구인지를 궁금하게 만든다.
모두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 인물의 주변에 가까운 사람, 파트로클로스를 화자로 내세웠다는 점은 다른 관점에서 다루어 볼 수 있었던 기회이자 고전 문학의 새로운 흐름으로도 읽을 수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했다.
집으로 돌아온 후 실수로 귀족의 아들을 죽이고 추방된 파트로클로스를 거 둔 곳은 프티아 왕국이었다.
그곳에서 아킬레우스와 동무가 되고 이후 아킬레우스의 엄마인 님프 테티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우정이자 동성으로서의 사뭇 떨리는 감정으로 성장하게 된다.
테티스의 경고가 있은 후 아킬레우스는 케이론에게 수업을 받으러 떠나게 되고 그곳을 찾아 떠나는 파트로클로스는 곧 아킬레우스와 함께 수업을 들으며 그들만의 세상에서 성숙되고 자양분이 넘쳐나는 성장기를 맞는다.
어느 날 미케네에서 트로이와 벌어지게 될 전쟁을 두고 용감한 전사들을 모집한다는 소문이 들리지만 아킬레우스는 엄마의 힘으로 이를 모면하려 리코메데스 왕의 밑으로 여장을 하면서 숨어 지내게 된다.
하지만 오디세우스의 영리한 계획에 따라 전쟁에 참전하게 되고 파트로클로스 또한 따라나서게 되는데, 이후의 지난하고 길고도 긴 트로이 전쟁의 서막이 시작된다.
영화로도 이미 알려진 만큼 유명한 전쟁 중 하나인 트로이 전쟁을 통해 영웅 아킬레우스의 활약과 헥토르의 대결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여기에 저자는 이러한 너무도 잘 알려진 내용을 아킬레우스를 사랑하는 파트로클로스의 시선을 따라 전쟁의 진행, 신들이 인간의 곁에서 응원하고 도와주며 때로는 자신의 감정을 통해 인간들의 나약함을 스스로 인정하게 만드는 일들이 두드러지게 그려진다는 점이다.
신격화의 대상이자 인간의 경외의 대상인 신이란 존재는 이 책에서 인간과 함께 하는 하나의 존재로 비칠 뿐이다.
파리스를 도와주는 신의 손길 하나로 상대방에게 해를 입히는 장면이나 예언을 통해 그대로 나타나는 결과물, 인간들의 오만한 마음들을 꼬집어 방해를 하는 모습들은 심술궂은 모습이었다가도 결정적일 때는 자신들의 힘을 과시한다는 점에서 트로이 전쟁은 인간들의 전쟁이 아닌 신과 인간들이 함께 겪는 전쟁이란 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특히 신들이 저들이 응원하는 인간들을 지원사격하는 모습들은 익히 알고 있는 신의 존재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느끼게 한다.
나약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있었던 파트로클로스, 왕자에서 노예처럼 전락한 자신의 인생 모두를 아킬레우스에게 향한 열정과 사랑, 그 외에 모든 것을 담아냈던 그가 헥토르에게 처참하게 당한 장면은 처절하리만큼 안타까움 그 자체였다.
가슴속 깊이 울부짖는 짐승 같은 목소리란 상상이 될 정도의 감정 파고를 높인 아킬레우스의 복수와 울음, 그 자신 또한 자신의 미래를 알고 있었기에 복수의 날을 통해 스스로 짧지만 강한 인생을 선택하지 않았나 싶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있었던 동성에 대한 사랑은 지금과 비교해 보면 사회적으로도 통용되었던 흐름이 있었지만 저자가 그린 두 사람의 우정과 사랑의 깊이는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었던 그 시대의 노래가 아니었나 싶다.
– ” 내가 써두었다.” 그녀가 말한다. 처음에 나는 무슨 뜻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녀가 비석 위에 새긴 이름이 내 눈에 들어온다. 아킬레우스라고 적혀 있다. 그리고 그 옆에 파트로클로스가 있다.
” 가거라.” 그녀가 말한다. ” 그 아이가 널 기다리고 있다.”
다른 시각에서 다룬 두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고전의 해석을 현대에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를 새롭게 느껴 볼 수 있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나훈아가 뜬금없이 테스형 하는 노래를 불러서 장안의 화제거리를 만들었듯이
고전을 현대식으로 해석해 보는것도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원전을 그대로 현대적인 감각으로 해석한 것이라 쉽게 읽는 즐거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