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6년 7월 5일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웃으면서 죽음을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5월

 

가끔 가다가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시절로 돌아가면 좋은 점이 무엇일까를  생각한 적이 있다.

그 우선순위에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모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꼽아보게 되었는데, 아마도 중학교 시절로 기억이 된다.

아버지의 친한 고향 분이 갑자기 병으로 돌아가셨단 부고를 엄마에게  얘기하시던 모습을 보던 충격이 지금도 지워지지 않는다.

속된 말로 죽마고우를 ~친구로 불리는 말이 있을 정도의 친분이 있던 고향 친구였던지라 아버지에겐 꽤 충격이 크셨을 것 같고 나의 입장에선 이제 막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란 타이틀을 단지가 엊그제 같은데 내 또래를 둔 가장이 세상을 저버렸단 소식은 곧 아버지를 다시 바라보게 되는 경험을 하게 했다.

 

만약 아버지가 돌아가신다면? 순간 소름이 끼치고 새삼 부모님의 존재에 대해선 그만큼 고맙고 소중하게 느낀 적은 없었을 터, 영국의 유명 작가인 줄리언 반스가 죽음에 대해 에세이를 펴낸 책을 통해 다시 죽음을 마주하게 되는 우리 인간들의 자세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된다.

 

제목이 참 반어적이다.

어떻게 죽음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웃으면서 얘기할 수 있을까?

하긴 문화가 다르다 보면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 또한 가문과 태어난 나라의 영향에 따라 달리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 하는 한편의 다른 생각들을 해보기도 한다.

 

줄리언 반스의 작품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린다.

쉽다는 사람, 쉽지만은 않다는 사람, 내 경우엔 쉽지만은 않은데, 이게 묘하게도 작가와의 심리전이라고 할까, 왠지 모르게 당신의 작품이 아무리 이해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해도 나는 제대로 읽어낼 거란 심리가 깔리면서 읽다 보면 그가 쓴 글 구절을 통해 무릎을 치게 될 때도 있어 이런 맛으로 이 작가의 작품을 대하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 또한 쉽게 읽히진 않았다.

첫째로는 죽음을 다뤘다는 점에서 그렇고 글의 내용이 쉽게 쉽게 흘러가는 타입이 아닌 영국 사람 특유의 씨~익 살짝 웃게 만드는 곳곳의 유머가 들어 있어 이해를 하면서 읽기란 시간을 투자해야만 하는 책이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전 작품에서도 밝힌 부분들이 조금씩 들어 있지만 작가는 서양인들 대부분이 갖고 있는 종교를 갖고 있지 않고 무신론자에 이어서 불가지론 자란 말로 자신의 종교성(?)을 드러낸다.

 

어린 시절 몽정으로 인한 경험을 토대로  신이 어떻게 생각할까에 대한 의문점으로 시작된 신과 자신의 존재 인식은  죽음이란 것을 대하면서 왜 종교를 갖지 않게 됐는지에 대해, 이후 이러한  내용들을 읽다 보면  저자의 가족 전체의 영향이 있는듯하다.

철학과 교수인 형도 그렇고 돌아가신 조부모님과 부모님의 죽음을 바라 본 당사자인 저자의 글에서 나온 내용인 만큼 종교에 대한 생각이 아주 솔직하면서 신기하단 생각이 들 정도다.

 

누구나 태어남과 동시에 죽음을 향해 달려간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아니 설령 인지는 한다 해도 내 주위에서 벌어지는 흔한 일들이 어린 기억의 잔재로 남는 경우는 드물고, 커가면서 마주하는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은 때론 일부러 외면하고 싶을 정도의 충격으로 다가오기에 실은 우리 인간들 모두는 애써  죽음을 곁에 두고서도 멀리 있는 어떤 형상처럼 느끼는 것은 아닐까 싶다.

 

저자는 이미 고인이 된 자신의 조상부터 유명 인사들의 죽음을 다루고 다시 자신이 생각하는 죽음, 그리고 가족 이야기를 하는 구성으로 만들어진 이 책을 통해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며, 자신들 스스로가 생각하기에 특별한 사람으로 간주된다 하더라도 막상 죽음이란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는 특별함이 없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그렇기에 더욱 죽음에 대해 마주하는 자세와 앞으로 내게 닥칠 죽음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살아가야 할 지에 대해 들려주는 이야기가 저자의 색깔을 느끼게 해 주는 구절들과 더불어 친근하게 다가온다.

 

죽어봐야 죽음 이후에 어떤 삶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없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는 한계를 넘어서 저자는 이 책의 제목처럼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면 즐기란 말이 있듯이 죽음에 대한 체념과 남아 있는 살아갈 날들에 대해서 아낌없이 즐기면서 건강하게 살아가자고 하는 말들이 제목과 맞닿아 있다.

 

며칠 전에 일간 신문 보도에서 읽은 기억이 생각난다.

죽은 망자에 대해 회고하면서 그(그녀)를 추억하는 사람들의 태도는 우리네의 정서와는 확연히 다름을 느낄 수가 있었는데, 생전에 살아 있었을 당시 고인이 한 말의 유머를 다시 재생하면서 이미 고인이 된 자를 즐겁게 기억할 수 있게 한 짧은 유머가 실상은 어둡고 침침하고 우울함에 찬 분위기를 잠시나마 비껴가게 할 수도 있다는 작용을 해주고 있구나 ~ 하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쩔 수없이 닥치게 될 죽음이란 문제, 그렇다면 두려워만 할 것이 아닌 어떤 자세로 마주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우리는 죽음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죽음에 대하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습관화해야 한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예기치 못한 때에 엄습해온다는 일은 없어야 한다.

 

우리는 두려움과 친해져야 하며, 그 한 가지 방법은 글로 쓰는 것이다.

 

난 죽음에 대해 글을 쓰고 생각하는 게 나이 든 사람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내 생각에 사람들이 좀 더 빨리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다면 어리석은 실수를 할 확률도 줄어들 것이다.” – -쇼스타코비치-

책 구절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데 아마도 쇼스타코비치는 이런 생각 때문에 곡 분위기도 이런 영향을 받아 작곡한 것들이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다 보면 마치 그의 작품에서 나오는 기억이란 소재가 반가울 법도 한, 형과 그가 나누는 일말의 짧은 단상의 기억들이 각기 달리 기억된다는 점, 기억과 실제에 대한 생각을 다시 떠올려보게 되는 책이기에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소설이 아닌 에세이의 형태로 만나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