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데기는 가라 로 유명한 시인, 신동엽(申東曄) 은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장시 "이야기 하는 쟁기꾼의 대지" 가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1969 년 타계할 때 까지 40년의 길지않은
생을 살면서 80여편의 시와 시극, 그리고 산문을 남긴 우리
현대시를 대표하는 민족 시인이다.
부여를 여행하다 그의 생가와 문학관이 있는걸 발견하고는
우연히 들르게 되었다.
문 열린 방이 시인이 거처하던 방
생가에서 문학관으로 돌아나가는 길목에 낙서가….
시인의 흉상, 조각가 심정수의 작품
산에 언덕에
그리운 그의 얼굴 다시 찾을 수 없어도
화사한 그의 꽃
산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그리운 그의 노래 다시 들을 수 없어도
맑은 그 숨결
들에 숲속에 살아갈지어이.
쓸쓸한 마음으로 들길 더듬는 행인아
눈길 비었거든 바람 담을지네
바람 비었거든인정 담을지네
그리운 그의 모습 다시 찾을 수 없어도
울고 간 그의 영혼
들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이 시는 4,19 때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며 쓴것이라고 한다)
시인이 생전에 입었던 옷이다.
시인의 육필 원고들
신동엽 문학관 건물이 부여가 자랑하는 3대건축물중 하나라는데
생가와 문학관 사이의 여백에서 사진을 찍어도 건물의 일부밖에
찍어지지 않아서 문학관을 못 찍었다. 어디 높은 곳에나
올라가야 렌즈안으로 들어 올것 같았지만….
신동엽 시인을 그는 추모되는 기억이 아니라 살아 격돌하는 현재이다
로 흔히들 평하고 있다.
그만큼 그의 시는 조국의 하늘에 드리운 먹구름, 곧 외세와 분단,
그리고 부패한 권력에 대한 저항시들이다.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東學年)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부여가 낳은 시인 신동엽, 부여군수의 인사말을 읽어보며 문학관을
‘ 돌아 나올때 우리가 마지만 관람객이었든듯 문이 닫히고 있었다.
안녕하십니까?
신동엽 문학관을 찾아 주시어 고맙습니다.
1960년대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민족시인 신동엽은 우리고장
부여의 자랑스러운 인물입니다. 1950년대 전쟁의 폐허속에서
가난하고 힘든 삶을 살아가던 우리 민족이 마침내 독재정권의
부정부패를 뚫고 분출한 4,19 혁명의 자유와 통일을 향한 시민정신을
드높이고 계승하여 1970년대 민족, 민중문학으로 발전하는 주춧돌이
된 시인입니다.
중략….
부여군은 신동엽문학관을 통해 신동엽 시인의 생애와 문학성을 조사,
연구하고 군민들뿐만 아니라 시인을 사랑하는 전 국민들에게 창작
활동과 정서 함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신동엽문학관이
우리나라의 문화적 토대를 굳건히 다지는 지역문화의 산실로 거듭 날
수 있기글 희망합니다.
신동엽문학관을 방문하신 여러분께서도 시인의 숭고한 삶을 되비쳐
볼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부여군수 이용우
가보의집
2015년 11월 18일 at 8:21 오후
데레사님
일등 한것 도 기쁘고
유명한 시인의 자료 보게 되여서 기쁘네요
즐겁게 기쁘게 하루 지나세요
좋은날
2015년 11월 18일 at 8:43 오후
산에 언덕에.. 라는 詩를 좋아합니다.
특히나 봄이면 이 시를 꼭 암송하면서 봄 한 철을 보내곤 합니다.
마치 끝나가는 조블에도 이 시를 놓아두고픈 시.
시인의 생가가 정갈하니 가 앉고픕니다.
오병규
2015년 11월 18일 at 10:00 오후
저는 시인 신동엽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워낙 무식해 서리…
다만 코미디언 신동엽을 기억하고 있을 뿐인데…
그런데 저는 속이 좀 상합니다.
소위 문학한다는 놈들 중에 ‘민중’이라는 단어를 쓰는 놈들
거의가 빨.갱.이 들이거든요.
이 사람도 민중이라는 단어를쓰는 거 보니
속 좀 썩인 것 같은대요?
좀 쓰,ㄹ만한 문학인이나 시인은 모조리 ‘친일’이라는 덮개를 씌우고
민중이라는 단어를 쓰는 놈들은 뛰어난 문학인처럼 추겨세우는
문학(문화)계가 참 더럽게 느껴집니다.
노당큰형부
2015년 11월 18일 at 10:00 오후
쿡~~
후다닥~~~
벤자민
2015년 11월 18일 at 11:10 오후
저도 이분에 대해 별로 아는 게 없습니다
지역 시인이라 그 지역에서 잘 보존해 준것 같군요
제 주변에는
지금 한국에서 상당히 유명한 시인이 한 명 있습니다
건데 그 친구를 보면은
어떻게 문학의 세계와 사생활은 그렇게 다른지 모르겠어요 ㅎㅎ
이분은 대통령 훈장도 받은 걸 보니
아무튼 훌륭한 시인인가 봅니다
몇일 어딜 좀 댕겨 올라고 합니다
안 나타나더라도 어디 빠리 간것도 아니고
조계사 로 숨어든 것도 아니니
너무 염려 하시지 마십시요 ㅎㅎ
데레사
2015년 11월 18일 at 11:42 오후
가보님
일찍 깨셨나 봅니다.
저는 한숨 자고 일어나 포스팅 해놓고 또 잤습니다.
지금 깼어요. 고맙습니다.
데레사
2015년 11월 18일 at 11:43 오후
좋은날님
산에 언덕에 … 이 시 참 좋지요?
너무나 짧게 생을 마감했어요.
데레사
2015년 11월 18일 at 11:44 오후
종씨님
이 분의 따님이 카나다에 사는 조선블로거랍니다.
물론 조블 폐쇄운동때 종씨님 방에서 지지도 한 분이에요.
본인이 싫어할까봐도 닉은 못 밝히지만 좋은 블로거
입니다.
사상, 이념, 이런걸 떠나 문학 그자체 만 바라보면 참 좋은
작품을 많이 남긴 시인입니다.
데레사
2015년 11월 18일 at 11:45 오후
노당님
출근길이 바쁘신가봐요?
잘 다녀 오세요.
데레사
2015년 11월 18일 at 11:46 오후
벤자민님
지역시인이 아니라 유명한 시인이에요.
사람은 누구나 앞뒤가 있게 마련이라고 생각해 버리면
간단합니다. ㅎㅎ
조계사로 숨으러 안 간다니 걱정은 안 하겠습니다.
바위
2015년 11월 19일 at 12:38 오전
천재는 일찍 가나봅니다.
무엇이 그리도 급하길래 채 마흔도 채우지 못 하고
허겁지겁 가셨는지 알 수 없습니다.
오늘이 프란츠 슈베르트의 기일이거든요.
1828년 오늘 그 역시 서른한 살의 나이로 이승을 떠났지요.
아침나절부터 음산한 날씨가 또 한줄기 할 것 같습니다.
이 분들을 추모하기에 딱 좋은 날씨네요.
막일꾼
2015년 11월 19일 at 12:41 오전
껍데기는 가라 라는 시
읽어보면 그게 시인지 무슨 구호인지 모르겠네요.
시인이라는 게 보통 그 시대에 저항하는 사람들이기는 하나
소위 운동권시인들이란 시를 욕구불만 표출의 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허다했고 지금도 그러하지요.
어찌보면 껍데기가 껍데기를 뒤집어 쓰고 있는 모양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저는 여태껏 이 땅에서 서정주를 넘는 시인은 한 명도 보질 못했습니다.
선화
2015년 11월 19일 at 12:54 오전
신동엽시인은 젊은이(대학생들)들 사이에 꽤 인기를
누린 시인입니다 저는 전라도 사람인줄 알았는데..부여 사람이군요
좌쪽 성향을 갖은 젊은 사람들이 늘 인용하며 좋아했던…
그나저나 1박2일동안 참으로 많이도 댕기셨습니다
조블사랑이 가득한 데레사님!!!
비풍초
2015년 11월 19일 at 4:34 오전
시인이 생전에 입었던 옷 사진 말이죠… 진짜일까요? 60년대에 저런 옷.. 저런 디자인 옷이 있었단건가요? 요즘 산행때 입는 옷처럼 보이는데.. ^^
미뉴엣♡。
2015년 11월 19일 at 8:22 오전
‘껍데기는 가라’ 명제입니다..ㅎ
신동엽시인, 부여출신이군요
착한 이미지^^ 신경림 시인은
어디 출신인지요 동향인가요?
다사랑
2015년 11월 19일 at 8:42 오전
저는 신동엽 시인에 대하여 전혀 무지합니다.
데레사 언니는 참으로 학구열에 불타시고 절대로 치매는 걸리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전 오랜만에 한가히..
오는 비를 바라보며..
나의정원
2015년 11월 19일 at 10:44 오전
이런 훌륭한 분들의 생가는 좀 더 적극적으로 보전이 되야함을 다시 느끼게 되는 글과 사진입니다.
저물어가는 가을의 운치와 정말 잘 맞는 곳을 갔다오셨군요.
잘 보고 갑니다.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06 오전
바위님
슈벨트의 사망일까지 아시고 계시는군요.
참 대단 하십니다.
네, 천재는 빨리 가나봐요.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07 오전
막일꾼님
사람에 따라 다 다르겠지만 이 분도 훌륭한 시인이에요.
물론 약간 난해하기도 하지만요.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09 오전
선화님
우연히 지나치다 간판을 보고 들어갔어요.
가놓고 보니 참 잘왔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부여사람인줄은 몰랐거든요.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10 오전
비풍초님
우리들 대학시절에도 입었던 옷이에요.
판쵸라고 불렀죠. 주로 등산할때 입었습니다.
저도 흰색이 있어서 입고 찍은 사진도 몇장 있어요.
저는 60년대초에 학교를 다녔습니다.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10 오전
미뉴엣님
글쎄요. 신경림 시인과 동향인가는 모르겠지만 두 분이 서로
문학적으로 공감대를 이루었나 봅니다.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12 오전
다사랑님
그렇게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희망을 품어 보겠습니다. 나는 치매 안 걸린다 하고요.
신동엽 시인의 따님이 카나다에 거주하는 우리 조블 회원이에요.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13 오전
나의정원님
부여군에서 애썼더군요.
생가도 잘 보존되고 문학관도 잘 보존 되었던데요.
입장료도 없었으니 그 부담을 군청에서 하는것 같았어요.
고마운 일이지요.
해 연
2015년 11월 19일 at 12:40 오후
껍대기는 가라.
시는 읽은적이 있고, 시인의 이름도 듣던 이름인데
그 시인의 시인지 몰랐네요.ㅎ
요즘 계속 날씨가 안 좋아서 그런지 내 몸도 안 좋으네요.^^
방글방글
2015년 11월 19일 at 12:45 오후
왕언니님 ^*^
이번 가을을 참으로 멋지고 보람차게
지내시니 큰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 ^
넓고 깔끔한 생가에서 시인님의 성향이 느껴지는
듯 합니다. 문학관과 더불어 후손들에게 큰 보물로
이어지길 저의 마음도 보태고 갑니다.~
왕언니님께서
좋은 계절에 좋은 곳을 많이 다녀오신 만큼
몸도 마음도
더 많이 튼튼해지셨으리라 짐작이 듭니다.(^ ^)
늘 건강하시고 福된 나날을 맞으셔요. ^*^ ^*^
데레사
2015년 11월 19일 at 11:59 오후
해연님
몸이 안좋으면 안되는데 몸부터 살피셔요.
이제 아프면 서럽기 까지 하더라구요.
힘 내세요.
데레사
2015년 11월 20일 at 12:00 오전
방글이님
네, 지나치다 이정표 보고 들어갔는데
좋았어요.
방글이님도 잘 지내시기 바랍니다.
김현수
2015년 11월 20일 at 11:04 오후
부여에는 볼거리도 많네요.
신동엽시인의 생가가 저의 고향 옛집과 아주 많이 닮았습니다.ㅎㅎ,
세칸기와집이 그렇고 무엇보다 부엌의 가마솥이 딱이네요.
저런 솥에 나무를 때어서 지은 밥을 먹고 자랐는데.. 고향생각이 갑자기..
데레사
2015년 11월 21일 at 1:46 오전
김현수님
저 가마솥에 밥하면 밥은 물론이려니와 누룽지도 아주
맛있었지요.
저도 그 생각이 납니다.
enjel02
2015년 11월 21일 at 8:57 오전
시인은 감성이 남 달라서 그런지 운동권이나
사상적으로 편중된 사람이 많은 것 같지요
부여에는 구경할 만 한 게 많군요
시인도 저렇게 이름을 내고 고장에 길이 남길
흉상까지 제작해두고 열성이 대단한 것 같아요
덕분에 잘 돌아 보았어요
산성
2015년 11월 22일 at 12:47 오전
껍데기는 가라!
세월은 흐르고 또 흐르는 것이라
역사는 되돌아보는 시점에서 재조명 재편집.
힘들고 어려운 시절의 시인이라 그런지
시들도 참 강하지요?
데레사
2015년 11월 22일 at 1:21 오전
엔젤님
네, 그런가 봅니다.
그런 감성들이 있어야 시를 쓰겠지요.
데레사
2015년 11월 22일 at 1:22 오전
산성님
네, 그렇습니다.
어쨌던 작품만 놓고 평하고 싶어요.
그리고 부여가 자랑으로 내세우는 시인이라는것, 그
따님의 조블의 좋은글 쓰는 이웃이라는것만 기억할려고요.
고마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