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의 역사, DMZ 박물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통일전망대로 369 번지가 DMZ 박물관 주소다.

비극적인 한국전쟁의 산물인 DMZ 는 지난 60여년간 우리민족에게 분단과

이산의 아픔을 주어왔지만 이제 그곳은 자연사공원이자 우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읽을 수 있는 우리나라 현대사의 유적지로 재조명되고 있다.

2009,8,14에 개관한 DMZ박물관은 잊혀져 가고 있는 암울했던 6,25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고, 인간의 발자취를 거부했던 비무장지대를 화합과 미래를

약속하는 평화와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장소다.

가디엠1.JPG

박물관 입구의 안내판

가디엠3.JPG

가디엠4.JPG

DMZ박물관은입체영상관, 축복받지 못한 탄생 DMZ, 전혀 뜻밖의 유산 DMZ,

평화와 생명의 땅 DMZ,테마별로 나누어 전시되고 있다.

가디엠5.JPG

녹쓴 철모 속에 다시 핀 꽃

가디엠6.JPG

6,25 전쟁 당시 사용되었던 태극기

가디엠8.JPG

대한청년단의 완장

가디엠9.JPG

가디엠10.JPG

가디엠11.JPG

중공군이 사용했던 컵을 보니 마음이 착잡해 진다.

가디엠12.JPG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란?

군대의 주둔이나 무기의 배치, 군사시설의 설치가 금지되는 지역을 말한다.

6,25 전쟁 후 1953,7,27 판문점에서 정전협졍이 체결됨으로서 군사분계선

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킬로미터(폭 4킬로미터)씩 동서로

248킬로미터의 지역이 비무장지대로 선정되었다.

6,25 전쟁의 산물인 한국의 비무장지대는 전세계에서 반세기 넘게 가장

오래 지속되고 있다. 특히 민간인의 발길이 끊기면서 지구상에서 전쟁

이라는 인위적 수단으로 파괴된 자연이 어떻게 복원되는가를 유일하게

뵬 수 있는 살아있는 자연사박물관으로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가디엠13.JPG

녹쓸은 철모와 탄환, 탄피

가디엠14.JPG

가디엠15.JPG

가디엠16.JPG

고 임춘수 소령의 육필편지다. 이 편지를 쓰면서 그는 얼마나

울었을것이며 이 편지를 받은 가족들은 또 얼마나 울었을까?

가디엠17.JPG

아마 어느 부대앞에 세워두었던 안내판인듯….

가디엠18.JPG

외국잡지에 표지모델이 되었던 김일성

가디엠19.JPG

군복입은 박대통령도 잡지의 표지모델이 되었다.

가디엠20.JPG

가디엠21.JPG

벽을 사이에 두고 남.북의 두 군인이 마주보고 있는 조형물

가디엠22.JPG

가디엠23.jpg

가디엠24.jpg

이 사진들은 DMZ 안의 생명체 사진 전시회에서 수상한 작품들이다.

마침 복도에 전시를 하고 있었다.

가디엠29.JPG

가디엠25.JPG

가디엠26.JPG

가디엠27.JPG

북한의 공예품

가디엠28.JPG

통일의 염원을 담은 소원지다.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이 통일에의 염원을

담은 메모를 써서 붙여 놓은것이다.

가디엠30.JPG

전쟁당시의 삐라들이다.

가디엠31.JPG

야외 안보전시관, DMZ 지형으로 만든 정원

가디엠32.JPG

박물관 안에서 바깥을 내다 보았다. 평화통일 이라고 쓰인 글이

한 눈에 들어온다. 평화통일의 그날을 위하여!!!

박물관 안에는 철원 노동당사, 승일교 등 군사분계선 주변의 현장을

보여주는 각종 시설물이 축소모형으로 재현되어 있으며 , 직접 보고 체험

할 수 있는 야외전시실에는 동부전선에서 철거된 비무장지대의 철책도

있다.

입장료는 어른 2,000원, 어린이 1,000 이며 경로우대다.

DMZ박물관이 분단을 넘어 평화와 통일로 이어지는 지름길의 역할을

해주는곳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안고 관람을 했다

30 Comments

  1. 가보의집

    2011년 11월 4일 at 8:42 오후

    데레사님
    분단의 그 아품 다시 되색입니다
    평화통일이 어서 와야 하는데 47년 부모님과 함께 고향
    떠난 사람으로ㅓ 생존에 오빠랑 함께 가보면 좋은데 말입니다

    데레사님 일본 여행하신다고요
    97년1월에 신혼여행을 동경으로 갔었는데
    한번 또 간다면서도 못가네요
    잘다녀오세요    

  2. Elliot

    2011년 11월 4일 at 10:02 오후

    중공군은 왜 국방색이 아닌 하양 컵을 사용했을까요?
    전쟁 중에도 무드 잡고 차를 마셨나? ^^

    개성공단에서 만든 숙녀화 뭇집니다.

    대학 재학시 꽈대표로 휴전선 근방 땅굴 견학 간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3. 데레사

    2011년 11월 4일 at 11:04 오후

    가보님.
    월요일에 가서 목요일에 돌아오는 짧은 일정입니다.
    비행기는 마일리지로 했기 때문에 자동차나 한대 빌려서 안가본 곳
    좀 가볼려고요.
    동경이 아닌 남쪽으로 갑니다.

    고맙습니다.   

  4. 데레사

    2011년 11월 4일 at 11:05 오후

    얼렷님.
    중공군 컵이 좀 멋지지요? 정말 무드 잡았나 봅니다. ㅎㅎ

    이곳도 안보교육 받고 들어 갔습니다.   

  5. 해 연

    2011년 11월 4일 at 11:47 오후

    ‘초연이 스쳐간 깊은 계곡…’
    아무때나 이 노래만 나오면 눈물이 나는데
    임춘수 소령 편지 때문에 또 눈물이……ㅎ

    또 여행 떠나세요?
    나도 북해도쪽으로 한번 가보고 싶은데 마음뿐이지요.
    건강하게 잘 다녀오세요.   

  6. 데레사

    2011년 11월 4일 at 11:54 오후

    해연님.
    일본은 정말 여러번 갔지만 저도 북해도는 못 가봤어요.
    우리 언제 같이 가볼까요?

    임춘수 소령 편지를 박물관에서 읽으며 나도 울었습니다.   

  7. 화창

    2011년 11월 5일 at 12:09 오전

    중국 단동에 있는 抗美援朝 전쟁박물관에 가본 적이 있습니다.

    중공군이 6.25 전쟁에 참전한 것을 선전하는 박물관이지요~~

    임춘수소령 같은 수많은 희생이 있기에 오늘날에 대한민국이 존재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하겠습니다!   

  8. 아멜리에

    2011년 11월 5일 at 12:28 오전

    중공군은 하얀 법랑 컵을 사용했네요. 저 컵으로 콩죽을 먹었겠죠? 상상..
    저길 넘어가야 울 부모님들 고향이예요. 신포(아버지), 청진(어머니)…

    은제 가 볼 수 있을 것인지…
       

  9.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2:44 오전

    화창님.
    그렇습니다.
    임춘수 소령같은 분이 계셨기에 오늘 우리가 이렇게 자유를 누리며
    살고 있는것이지요.
    고맙습니다.   

  10.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2:45 오전

    아멜리에님.
    부모님이 이북출신이셨군요.
    피난으로 부산에서 사셨나 봐요.

    중공군의 컵이 너무 깨끗해서 병사용이 아닌 고급장교용이 아니었던가
    생각합니다.   

  11. 흰독수리

    2011년 11월 5일 at 2:38 오전

    아직도 6.25전쟁이 북침이라고 한목숨다바쳐(?)외치는 지성인(?)이있으니요
    쏘련.중공이 남침했다고해도 이렇게 외치니?
    지인중에 6.25전쟁1년전부터 북한기관사로근무해서 잘증언하더군요
    일년전부터 군수물자전쟁준비를 38선에 집결햿다는군요
    전쟁중에 남족으로 피난왔다고 하더군요
    하기사 ….무슨말은 허공에 못하겠습니까?   

  12. 최용복

    2011년 11월 5일 at 4:06 오전

    고성에 저런 박물관이 생겼군요.

    세상에서 가장 무장한 군인들이 가득한곳이 비무장지대겠죠…

    녹슬은 철모와 편지들… 아프게 다가오네요.   

  13. 맘소리

    2011년 11월 5일 at 5:52 오전

    625 당시의 태극기를 사진으로만 보고도
    눈이 아려옵니다.    

  14. 雲丁

    2011년 11월 5일 at 7:49 오전

    지구상의 유일한 분단국가,
    아픈 역사를 말해주고 있네요.
       

  15. 노당큰형부

    2011년 11월 5일 at 9:14 오전

    우리의 국력을 기르고
    힘을 비축하면 언젠가는 평화 통일이되어
    분단된 나라가 한 나라가 되어 비무장 지대 전체를
    평화박물관으로 이용 할날이 오리라 믿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16.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0:40 오전

    흰독수리님.
    저도 6,25때 3학년이라 알것은 다 알아요.
    그때 우리는 경북영덕에서 살았는데 경주까지 피난을 했거든요.
    6,25를 몸소 겪은 세대들이 시퍼렇게 살아있는데 북침이라는 말도
    안되는 소리들을 하다니… 참 기막혀요.   

  17.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0:41 오전

    최용복님.
    2009년에 생겼으니 겨우 2년 되어가나 봐요.
    한번쯤 가볼만한 곳입니다.   

  18.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0:42 오전

    맘소리님.
    모든 그 당시의 물자들이 가슴 아프게 다가오더라구요.
    남북의 군인이 서로 마주보며 대치하고 있는 조형물에서도
    아픔이 느껴졌고요.   

  19.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0:42 오전

    운정님.
    네, 이제는 정말 유일한 분단국가네요.   

  20.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10:42 오전

    노당님.
    평화박물관으로 이용되는 그날이 꼭 오기를 희망해 봅니다.   

  21. 풀잎사랑

    2011년 11월 5일 at 11:26 오전

    많이 좋아졌네요.
    제가 갔을 당시엔 박물관 같은 건 없었던 걸로 기억이 되는데…

    부치지 못한 편지가 마음을 무겁게 합니다.
    다들 그렇게 나라를 위해 싸우신 분들…
    군대 안 갈라고 꾀 부린 사람들은 다 이땅에서 쫒아내야 됩니다.
       

  22. 해맑음이

    2011년 11월 5일 at 11:54 오전

    DMZ박물관을 보니 더 마음이 아파오는 듯 합니다.
    마지막 남은 분단국가라서 그렇겠죠….
       

  23. 청산유수

    2011년 11월 5일 at 12:06 오후

    자식놈들위해 거름이 되자는 말에 비장함과
    아련함이 느껴지네요
    그런 희생들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일구었지만
    그의미가 퇴색된것을 넘어 체제를 부정하는 일도
    거리낌없는 세상이라….
    그것이 자유대한민국의 장점일지는 모르지만~
    심정적으로는 그저 콱~~~~~~~   

  24.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2:09 오후

    풀사님.
    이 박물관 2009년에 생겼습니다.

    앞으로는 군대 안갔다 온 사람들은 선거에서도 뽑지 말았으면
    하는게 내 생각입니다.   

  25.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2:10 오후

    해맑음이님.
    마지막 남은 분단국가, 정말 마음이 아프죠.   

  26. 데레사

    2011년 11월 5일 at 2:10 오후

    청산유수님.
    그 편지를 사람을 울리지요.
    아무리 자유대한민국의 장점이라고 해도 체제를 부정하는건
    안되지요.   

  27. 무무

    2011년 11월 6일 at 4:26 오전

    딸아이 중학교 1학년때
    국토순례대행진 dmz 따라 서에서 동으로 횡단 하는 프로그램에
    보냈었어요. 마지막이 고성 통일 전망대였는데
    태극기 들고 통일 전망대 들어 서는 순간 펑펑 울었다더군요.
    애국심이 절로절로 샘솟더라면서..ㅎㅎ

       

  28. 데레사

    2011년 11월 6일 at 6:57 오전

    무무님.
    그랬을겁니다. 이 나이의 나도 가슴이 먹먹해 지던데요.

    한비야가 해남 땅끝에서 걸어서 통일전망때 까지 우리 국토여행을
    했었지요. 나도 한번 그렇게 걸어보고 싶었는데 그만 이렇게
    나이들어 버렸네요. ㅎㅎ   

  29. 배흘림

    2011년 11월 6일 at 11:01 오전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녹쓴 철모도 사라지고 남는 것은 아픈 역사 뿐이겠지요..   

  30. 데레사

    2011년 11월 6일 at 12:10 오후

    배흘림님.
    그래서 흐르는 세월이 참 무심한거지요.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