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9년 4월 10일

빈센트 나의 빈센트

빈센트 빈센트 나의 빈센트 – 정여울의 반 고흐 에세이
정여울 지음, 이승원 사진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이름이 널리 알려진 예술가들 중에는 살아생전 자신의 명성을 제대로 느끼며 살다 간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빈센트 반 고흐가 아닐까 싶은데, 미술 시간에도 이런 이야기들을 들은 터라이번 책을 접하면서 저자가 그린 빈센트에 대한 내용이 궁금했다.

 

지금도 엽서나 편지지, 때론 영화의 한 장면이나 소설의 소재로서도 가끔 나오는 고흐의 그림들은 색채의 명암이나 농도, 채도에 있어서 그만이 그릴 수 있는 독보적인 색채를 드러내고 있다.

 

저자는 이런 그의 그림에 반해서 지난 10년간 빈센트가 머물었던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도시 곳곳을 찾아다니면서 그의 흔적을 담고 자신의 지난 삶에 위안을 준 그의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펴냈다.

 

살아생전 부모나 주위 사람들의 사랑이나 인정을 받지 못했던 고흐의 삶은 지금 생각해도 궁핍과 외로움, 쓸쓸함이 많이 담긴 인생이었을 거란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는 이런 자신의 힘겨운 삶을 그림을 통해 오히려 이겨내는 역발상의 힘을 발휘하며 살아간 인물이었다.

 

자신에게 다가오는 모든 어려움을 그림으로 위안을 삼은 사람, 이 책을 읽으면서 보통의 우리들도 때론 힘들거나 지칠 때 타인을 만나거나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 자신에게 맞는 위로의 어떤 대상이나 취미로 그 갈등을 해소한다는 점에 비추어 그의 이런 행동을 일말 이해하게 된다.

 

자신의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갔던 그였기에 이러한 좌절과 고통은 오히려 창조의 힘을 발휘하는 보조의 역할까지 담당하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마저 해보게 되는데, 저자는 이러한 그의 삶을 그림을 통해 아픔에 맞서기 위한 행동이라고 말한 부분이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빈센트1

 

독서광이기도 했던 고흐, 동생 테오와 나눈 편지는 이미 유명하지만 그의 전체 생을 관통하는 그림이 주는 위안과 창작의 힘을 넣어준 불굴의 의지는 살아생전 그의 명성이 좀 더 일찍 알려졌더라면, 그래서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통해 또 다른 작품의 탄생을 기대해볼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저자가 그린 빈센트에 대한 이야기는 기존의 고흐에 대해 알고 있었던 이야기 외에 그를 애정 하는 한 개인이 느끼며 쓴 담백하고도 긴 여운이 남는 글이 인상적으로 다가온 책이다.

비아 로마

비아로마  비아 로마 – 로마의 50개 도로로 읽는 3천 년 로마 이야기
빌레메인 판 데이크 지음, 별보배 옮김 / 마인드큐브 / 2019년 4월

로마에 대한 글을 다룬 책들이 많다.

 

지금의 유럽 대부분을 정복하고 이를 토대로 지금까지 알게 모르게 생활에서부터 정치, 언어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스며들다시피 한 영향력의 파급은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

 

그래서일까?

여러 변주를 담은  교향곡의 선율처럼 로마에 대한 이야기는 질리지가 않을 만큼 재미와 흥미, 역사를 잘 알지 못한다 하더라도 이를 통해서 알게 되는 내용들이 많다,

 

이 책은 로마에 대해 다루는 다른 책들처럼 로마란 제국, 처음부터 강대국이 아닌 나라가 어떻게 제국을 이루었으며 그 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아, 즉 길을 통해 로마에 대해 알아보는 책이다.

 

흔히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사통팔달 형식의 모든 길의 정비, 특히 위급한 상황에 닥치더라도 로마인의 기질상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고 길을 만든 그들의 탁월한 안목은 길에서 생성된 모든 이들의 이야기요, 역사의 현장이며 그렇기에 유럽권 통치를 이루게 한 원동력이 되었음을 알게 해 준다.

 

 

 

 

로마2

 

로마의 젖줄인 테베레 강부터의 원초적인 시작이 된 이야기의 서두는 로마의 태동부터 서서히 그들이 필요에 의해 ‘길’에 주목함으로써 어떻게 이를 유지하고 이용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탈리아란 나라 자체가 어느 곳을 둘러보아도 역사적인 내용을 간직하고 있지 않은 건물이 없는 만큼 그들의 역사 속에 담긴 현장의 모습들은 특히 관광객으로서 다녀 본 지난날의 추억과 함께 그때의 길이 지금도 밟고 다니는 현장이란 말엔 놀라움을 금치 못했던 기억마저 떠오르게 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아피아 가도의 생성 시초부터 그 이후 각 길에 담긴 이름의 내력, 고대 로마부터 파시즘과 2차 대전을 거치면서 그 당시의 흔적들을 통해 역사의 발자취를 알아보는 책이기에 실제로 책 뒤편에 담긴 지도를 통해서 여행을 해본다면 그 의미는 훨씬 크게 다가올 듯싶다.

 

로마3

 

학창 시절 그리스와 로마의 비교를 공부할 때 로마인들은 정서적인 면보다는 실리적인 면에서 강하단  내용을 기억하게 하는 책, 그래서인지 도로를 만든 목적의 이용가치는 결국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지 않았나 하는 느낌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한다.

 

각 도로마다의 기능도 구분되어 있었다는 점, 팽창의 일로에 있던 로마제국이 곡식 수급 상황이나 홍등가의 장소로 대표되는 수부라 광장, 그랜드 투어라 불리는 서양 귀족 자제들의 유럽 견문 넓히기에 일조를 한 카로체 거리까지, 그 무엇 하나 허투루 넘겨가며 읽어볼 수 없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역사 속의 한 시대를 풍미한 로마제국이란 테두리 안에 담긴 비아 로마가 차지한 역할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이었음은 두말 할 필요도 없는 것이요, 그  길에서 생성된 많은 인간들의 교류와 역사는 지금까지 여전히 그 생동감을 불어넣는 매개가 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길에서 태동한 인간의 역사 이야기이자 길이 주는 단어 그 자체보다 훨씬 깊은 의미를 부여해주는 이야기, 다시 한번 로마의 그 길을 밟아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