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7년 5월 24일

저스티스맨

저스티스맨

저스티스맨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도선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6월

 

 

 

 

 

한 사람이 그것도 두 군데서 한 해에 두 개의 대상을 거머 줬다는 것은 실로 어렵기도 한 일이기도 하지만 대상으로 뽑힌 그 이유엔 그럴만한 타당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 이 책을 접하면서 잠시 또 한 번의 흥분을 느낀다.

 

문학동네 소설상 수상작가로서 그의 작품인 ‘스파링’에 대한 강렬함이 채 가시기도 전에 매번 좋은 작품의 선정으로 인해 독자들로 하여금 독서의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 준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이 바로 같은 작가란 기사를 접하고 무척 놀랐다.

 

전작에 대한 기대를 또 한 번 느낄 수가 있을까에 대한 기대감을 상상하기도 했던 바, 역시 이 작품 또한 사회 전반에 걸친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예리하게 지적한 글이다.

 

이마에 두 개의 탄알 구멍이 난 상태로 발견된 피해자의 수가 동일한 방식으로 발견이 되고 단지 유일하다 싶은 증거는 대한민국이란 나라에선 좀체 보기 힘든 권총을 이용해서 죽인 사실뿐이다.

 

당연히 죽은 사람들에 관한 연관성 자체는 물론이고 전혀 어떤 근거도 잡을 수 없이 방황하는 경찰들의 시선을 뒤로하고 국민들은 그 대상이 모두 나에게도 해당이 될 수 있다는 공포에 휩싸이게 되는데, 어느 날 저스티 맨이란 닉네임을 가진 자가 등장해 이 사건들에 대한 자신 스스로 나름대로의 자료와 논리를 통해서 사건 자체에 대한 전모를 제시하게 된다.

 

사건의 첫 주자의 발생 원인부터 조목조목 지적해나가는 일련의 사실성에 접근한 근거는 소수의 누리꾼들에 의해 이루어지다 어느 순간 일곱 건의 살인에 대한 게시물을 통해 그 숫자가 오십만이 넘게 되고 순간적으로 누리꾼들의 시선은 저스티 맨이 이루어 놓는 카페 가입을 시작으로 저스티 맨과 연쇄살인범에 대한 추종이 어느 신을 떠받들 듯 절대적인 신앙처럼 번지게 된다.

 

익히 익숙한 인터넷 세상에서 마우스 하나로 모든 정보를 습득하기 쉬운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들, 너도 나도 누리꾼이 될 수 있는 자격이 갖추어져 있는 사람들의 소양은 이 익명의 세계를 넘나들 때 과연 어느 정도의 양심과 자격을 갖추어져 있을까를 생각해 보게 된다.

 

가장 쉬운 예를 들어보자.

어떤 유명 연예인의 가십을 주제로 토론을 벌일 때 자칭 덕후들의 팬덤현상은 가히 일반 사람들이 상상하는 정도를 넘어선다.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에 대한 어떤 기사에 대한 내용이 자신들이 사랑하는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나 언행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나 설사 그 연예인이 보통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동들을 했을지라도 이미 그를 사랑하는 팬들은 그 사실마저 인정치 않는 괴력의 모든 행동을 불사하는 경우를 더러 볼 때가 있다.

 

나의 생각이 타인과 다름을 인정하지 못했을 때의 현상, 바로 이 책에서 다루는 저자의 글들을 읽고 있노라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댓글 토론이나 그 현상에 대한 흥분을 넘어선 자제하지 못하는 일부 누리꾼들에 대한 모습을 여실히 들여다볼 수 있다.

 

처음의 작은 시작점이 점차 팬덤처럼 커지고 저스티 맨의 주장을 사실처럼 받아들이는 사람들, 그에 반한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을 공격하는 익명의 인터넷이란 세상에서 오고 가는 언어폭력을 넘어서 그것이 마치 진실인양 정의감과 도덕적인 행동에 따른 우월감이 전혀 나와는 연관이 없는 타자에게 어떻게 다양한 폭력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를, 소수의 의견의 소중함은 아예 잘못된 식이란 전제하에 이루어지는 다수의 논리의 대세 흐름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참모습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함마저 들게 한다.

 

폭력이란 것이 단지 어떤 육체적인 것만이 아닌 언어라는 것을 통해 행해지는 폭력이란 것을 생각한다면 이 책에서 다루는 진정한 정의는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까지 도달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 살인 사건의 전모를 파헤치려는 누리꾼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실로 혀를 내두르게 하는 모양새들은 살인의 원초적인 근본적인 실체는 이제 저리 가고 오로지 허공에 떠돌아다니는 난상토론을 토대로 이를 어느새 자신의 왕국 안에서 군림하는 왕의 존재처럼 느껴지는 저스티 맨이란 인물과 아무리 사람이 미워도 살인이나 폭력만은 안된다는 사실 하에 저질러지는 연쇄살인범에 대한 처벌은 과연 법에 따른 정당한 형량을 받아야만 하는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다.

 

죽은 자들에겐 저스티 맨에 의한 논리에 의하면 모두 죽을 만한 이유가 있는 사람들, 사회적으로도 없어져도 될 만한 행동을 한 사람들이란 인식하에 어느새 누리꾼들 사이에 우상처럼 떠오른 게 되는 이러한 사회 현상 속에  그 안에서 무리들 틈에 끼여 혼자의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행동들도 과감히 나서게 되는 사람들의 심리와 양심, 특히 나만 아니면 된다는 안심과 그럴듯한 논리에 의해 타당성을 부여하려는 의지마저 보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저자는 정곡을 찌른다.

 

 

-독단적으로 폭력 또는 살인을 저지를 용기가 없는 이들은 한데 뭉쳐 무리를 이룬다. 누군가 불을 지르면 따라 지르고 집회에 참가하면 그곳에 함께 서 있으며 소리치면 함께 고함친다. 그들에게도 역시 모든 게 수월하고 익숙하며 두려움 따위 이제 더는 없다.-p 219

 

악이란 타고났을 때부터 있는 것인가? 아니면 기타의 여러 가지 상황들 때문에 생기는 것인가에 대한 생각은 연쇄살인범의 행동이나 저자가 주장하는 본성이라고 부르는 악에 대한 것을 읽다 보면 과연 악과 선의 경계선을 구분 짓기란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태초의 정통성을 지닌 악은 삶의 또 다른 면이자 선이자 색이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그토록 오랫동안 그것을 자신의 마음 한구석에 숨겨놓을 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 매혹의 힘이 너무나도 강렬하기 때문이었다. 단숨에 삶의 균형을 무너뜨릴까 두려워 묻어둘 수밖에 없었던 무언의 합의. 또 하나의 본성.- p 9

 

 

책은 미국의 화가 잭슨 폴락의 그림의 제목을 소제목으로 이용하는 노련함을 보인다.

 

일반 사람들의 눈에는 익숙지 않는 과감성을 보인 화가의 작품들이 어떤 특정한 논리와 전문가들의 소견으로 이루어진 작품으로  인정받게 되면 그 순간 그의 작품은 이미 어떤 평가 자체에 대한 선을 넘은 명작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될 때처럼 이 연쇄살인 사건을 토대로 벌어지는 온라인 상의 누리꾼들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심리 그 근저의 기저에는 현실에선 이루어질 수 없는 일들, 즉  도피적인 탈피에서 벗어나고픈 욕망과 그 실현을 대신해 줄 수 있는 가상의 익명성이 보장하는 인터넷이란 세상에서 할 수 있는 비열함과 뒤틀린 모습들을 통해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진 악의 원천으로도 자생할 수 있다는 점, 이런 한계를 넘어서면 더 이상 타인의 주장은 귀 기울이려 하지 않는 행동까지 갖게 되는 현상들이 새삼 또 다른 공포를 자아내게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해서 쏟아내는  비방과 욕설로 무릎 끊게 함으로써 더 이상의 반대 이론을 제시할 수 없게 만드는 악의 근원은 바로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지금도 여전히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처럼 숨어 있다는 사실, 특히 책 종반부에 범인이 하는 행동의 실천과 나름대로의 논리를 보면 왜 저자가 잭슨 폴락의 그림 제목들을 이용했는지를 깨닫게 된다.

 

저스티 맨을 내세운 저자의 사회 전반적인 현상을 그려낸 이 책을 통해 또다시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자화상을 보는 듯도 한 여운이 남아 있는 책이기도 하고, 무심히 던진 돌에 개구리의 생명은 이미 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없는 처지가 되는 경우를 볼 때 한 개인의 무심코 친 댓글로  인해 목숨까지 끊는 심정까지 가게 하는 일들은 더 이상 이 사회에서  근절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로 넘어가게 한 책이다.

 

저자의 추리기법을 통한 범인의 존재를 궁금해하는 기법도 인상적이었지만 사회 전반부에 흐르는 이러한 현상들을 제대로 그려낸 저자의 깊은 세심한 표현이 기억에 남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