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읽는 로마사 – 1,000년을 하루 만에 독파하는 최소한의 로마 지식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20년 10월
유럽의 거의 모든 나라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로마제국에 관한 글들은 읽어도 지루함을 모를 정도의 방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각 분야에서 다뤄지는 내용들을 읽다 보면 로마제국이 지닌 영향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는 바, 이 책에서는 음식을 통한 로마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책이다.
로마인들의 기본 식사는 빵, 죽을 주식으로 하면서 와인, 올리브, 생선젓갈인 가룸,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소박하지만 본토에서 기른 주된 것을 섭취하던 패턴은 포에니 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달라지게 된다.
영토의 확대를 통한 타국에서 먹는 음식들을 공수해 오면서 식탁에 오르는 다양한 음식들은 로마제국이란 거대함을 더욱 부각하고 강대국으로 나서게 되는 여러 음식들과 연관이 되면서 더욱 두드러진다
흔히 영화에서 보는 장면 중 하나가 누워서 먹는 그들의 식습관이다.
귀족 출신의 남자가 다른 손님들을 초대하고 함께 식사하면서 먹는 형태는 그리스에서 배워왔을 영향성을 고려하게 되며, 이는 곧 승자의 식사 문화란 것을 뜻한다고 한다.
이에 본격적으로 이미 우리들 식탁에 오르내리는 음식들은 로마시대에 있어서는 타국과의 전쟁을 통한 공수, 이에 더해 항로 개발과 육로 개발의 일종인 도로의 발달로 인해 더욱 풍성해진다.
최초의 도로로 알려진 ‘비아 살라리아’는 ‘소금길’이란 뜻이다.
소금이 주는 영향력은 막강해서 당시 로마에서는 로마제국 건설의 원동력이 되는 것으로 첫발을 내딛는다.
이는 소금을 취하게 되면서 도로와 그 중간에 도시가 들어서고 정치적으로도 소금을 통해 갈등을 푸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샐러리맨의 원형으로 알려진 소금이란 존재를 벗어나면 소시지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담고 있는 로마인들의 식탁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갈리아 지방에서 수출하는 형식으로 식탁에 오른 소시지는 육가공품 식품산업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으로 무역의 산물임을 드러낸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다양한 젓갈이 있듯이 로마인들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가룸’이란 젓갈이 있다.
지금은 없어졌다고 하는데 이미 가룸을 섭취하기 위해 발달한 무역 네트워크와 암포라라고 불리는 그릇은 금융산업과 수산업, 염장 업까지 발달을 가져온 핵심을 이룬다.
로마인들은 빵을 집에서 만들어 먹다 빵가게에서 사다 먹기 시작하면서 여성들의 고된 노동에서 얼마간의 시간을 갖게 하는데 이미 손님을 남편과 함께 맞는 형식은 안주인으로서 실제적인 집안의 경제권을 유지하고 늘리는 데에 집중하는 로마시대의 모습을 비춘다.
이밖에도 지금의 패스트푸드 격인 거리 음식의 발달, 물이 좋지 않아 함께 섞어 마시는 와인에 대한 확보와 포도재배를 위한 경작에 힘을 쓴 로마 정치가들의 노력은 자신의 정치 능력을 보장하는 역할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여행을 하거나 피자를 먹다 보면 짜지지 않는 것이 올리브다.
서양인들의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음식 중 하나인 올리브는 열매를 짜서 흐르는 기름을 통해 여러 음식과 함께 곁들여 먹거나 목욕 시에도 오일을 이용한다는 점, 여기에 스트리길이란 도구를 사용해 몸의 불순물을 제거했다는 것까지, 올리브는 우리나라가 콩을 갖고 나머지 찌꺼기인 비지까지 이용해 먹듯이 이도 마찬가지로 ‘아무르카’라고 불린 부산물을 이용해 여러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또한 로마인들이 가장 사랑했다는 굴에 대한 사랑은 인공 굴 양식이란 것까지 개발하게 만들었으며 신선한 굴을 운반하기 위한 운송로 개척과 저장창고의 발달 여기에 목욕문화까지 발달하게 한 점은 음식이 주는 무한한 한계의 끝이 없음을 알게 해 준다.
음식의 다양한 맛을 섭취하려면 빠지지 않는 향신료에 대한 로마인들의 관심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으로 인한 길이 개척됨과 동시에 아우구스투스 초대 황제에 의해 인도양 무역을 통해 귀족부터 중산층에 이르는 계층들이 먹을 수 있게 된 계기를 마련한다.
한 나라 또는 제국이 강대해지려면 정치, 경제, 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들이 서로 원만하게 이루어져야 가능하단 사실을 과거의 역사를 통해 배우고 있다.
로마제국이 오랜 세월 동안 강대국으로써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에 대한 다양한 자료와 근거들이 많지만 식탁에 오르는 음식을 통한 발전사는 또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든다.
동방에서 전해오는 계피, 후추, 생강, 정향, 육두구에 이르는 귀한 향신료들을 섭취할 수 있게 한 노력, 이에 따라오는 부산물인 수송수단과 항로 개척, 로마인들이 중국인들처럼 다양하게 섭취했다는 근거인 철갑상어, 캐비아, 송로버섯 트러블, 푸아그라에서부터 달팽이 요리인 에스카르고, 쥐요리, 새 요리에 이르기까지 식탁에 오른 것은 끊임없는 정복과 영토 확장을 통해 신문물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정서에 맞는 음식을 식탁에 올려놓음으로써 제국을 이룬 과정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부작용 또한 있었다는 사실은 로마제국이 멸망한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큐라 아노라라고 불리는 공공복지제도에 대한 부분도 다룬다.
원래의 취지인 변동이 심한 곡물값에 대한 해결책이 주된 목적이었으나 나중에는 선심성 제도로 변질되면서 무상급식의 취지에 어긋나는 결과를 초해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나 현재나 좋은 제도의 활용성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나라의 근간의 변화가 올 수 있음을 느끼게 한 대목이다.
로마라는 나라의 시작은 전쟁을 통한 영토 확보로 시작했지만 이를 통한 여러 음식들의 섭취와 이를 유지하려는 노력에 대한 다양한 활로 모색들을 통해 로마사 발전에 대한 색다른 재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는 책, 이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즐기며 읽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