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영릉에서

조선왕릉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 6, 30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조선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 묘가 64기다. 무덤은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은 왕과 왕비, 원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을 말하고 그 외 왕족의 무덤은 묘라고 한다.

(이 설명은 영릉 안내도를 참고함 )

영릉1.JPG

이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 태조의 원비 신의왕후)과

후릉(정종과 정인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가 남한에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것은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한다.

영릉14.JPG

이포보에서 돌아오면서 영릉 (英陵)을 지나칠수가 없어서 늦은 시간인데도

들려 보았다. 저녁 6시면 문을 닫기 때문에 우리가 도착한 시간이

저녁때라 나란히 있는 효종의 영릉(寧陵)은 들리지를 못했다.

영릉2.JPG

세종대왕의 영릉은 들어가는 입구에 당시의 발명품들이모형으로 쭈욱

진열되어 있었다.

영릉3.JPG

세종대왕

언문은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한 것이다. 너희들이 설총은 옳다하면서

군상(君上)이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것은 무엇이냐, 또 네가 운서를

아느냐, 사성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느냐? 만일 내가 그 운서를

바로 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 잡을것이냐!" (세종실록에서)

어디선가 훈민정음을 반대하여 상소를 올린 최만리를 꾸짖는 음성이

들리는것만 같다.

영릉4.JPG

조선왕릉은 죽은자가 머무는능침공간과 죽은자와 산자가 함께 하는

제향공간,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진입공간 으로 나누어져 있다.

영릉5.JPG

영릉6.JPG

조선왕를 어디나 큰 소나무가 많듯 이 곳 역시 소나무들이 아주

많아서 솔바람이 뿜어내는 향기가 신선하다.

영릉7.JPG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홍살문

영릉8.JPG

이 곳이 세종대왕과소헌왕후의합장릉이다.

이는 조선왕릉 최초의 합장릉이다.

영릉9.JPG

처음에 세종대왕의 릉은 헌릉(태종의 능) 서쪽에 있던것을 후에 여주로

옮겼다고 한다.

영릉10.JPG

능침에서 내려다 본 정자각, 이곳은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영를11.JPG

영릉11.JPG

영릉12.JPG

분명 안내판은 효종대왕릉 가는길이라고 되어 있는데 따라 가 보니

철조망으로 길이 막혀 있었다. 그래서 못 가봤다.

영릉13.JPG

영릉15.JPG

날도 어두워지고 하루에 많은곳을 다녔드니 피곤하기도 해서 그만

효종대왕의 영릉은 포기를 하고 집으로 향했다.

사전에 예약(031-887-2868) 하면 문화해설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언제나

무작정 집을 나와 내키는대로 다니다 보니 이렇게 엉성하게 관람을

하게 되어서 좀 아쉽긴 하다.

영릉16.JPG

세종대왕의 영릉을 참배하면서 한석규가 분했던 드라마 세종에서 욕을

잘하던 세종의 모습이 자꾸만 떠올랐다.

실제로 그런 인물이었는지는 알수가 없지만 한편의 드라마가 끼친 영향이

참으로 크다는것을 느끼며 사극은 많은 고증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나름대로의

생각도 해보고….

영릉17.JPG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하지 않으셨다면 지금 이 포슽은 어떤 글로

작성하고 있을까?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임금 세종대왕, 백성을 사랑하는 열정과

정열이 키운 자신감으로 많은 반대를 무릎쓰고 한글을 창제하여 반포하신

세종대왕릉에서 마음으로 우러나는 절을 올렸다.

참고로 이 곳은 여주터미널에서 버스가 있으며 관람료는 500 원으로

아주 저렴하다.

38 Comments

  1. 벤조

    2012년 3월 31일 at 11:43 오후

    잘 보존되었다는 것은
    가져갈 것이 없어 도굴이나 훼손을 안 했다는 뜻이되나요?
    아무튼
    일본이 그냥 놔뒀다는 것도 기적같습니다.
    저는 한글이 있기에 IT 강국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큰 절 잘하셨어요.
       

  2.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59 오전

    벤조님.
    조선왕릉에도 부장품은 있을테지만 도굴꾼들이 쉽게 접근 못했는지도
    모르지요. 능지기가 있었거든요.
    암튼 훼손 안되고 잘 보존 되었다는건 우리 후손들에게는 크나큰 유산
    이지요.

    고맙습니다.   

  3. 금자

    2012년 4월 1일 at 4:08 오전

    조선왕릉이 지금껏 잘 보전되었다는것은 기적과도 같은 일입니다.
    저도 미스때 회사사람들과 경기도 어디인가 왕이 모셔진 릉에 다녀왔는데 이름을 잊었습니다.   

  4. 揖按

    2012년 4월 1일 at 4:23 오전

    조선은 철저한 유교 이념에 따라서 돈 나갈 부장품을 함께 묻지 않았습니다.
    또 묘지기도 있었고, 무덤 축조 양식도 도굴하기 어렵게 중국이나 고대 무덤 같이, 관이 놓인 석실이 따로 없이 관 위를 바로 돌과 흙으로 덮어 버리는 벙어리 방식이어서 완전히 파 내기 전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지요.    

  5. 말그미

    2012년 4월 1일 at 4:50 오전

    세종대왕릉이 여주에 있는 줄도 몰랐으니…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정자각 뒷문에서 바로 보이는 능침 배치도가
    제일 좋은 안배구도라고 하는데 이장을 해서인지
    보기에도 좋은 능침 배치도로 보입니다.

    세종임금이 아니었으면 이 워드를 어떻게 칠까요?
    훌륭하고 고마운 임금이십니다.   

  6. 한국인

    2012년 4월 1일 at 5:25 오전

    우리 국민들 중에는 병신, 노예 기질을
    갖고 있는 작자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자기 조상과 역사 좀 잘 났다고 이야기 한다는데
    뭐가 그리 못마땅하고 배가 아파서 난리인지…

    이런 작자들은 전부 북한 아오지 탄광에 가서
    뜨거운 눈물을 좀 줄줄 흘려야 정신을 차릴라나?

    스스로 노예가 되려고 발악하는 작자들 같습니다.   

  7. 최용복

    2012년 4월 1일 at 5:50 오전

    영릉이 크고 깔끔하게 잘 단장되었네요.

    세계유산으로 뽑혔군요!

    소나무들의 모습들 장관입니다!!   

  8. 풀잎피리

    2012년 4월 1일 at 6:13 오전

    영릉과 녕릉은 그 곳에서 학교다릴 때 많이 갔었지요.
    사진을 보고 또가고싶습니다.   

  9.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37 오전

    금자님.
    대개의 조선왕릉이 다 경기도에 있지요.
    아마 홍유릉을 가신게 아닌가 싶어요.
    왜냐하면 그쪽으로 소풍을 많이 갔었거든요.   

  10.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38 오전

    읍안님.
    그렇게 축조 되었군요.
    그건 잘 몰랐어요.

       

  11.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39 오전

    말그미님.
    그러게 말입니다.
    세종임금님이 아니 계셨드라면 오늘 우리는 이렇게 마음대로 자기 생각을
    나타낼 수도 없었을 겁니다.
    정말 고맙고 훌륭하신 분이지요.   

  12.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40 오전

    한국인님.
    그런 사람들도 많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라를 사랑하고
    겨레를 사랑하는 사람들이지요.

    평양으로 가라고 해도 가지는 않을텐데요.
    그곳이 여기보다 훨씬 살기 힘들다는것을 잘 알테니까요.   

  13.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41 오전

    최용복님.
    우리네 왕릉의 소나무들이 참 멋집니다.
    신라왕릉에도 소나무가 많거든요.
    고맙습니다.   

  14.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6:41 오전

    풀잎피리님.
    여주가 고향이라고 하셨죠?
    좋은 곳에서 태어나셨습니다.   

  15. 가보의집

    2012년 4월 1일 at 11:33 오전

    데레사님
    너무나 귀한것을 봅니다
    늘 느끼고 있었지만 한글의 창시자었기에 더욱 빛나는
    세종대왕 입니다

    광화문 거리 늘 서울병원갈때마다 담아오는 세종대왕님
    모습이었지요    

  16. 해 연

    2012년 4월 1일 at 12:59 오후

    50년전쯤에 갔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참 정갈하게 가꾸고 손질되였네요

    테레사님
    남녁에는 목련도 피었던데
    온갖 꽃들과 더불어 아름다울 4월 되시기 바람니다.   

  17. 추억

    2012년 4월 1일 at 1:14 오후

    예전에 보던 영릉과 많이 산뜻해진 느낌입니다. 잘 가꾸었네요. 세종대왕의 위대함은 이미 여러나라(예: 스리랑카)에서 한글로 표기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물론 그 나라 문자와 같이 쓰지만 그 나라 문자가 매우 배우기가 어려워 초등학교 4학년이 되어도 그 나라 글을 쓸 줄 모르는 애들이 많답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 세종대왕의 위대함은 대단하죠. 곧 한글의 세계화가 한류처럼 세계로 번져나갈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18. 雲丁

    2012년 4월 1일 at 1:23 오후

    유서 깊은 곳을 다녀오셨습니다.
    옛향기를 말해주는 듯 예술적인 선을 지닌 소나무들이 인상 깊습니다.
    매우 독창적인 우리 글을 만든 자랑스러운 세종대왕입니다.
    저는 늘 한 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세종이 28자를 지은 데에는 꼭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것이고
    사라진 4자에 대해서 좀 더 연구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에구, 오지랍도,,
    멋진 사진 잘 감상하였습니다.
    저녁 산책시 손이 시려웠어요.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19. 흙둔지

    2012년 4월 1일 at 8:27 오후

    오늘도 좋은 곳 소개받아 감사드립니다.
    세종대왕이 안계셨고 한글이 없었다면?
    에고~ 상상도 하기 싫어집니다.
    요즘같은 IT 시대에 한글의 우수성이
    얼마나 대단한지 부정할 사람은 없을겁니다.
       

  20.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0:49 오후

    가보님.
    그렇습니다.
    우리 역사에 세종대왕이 안 계셨다면 하는 상상은 하기도 싫어요.
    고맙습니다.   

  21.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0:50 오후

    해연님.
    저도 아마 한 30년만에 다시 갔나 봅니다.
    가까운데도 잘 가지지가 않아서요.

    봄이 이제사 오나 봐요. 여기저기서 꽃소식이 들리네요.   

  22.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0:51 오후

    추억님.
    고맙습니다.
    역시 우리 한글은 세계으뜸이지요.
    한글은 조금만 배우면 쓸수 있고 읽을수도 있으니 정말 좋은
    글이지요.   

  23.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0:52 오후

    운정님.
    맞아요. 넉자가 없어졌지요.
    그런데 그걸 연구한다는 얘긴 못 들어봤지만 그 연구도 해봤으면
    싶기도 합니다.
    두루 생각이 깊으신 점, 정말 좋습니다.   

  24. 데레사

    2012년 4월 1일 at 10:53 오후

    흙둔지님.
    그렇지요?
    한글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겁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많은 난관이 있었나 봅니다.   

  25. 염영대

    2012년 4월 2일 at 1:11 오전

    아무튼 님의 덕분에 눈요기 관광은 잘하고 있습니다.
    저는 어제 부산 근교의 수원지에 등산을 가 쑥을
    뜯어 와 오늘 아침엔 국을 끓여 먹었습니다.

    시원함이 댓길……. 데레사 님 쑥도 한 번 뜯어 봐요
    ㅎ ㅎ ㅎ …………    

  26.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2:05 오전

    염영대님.
    우리 아파트 마당에도 어느새 쑥이 올라 오더라구요.
    어디 농약 안 치는 장소를 찾아서 쑥 캐러 한번 가봐야
    겠어요.   

  27. 이정생

    2012년 4월 2일 at 2:18 오전

    한글 교육을 하는 사람으로서 ‘세종대왕’이란 단어엔 늘 관심이 집중됩니다. ㅎㅎ
    전 예전에 왕족을 모신 능에 가면 늘 과거의 그 시절을 상상하면서 혼자 이런 저런 상념에 젖곤 했었답니다. 어린 시절 친구들과 놀 때에도 왕족놀이, 뭐 이런 것 많이 했었구요. ㅎ 천주교인으로 좀 말이 안 되기도 하지만 전 전생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믿는 편에 서 있답니다. 아마 제가 전생에 왕족? ㅋ   

  28.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2:26 오전

    이정생님.
    나도 궁궐에 살았을것 같긴 한데 왕족이 아닌 무수리였을것만 같거든요.
    ㅎㅎ
    왜냐하면 왕족하고는 아무래도 안 어울릴것 같아서지요.   

  29. jh kim

    2012년 4월 2일 at 4:51 오전

    여봐라
    네이놈들 ㅇ지금이 어느때라고 서로들 싸움질이야 ?
    하나가되어서 뭉치고 또뭉처도 주변강대국 등쌀에 잘될찌말찌인데
    당장 서로 힘ㄴ을 함하지 못할까 ?
    세종대왕께서 이런불호령이 떨어질것 같답니다   

  30. 아지아

    2012년 4월 2일 at 5:14 오전

    홍살문의뜻을 또 배웁니다
    혹시 일본 유적지에의 입구에 있는 것과 비슷한데….
    차이점을 알았으면 합니다   

  31. 한국인

    2012년 4월 2일 at 9:22 오전

    워싱턴과 사과나무…
    이 고사 하나로 워싱턴은 정직한 어린이,
    정의의 사도가 될 수 있었지요.
    원래도 그랬을까요?
    그런데 왜 연속극은 굳이 세종황제를
    욕대장으로 만들어 버렸을까요?
    쳐 죽일 놈들 같으니라구…   

  32.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11:58 오전

    jh kim님.
    세종대왕께서 불호령을 내려주시길 간절히 바라고 계시는군요.
    정말 그랬으면 합니다. ㅎㅎ   

  33.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12:04 오후

    아지아님.
    일본 신사의것은 도리이(鳥居) 라고 부르며 새를 신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새가 쉬어가라는 의미로 만든것이고 우리의 홍살문은
    신성한 지역이라는 뜻이에요.
    모양이 비슷한것 같아도 많이 다릅니다.   

  34.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12:04 오후

    한국인님.
    그러게 말입니다.
    그런데 그게 또 인기를 끌었으니 알다가도 모를 일입니다.   

  35. 綠園

    2012년 4월 2일 at 1:16 오후

    중학교 때 이곳을 수학여행으로 갔던 것 같습니다.
    그러니 전혀 보지 못한 곳을 보는 것과 대동소이 하네요.
    덕분에 잘 보았습니다.

    요즈음 연속극에 이야기를 꾸몄다고 하면서
    역사적 실물의 이름이 섞여 역사를 오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6. 전세원

    2012년 4월 2일 at 4:00 오후

    아ㅡ 그렇군요 가볼곳이네요 같이갈사람 없어서 꼼짝도 못해요
    낮선곳에 혼자 못가요 잘 보았습니다 감사 합니다   

  37.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8:42 오후

    녹원님.
    연속극은 재미위주로 하니까 역사적인 사실도 많이 틀리게
    만드나 봐요.
    그러나 세종대왕을 욕쟁이로 만든건 너무 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38. 데레사

    2012년 4월 2일 at 8:42 오후

    전세원님.
    반갑습니다.
    어린아이도 아니면서 혼자 못간다니요?
    ㅎㅎ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