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이사카 고타로 지음, 최고은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12월
모차르트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굳이 클래식 광이 아니라 할지라도 어디선가 곡이 흐르면 바로 모차르트 곡이라고 알아맞힐 수 있을 정도의 유명 음악가로서 그가 남긴 족적은 지금까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의 제목은 모차르트와 연관이 있을까?
아쉽게도 그렇게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단지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이 제목을 굳이 번역해서 알려진 ‘소야곡’처럼 작은 분위기의 이야기가 모자이크처럼 모여서 하나의 유연한 흐름처럼 느껴지는 작품이라 모두 읽고 난다면 제목의 분위기를 이해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저자가 워낙 유명하고 기존에 써왔던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이나 이야기 흐름과는 전혀 상반된, 더군다나 생애 첫 연애소설집이란 것에 흥미를 불러왔다.
구입해놓고 시간이 흐른 지금에야 리뷰를 쓰게 됐지만 그가 이런 글을 써보기도 했다니, 분위기 파악이 좀 안 되긴 했지만 새롭다는 느낌이 더 강하게 와 닿는다.
이 책은 총 6개의 단편집으로 이루어졌으면서도 각 파트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다음 파트에 주인공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거나 잠깐 스쳐가는 정도의 조연급처럼 마주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이야기로서 출발하는 아이네 클라이네라는 제목은 나흐트 무지크란 제목으로 끝나면서 총체적인 하나의 이야기로서 마감을 한다는 느낌을 준다.
그런데 이 작가가 글을 잘 썼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바로 이것이다.
연애소설집이라고는 하지만 우리네 인생, 평범한 사람들의 만남과 우연이 겹치면서 또 다른 세대들의 만남을 통해 그 윗세대들의 만남도 다시 이어지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연애를 상징하는 내용보다는 소소하고 평범한 이야기 속에 던져지는 인연과 만남이 주된 이야기가 흐른다는 점이다.
그것이 마치 계획된 이야기의 설정이 아닌 실제로 이 책이 이렇게 엮이기까지 생각지도 못하게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 중 한 명인 일본의 ‘사이토 가즈요시’라는 가수라든데, 이 작품 속에서도 음악가와 음악이 적절하게 글 속에 포함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찾아 듣게 하는 매력이 담겨 있고 저자 자신이 사이토 가즈요시’의 부탁으로 노래 가사는 쓰기 힘들지만 소설은 쓸 수 있을 것 같아서 나온 작품이 바로 이 작품인 만큼 읽는 독자의 입장에선 음악과 글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만남이 없다면 좋든 싫든 우리들에겐 어떤 일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처음 이야기인 아이네 클리이네 란 작품에서 아내의 가출로 인해 회사 일에 신경을 쓰지 못했던 선배 때문에 길거리에서 설문조사를 하게 된 직원 사토는 질문서에 응해 준 거리에서 만난 여인과의 짧은 만남 뒤에 동창이자 부부인 유미와 가즈마 집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의 연애를 꿈꾸는, 만남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는 과정에서 나 자신의 주위를 둘러싼 사람들, 특히 가장 소중한 사람이 상대 배우자임을 알게 되는 대사들은 인상적이다.
“아까 했던 얘기 말인데, 결국 만남이란 그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
“그런 게 뭔데?”
“그때는 뭔지 몰라서, 그냥 바람 소리인가 생각했지만, 나중에 깨닫게 되는 거. 아, 그러고 보니 그게 계기였구나, 하고. 이거다, 이게 만남이다, 딱 그 순간에 느끼는 게 아니라, 나중에야 비로소 알게 되는 거.”
“작은 밤의 음악처럼?”
“맞아, 그거.
_p 33
이렇듯 알게 모르게 상대와의 소중한 인연을 비롯해서 이어지는 다름의 이야기는 권투 선수와 손님으로 만난 여자의 소개로 인연을 이어가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학창 시절 왕따를 당했던 아픈 상처를 갖고 있던 주인공이 자신의 회사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만나게 된 자신을 왕따 시킨 당사자인 동창과의 만남, 학교 교사의 이야기는 결국 학생의 아버지와의 오래전 인연을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 이야기, 그러다가 마지막에 다시 권투 선수의 이야기로 돌아오면서 기존의 모두 등장했던 사람들의 인연과 만남을 다시 새롭게 느껴보게 되는 이야기로 마무리를 짓는다.
여기에는 스쳐 지나가는 인물이지만 결코 잊을 수없는 사람이 등장하니, 바로 길거리 음악가라고 해야 하나, 미래가 궁금한 이들에게 짧은 음악으로 100엔(샤쿠엔) 짜리 점을 쳐주는 기타리스트 사이토란 인물이다.
상대방의 기분을 들어주고 바로 즉석에서 거기에 맞는 음악을 들려주는 역할이지만 이 책 전체에서 흐르는 분위기상 그의 진짜 역할은 등장인물들이 심리 변화에 따른 동선을 독자들도 같이 느껴보게끔 하는 역할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된다.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지크의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는 기분도 괜찮고, 리뷰를 쓰려니 다시 또 찾아서 듣게 되는 것도 괜찮은, 저자가 아마도 차후 이 작품에 대한 호응을 고려한다면 또 다른 따뜻한 감성의 이야기를 전달해 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해 보게 된다.
정말 기막힌 우연한 만남도 물론 있겠지만 책 속에서 그리는 만남엔 역시 노력도 포함이 되어야 함을, 그래서 내 상대방에 대한 확신을 감사히 느끼면서 살아가게 되는 여운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이런 소설은 일본어로 읽으면 더 감칠맛이
날것같아요.
봄에 일본 한번 가볼까 생각중인데 서점에
들리면 한번 찾아봐야 겠습니다.
네.
천천히 읽으시면서 음악과 함께 하는 독서가 되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