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란드의 밤

라픞란드

라플란드의 밤
올리비에 트뤽 지음, 김도연 옮김 / 달콤한책 / 2018년 1월

북극지대, 특히 극지방 가까이 있는 나라들의 삶, 보통 스칸디나비아 반도라 불린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추위에 대한 생각은 우리가 요즘 느꼈던 추위와는 상상을 초월한다.
그곳에서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사미족이란 민족에 대해 알게 된 것은 방송에서 다룬 어느 한 프로그램이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이 바로 우리들 삶의 방식과 아주 비슷한 점이 많았다는 점이다.
서양인들은 대부분  집에 들어서게 되면 신발을 신은 채 거실이나 다른 곳을 돌아다니는 생활방식을 볼 수 있지만 사미족들은 생김새는 서양인의 모습이었지만(동양인들 시선에서 보자면 말이다. 같은 서양인들이 보면 또 다르게 다른 민족으로 구분될 수도 있겠다.) 그들은 집에 들어오면 신발을 벗고 집 안에 들어간다는 사실이 당시 무척 생소하면서도 신기하게 여겨졌었다.
아마도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게 됨과 동시에 동양적인 어떤 부분들이 혼합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을 느꼈던 민족,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을 때의 궁금증은 스릴러, 특히 인간에게 극도의 고통을 가하는 추위 속에서 순록을 지키며 살아가는 민족의 삶들을 볼 수  있다는 점, 그 가운데 살인 사건이 벌어진 이유와 그 결과물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지금의 사미족들이 살고 있는 지역인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라플란드 지역이라고 부른단다.

사미족의 또 다른 명칭을 불리는 이름을 따서 불리기도 한다는 라플란드-
이곳에서 철에 따라 순록을 따라다니며 지키는 순록지기들은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현대에 들어서 보다 쉽게 지키기 위한 방편인 스노 모빌을 장착하며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는 곳이다.
샤먼의 아들인 순록지기가 양쪽 귀 모양이 정교하게 잘린 채 살인 시체로 발견이 된다.

잘린 모습은 마치 자신들의 순록임을 증명하는 절차인 순록 귀에 낙인을 표시하는  방식처럼 비슷한 모습이다.

 

여기에  박물관에 소장되어 곧 전시 공개될 예정이었던 전통 사미 북이 행방이 묘연한 채 도난이 되고 이 사건을 수사하는 사미족 출신의  베테랑 순록 경찰 클레메트와 젊은 니나 대원이 참여를 하게 되면서 두 사건의 연결고리를 파헤치게 된다.
전통적으로 자연에 순응하며 순록을 지키며 살아갔던 사미족들, 어느  순간 자신들이  이 땅에 주인이라고 들어온 유럽인들에 의해 샤먼의 존재, 그들이 믿었던 신앙, 그들이 신성처럼 여긴 사미족 전통 북은 목사들에 의해 가감 없이 불태워지거나 없어져 버리고 강제 종교 개종을 당한 지금은 극소수의 북만 남은 상태란 점은 소수 민족으로써 겪어야 했던 아픈 그들의 역사를 추리 스릴이란 장르를 접목시키면서 더욱 몰입으로 이끈다.
도대체  북은 누가  왜 가져갔으며 순록지기의 죽음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일까?

 

과거인 1939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사건의 해결 실마리 속에는 이런 사미족들이 겪어야 했던 아픈 역사를 같이 보임으로써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에 대한 인간들의 탐사와 채굴 과정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죽어가는 모습, 지금의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에 이르는 방대한 지역에서 서로가 서로의 순록들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살아갔던 사미족들의 지역을 그들만의 방식으로 헤쳐 모여 식의 땅 구분을 지음으로써 차별대우를 받는 현시점을 고발하는 책이기도 하다.

 

해가 뜨지 않는 40일간의 극야가 끝나고 태양이 돌아오는 땅, 그 땅 안에서 벌어지는 각기 이익을 취하고 탐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바라 본 오늘날의 복지국가 대명사로 불리는 북유럽권 안의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간차별에 대한 고발은 가슴이 아파옴을 느끼게도 해 주는 대목들이다.

 

자연주의 순록지기, 전통 방식으로  가지고 있는 한도 내에서 살아가고자 하는 아슬락의 모습은 그런 의미에서 진한 잔상을 남기게 했다.

 

끝없는 인간의 탐욕 정신, 때론 이익에 부합될 수도 있는 결과물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순록들의 생활과 순록지기들의 삶 형태를 바꾸어 버리는 행동들은 지향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들게 한 책이다.

 

천연의 자연현상인 북극광의 모습과 넓게 펼쳐지는 눈보라의 무차별 공격, 그 속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자연 순응적인 모습들은 스릴 장르의 형식과 함께 또 다른 우리들의 미래 모습을 생각해보게 한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