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9년 2월 20일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

 

집밥역사앞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 – 맛깔나는 동서양 음식문화의 대향연
신재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1월

 1인의 생활권이 대세다 보니 어쩌면 방송 자체에서 하는 요리들도 이들의 니즈에 맞추어 필요한 것들만 갖추어 방송하는 경우도 많고 마트에만 가도 이제는 혼자서 한 끼 해결을 하는데에 전혀 부담감을 느낄 수가 없는 시대다.

 

신조어인 ‘집밥’이란 용어는 언제부터인가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엄마표 밥을 먹고 싶다는 향수에 젖은 단어가 되기도 했지만 이 책에서 보인 집밥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긴밀한 관계를 다루고 있다.

 

우리에게  이제는 친숙한 의미의 채소나 생선, 소고기와 돼지고기가 우리들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당시 시대적인 흐름과 기계의 발전, 그리고 인류의 발자취가 어떻게 그려지느냐에 따른 별미의 음식으로 탄생되기도 하고 영양면에서  슈퍼푸드로써 당연히 자리 잡고 있는 아보카도 같은 경우는 타국에서 생산과 재배하는 과정에서  자연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해 준다.

 

소울푸드라고 하는 개념의 음식으로 저자는 감자탕의 이야기를 다룬 부분들은 남는 음식을 어떻게 다시 새로운 음식으로 탄생하느냐에 따라 인간의 혀를 유혹하는 단계까지에 대한  예시를 다루고 있어 흥미와 재미를 준다.

 

하지만 이렇게 인간의 식탁에 오르는 음식의 역사에는 아이러니하게도 또 다른 인간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 흑인들의 노예 착취에 따른 대륙의 인간 이동 경로와 이런 희생의 결과물로 프랑스 음식들이 발전을 거듭할 수 있었다는 어두운 면들은 새삼 인류와 음식의 연관성에 대한 역사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와 음식과 다른 나라의 유명한 음식에 얽힌 이야기의 다양성, 그리고 천대받던 음식들이 어떻게 오늘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됐는지에 대한 글은 미처 몰랐던 조리과정과 그에 따른 영양학적인 내용들, 음식을 보관하고 발전하는 단계에 따른 그릇과 냉동기계의 혁신적인 발달사는 집밥의 역사를 통해 또 다른 관심을 불러일으킨 책이다.

 

 

몽진

몽진
이완우 지음 / 지식과감성# / 2018년 12월

 

 

 

*****  몽진 – 머리에 먼지를 쓴다는 뜻으로, 임금이 난리를 피하여 안전한 곳으로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책 제목에서 나오듯 이 책은 역사소설이다.

 

시대는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우리의 역사 속에서 많은 것을 변화시킨 이 전쟁은 그 속에서 어떻게 백성들은 살아갔고 살아내야 했는지, 그에 더불어 주요한 소재인 실록과 어진의 이안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 책이다.

 

조선왕조 오백 년 역사 속에서 기록의 문화라고 할 수 있는 실록은 임진왜란 당시 춘추관과 충주사고, 성주사고가 병화로 소실된 후 유일한 보관장소였던 전주사고의 실록과 조선 태조 어진의 이안 과정, 그리고 보존 과정을 급박했던 당시 배경을 토대로   저자는 상상의 나래를 편다.

 

임금마저 궁을 버리고 몽진을 감행해야 했을 정도의 당시 상황들 속에 실록 보존과 어진의 이안을 감행한 이들은 벼슬아치들이 아닌 평범한 선비 안의와 손홍록 그밖에 이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이안하는 과정에서 만난 도적들, 스님, 수복, 무사였다.

 

모두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나라의 백성으로서 반드시 이것만은 해야만 한다는 당위성, 그 당위성 안에 하나뿐인 목숨마저 걸고서 이행하는 과정은 고위관직을 담당했던 관리들, 임금마저 부끄럽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나라가 있고 백성이 있다는 말이 바로 이 책에서 보인 진행 과정과 침략 속에서 모두가 피하고 싶었던 행동들을 통해 가상의 상상력이라고는 하지만 읽는 내내 뜨거운 무언가가 올라오게 만들었다.

 

 

 

왜구를 물리쳐 이름을 날린 유명한 위인들도 있지만 이렇듯 역사 속에 자신의 이름조차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진 그들, 나라가 무엇인가를 해주길 바라기 전에 나 자신이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행동을 보인 이들이야말로 조선을 살려낸 백성들이란 생각이 든다.

 

이런  그들이 있었기에 우리나라의 산 역사가 있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는 사실, 새삼 책을 통해 다시 한번 그 느낌과 감동의 울림이 여운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