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12월
어느 시구의 말처럼 선택의 기로에 있는 길을 보았고 나의 길을 골라야 한다면 나의 기준점과 그 선택에 있어 후회는 하지 않을 자신이 있을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인생의 긴 굴곡진 삶을 살아가는 여성들, 특히 이 책에 등장하는 세 여인들의 삶의 궤적을 읽노라면 더욱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지금은 없어졌다고는 말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깊숙한 인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는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투영한다.
인도의 바들라푸르의 스미타는 가장 최하층인 불가촉천민이다.
조상 대대로 수드라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 계급을 달고 사는 존재이기에 하는 일도 상위 계급의 똥을 손으로 치우는 일을 하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대대로 자신의 계급을 벗어나고자 했으나 대물림을 벗어날 수 없는 처지에 놓은 스미타의 꿈은 딸만이라도 자신의 한계를 벗어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생활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학교에 보냈으나 그곳에서 차별이란 대우를 받는 딸을 보고는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다.
한편 다른 쪽의 이탈리아-
조상 대대로 가업을 이어받고 살아가는 줄리아는 자연적으로 머리가 빠진 형태나 기타의 경우를 통해 머리카락을 모아 가발을 만드는 장인 집안의 여성이다.
어느 날 아버지가 쓰러지면서 파산 위기에 처한 공방을 살려야만 한다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또 다른 쪽의 캐나다의 여성 변호사로 살아가고 있는 사라는 두 번의 이혼과 결혼을 통해서 자신 스스로 삶의 개척을 하고 살아가던 중 유방암 선고를 받는다.
병으로 인해 순식간에 쌓아 올린 지위를 잃은 배신감에 빠진 그녀는 과연 이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을까?
책의 제목인 ‘La tresse’는 ‘세 갈래로 나눈 머리카락을 서로 엇걸어 하나로 땋아 내린 머리’, 혹은 ‘세 가닥을 하나로 땋아 엮은 줄이나 끈’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전혀 상관없는 세 여인들의 연관성은 책의 흐름을 따라가면서 점차 주시를 하게 만들고 그들 세 여인들 곁에선 나름대로의 위안과 용기를 불어넣어주는 주변인들이 있다.
책 속에서 이어지는 세 여인들이 자신들의 삶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난관을 이겨나가는 기본 바탕에는 활기와 희망적인 기분, 그리고 자신들 스스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려는 노력이 돋보인다는 점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차별과 젠더의 차별을 통해 보이는 여성이 가진 지위의 한계성을 보인 이 소설은 과연 이 모든 것을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갇힌 문을 박차고 나가야 한다는 노력이 있어야만 하나는 사실, 그 노력이 있음으로 해서 자신들이 원하는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들을 일깨워준다.
각기 다른 곳에 살고 있지만 하나의 머리 갈래처럼 연관이 되어 있는 세 여인들의 삶, 읽으면서 후회 없이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갈 용기를 조금은 얻게 되는 책이 아닌가 싶다.
***** 삶에 쳐놓은 차단 벽을 없애면 거짓말도 필요 없어진다. 더는 삶을 둘로 나누어 살지 않아도 된다. – p.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