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9년 6월 20일

살아서 가야 한다.

살아서

살아서 가야 한다
정명섭 지음 / 교유서가 / 2018년 11월

역사란 굴레 속에서 인간들의 삶은 운명처럼 굴러간다.

특히 신분계급이 엄연히 있었던 과거의 시대라면 더욱 그럴진대, 여기 쌍둥이처럼 태어난 두 남자의 운명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흘러간다.

 

왜란 때 조선에게 군사를 보내준 명의 청을 거절할 수없었던 왕은 이미 누르하치의 근접할 수 없었던 세력이란 느낌이 있었음에도 결국 군사를 보내게 된다.

 

양반 출신의 강은태는 자신의 가문 입지를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한 아버지의 뜻을 따라가게 되었고 노비 모종 법에 따라 노비가 된 황천도 역시 주인댁 아들 대신 전장에 나가게 된다.

 

두 사람의 기막힌 인연, 후금의 거센 공격에 둘은 포로가 되면서 신분의 차별 없는 노비 생활로 들어서게 되었고 이후 둘은 쌍둥이처럼 같이 지내며 신분을 초월해 돈독한 우정을 이어가며 혹독한 삶을 지탱한다.

 

그들이  희망은 단 하나, 살아서 가족이 있는 조선으로 돌아가는 것-

그러던 어느 날 노비 생활 20여 년에 들어선 두 사람 앞에 인생의 희비가 엇갈린다.

임금이 바뀌면서 속환사를 통해 강은태는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고, 황천도만 남게 된 상황이 닥쳐온 것이다.

 

책은 이 시점에서 스릴과 긴박감의 연속성을 보이며 진행된다.

중국에선 신분의 구별이 없던 그들에게 이렇듯 고국이란 이름 앞에서는 확연히 달라지게 되는 상황은 황천도가 벌인 행동을 통해  같은 하늘 아래 같은 인간이란 존재로서 느끼는 좌절감과 더 이상을 이렇게 살 수 없다는 강한 의지가 섞이면서 극단적으로 치닫는 행보를 보인다.

 

강은태를 죽이고 자신이 강은태 행세를 하면서 살게 되는 계획을 세운 황천도가 겪는 고국에서의 아슬아슬 줄타기의 인생 모험은 손에 땀을 쥐게 하면서 그가 겪는 애환은 또 다른 한 인생의 단면을 보인다.

 

저자는 역사적인 사실과 허구를 적절히 가미해 인간들이 역사라는  굴레와 나라의 위정자들에 의해 결정지어진 운명을  어떻게 개척하는지, 그 개척의 의미가 과연 자신에게 어떤 희망을 보이는지를 스릴을 통해 보인다.

 

***그렇게 살고 싶지는 않았다. 강은태로 살아가고 싶었다. 그래서 아무런 일도 안 하면서도 끼니 걱정을 하지 않고, 솜털처럼 부드러운 비단옷을 입고 따뜻한 솜이불을 덮고 자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완벽하고도 완벽하게 강은태로 살아야 했다.

 

영화 ‘마틴 기어의 귀향’이나 ‘써머스비’, ‘리플리’를 연상시키기도 하는 황천도란 인물의 행보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또 다른 방향으로 선회한 행동들은 과연 나라면 이런 상황이 닥쳐온다면  어떤 결단을 내릴 수 있을까를 묻게 한다.

 

거스를 수 없는 숙명 앞에  삶과 생존의 또 다른 이름인 강은태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황천도의 삶을 통해 역사와 시대적인 비극의 모습을 보인 책이라 책 제목이 다시 한번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삶과 문학의 경계를 걷다.

삶과문학의경ㄱㅖ삶과 문학의 경계를 걷다 – 김종회 문화담론
김종회 지음 / 비채 / 2019년 5월

어떤 사람의 인생의 이야기를 풀어내자면 때론 소설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마치 지어낸 것처럼 받아들여질 때가 있다.

 

이는 삶에서 차지하는 문학이란 장르를 생각하게 만들며 문학이란 어떤 허구적인 상상의 발로에서 시작되는 부분이 들어있지만 분명 이렇듯 인간의 지난한 삶을 반추해볼 때 연관이 지어질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저자의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은 바로 이러한 연장선에서 생각을 하게 했다.

 

제목 자체가 어렵게 받아들여졌음에도 내용은 그동안 무심코 읽어왔던 문학의 범주와 그 연장선에 있는 삶에 대해서 연신 생각을 해보게 한다.

 

모두 다섯 장, 55 꼭지로 구성된 책의 내용은 특히 새로운 신조어인 ‘디카시’를 다룬 부분에서 신선함을 던져준다.

 

 

디지털카메라와 시(詩)의 합성어로서 위의 새로운 신조어는 어플처럼 다뤄진다고 보면 훨씬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이처럼 저자는 우리의 문학의 경계 부분에서 시작해 경계를 좀 더 넓혀 재외 문학, 번역문학, 한국문학과 북한 문학까지를 두루 다룬다.

 

자신의 개인적인 돌아가신 분들에 대한 이야기부터 요즘 활발하게 출간되고 있는 중국문학에 대한 이야기까지 전방위적인 폭넓은 이야기들은 문학의 또 다른 범위를 알려주고 있어 흥미를 일으킨다.

 

특히 책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알아가는 점을 들어 이야기한 부분은 군포 도시에 대한 설명과 함께 군포가 ‘책과 독서의 명품도시’라는 이름으로 소개되기까지 노력한 점들을 다룬 부분이 인상 깊게 다가온다.

 

책을 읽다 보면 책 속의 내용 중에 드러난 어떤 부분들을 연계해 그와 관련된 책을 찾아가는 경험이 있듯이 이 책을 통해 저자의 경험과 연륜이 쌓여 드러난 지식의 내용을 흡수한다는 느낌을 받게 한 책이었다.

 

작가는 삶과 문학의 경계를 걷는다고 했는데 정말 맞는 말이란 생각이 든다.

알게 모르게 우리들의 삶 자체가 바로 문학을 통해 진실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생각, 그런 점에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문학의 발전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듯하다.

 

 

특히 향토문학에 대한 부분들, 이병주 작가의 책을 언급한 부분이나 다른 작가의 문학들을 이 책을 통해 접해 보니 새삼 다시 들춰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며 한국문학의 저변 확대와 범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 작가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종횡무진 문학에 대한 많은 것을 느끼며 읽을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브링 미 백

브링미백브링 미 백
B. A. 패리스 지음, 황금진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6월

전 작품들을 통해 충분히 독자들의  마음을 흔들었던 작가의 신작이다.

 

심리 스릴러의 전형처럼 보이는 진행은 이미 이런 패턴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여전히 궁금증 유발과 호기심, 도대체 왜?라는 의문까지 더해지면서 몰입의 강도를 높인다.

 

아버지의 폭력과 엄마의 죽음 이후 집을 가출한 레일라, 스코틀랜드에서 영국으로 오면서 첫 만남을 통해 첫눈에 반한 핀과 사랑을 하게 되고 그들은 완벽한 커플로 프랑스로 여행을 떠난다.

 

하지만 휴게소에서 돌연 자취를 감춘 그녀, 그녀가 남긴 흔적이라고는 항상 몸에 지니고 있었던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뿐이다.

 

끝내 레일라의 행방은 찾을 길 없는 상태로 12년이 흐르고 지금 핀은 결혼을 앞두고 있다.

 

상대는 레일라의 친언니 엘런이다.

 

추모식에서 만난 이후 눈동자만 같을 뿐 전혀 다른 느낌과 행동을 보인 엘런을 통해 핀은 그녀를 보면서 레일라를 떠올리게 되고 이후 차츰 가까워지면서 다른 느낌의 사랑을 하게 되는 연인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레일라를 봤다는 신고를  경찰로부터 전해 듣게 되고 이후 집 앞에 놓인 마트료시카 인형의 제일 작은 인형이 계속 나타나면서 레일라의 존재감을 핀은 서서히 느끼기 시작한다.

 

메일을 통해 핀에게 계속  풀릴 듯 풀리지 않는 듯한 수수께끼 같은 방식을 보인 그는 누구인가? 정말 레일라인가? 아니면 레일라를 빙자한 전혀 새로운 미지의 인물인가?

 

책은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가며 핀과 레일라의 독백 형식으로 그들에게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를 알게 한다.

 

진정한 사랑이란 감정을 느꼈을 두 사람 사이에 오고 간 불신과 배신감, 과거의 악몽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사람의 입장에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결심의 결과물들….

 

이미 책을 통해 내용을 반추해가는 과정들 속에 독자들 중 일부는 레일라의 존재애 대해 어떤 감각을 통해 느낌을 받으며 읽게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과연 레일라가 살아있다면 그녀는 12년이 지난 이제야 이런 일들을 벌인 것일까?

심리 스릴러답게 모든 적재적소에 의문과 의심의 미끼를 던져놓고 진행을 벌이는 저자의 패턴은 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어지지만 이 책에서 보인 또 다른 반전의 맛은 새로운 맛의 스릴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끝까지 모른 척하며 살아갈 수도 있었을 과거의 그녀,  그녀와 언니의 비밀들, 사랑이란 이름으로 두 여인을 사랑한 한 남자의 기막힌 인생 이야기, 한번 펼치면 다음 진행이 궁금해져 책을 놓을 수가 없는 매력을 지닌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