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이 휩쓴 세계사 – 전염병은 어떻게 세계사의 운명을 뒤바꿔놓았는가 ㅣ 생각하는 힘 : 세계사컬렉션 17
김서형 지음 / 살림 / 2020년 5월
연일 코로나 19 때문에 전 세계가 흔들리고 있다.
메르스 사태 때만 해도 이렇게까지 장기간의 영향과 거시적 세계 경제까지 요동칠 줄은 몰랐던 터라 이번의 질병 사태는 더욱 심각함을 느끼게 한다.
저자는 빅 스토리의 관점으로 우리들이 사는 세상과 질병과의 연관 관계를 재조명해보는 책을 썼다.
고대의 벽화를 통해서라든가 여러 자료수집에서 드러난 것들을 통해 그려본 질병, 전염병이 휩쓴 세계사를 읽노라면 의식적, 무의적으로도 질병은 항상 우리들 곁에 있어왔다는 깨달음을 준다.
인간이 동굴생활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농경생활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야생동물을 기르기 시작하고 그 야생 동물이 갖고 있던 병균은 인간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면서 본격적인 질병의 세계사이자 인간의 역사를 함께 한 동반자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책에서는 총 5장에 걸쳐 인간의 역사의 시작부터 발생한 질병부터 현재의 네트워크 발달로 전 지구적인 교류가 일일 권에 접어들게 되면서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보인다.
고대의 ‘아프로-유라시아 교환 네트워크에서 발생된 실크로드를 따라 번진 천연두, 바닷길이 열리면서 번진 페스트, 몽골제국의 등장과 함께 유럽 전역을 휩쓴 흑사병에 대한 묘사들은 지금의 코로나 19를 연상시킨다.
특히 흑사병의 정확한 원인조차 몰라 시체가 쌓여있는 상황 속에서 특이한 복장을 한 채 여기저기 시체들을 보는 사람에 대한 묘사는 인상적이다.
– 유럽 여기저기서 거리에는 시신들이 가득 쌓였는데, 그 사이로 특이한 복장을 한 사람들이 지나다녔다. 새 부리처럼 길게 튀어나온 가면을 쓰고 긴 가운을 입었다. 모자를 쓰고 장갑을 낀 채 긴 막대기로 시신들을 뒤집어 보는 이들은 바로 의사였다. 마스크에는 향신료나 식초를 묻힌 헝겊을 넣었고, 눈 부분에는 유리를 넣었다. 흑사병의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에 당연히 효과적인 치료법도 없었다. 의사들이 할 수 있는 일은 환자로부터 최대한 거리를 두는 것뿐이다. 요즘 말로 ‘사회적 거리 두기’다.- p 57
이후 본격적인 유럽인의 대항해 시대를 통해 이주된 아메리카인들과 천연두의 관계는 지금도 미스터리로 남은 잉카제국 및 아즈텍 제국의 멸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힌 천연두가, 모자란 노동력 보충의 일환으로 아프리카인들을 노예선으로 운반해 이주시킨 결과물인 황열병, 이밖에 매독의 전염은 인간의 이동과 함께 다른 세계의 인간들에게 영향을 끼침으로써 세계 판도를 바꾸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이밖에도 세계사의 이동 중 아일랜드인의 이주민 역사와 맞물린 감자에 대한 이야기, 말라리아에 대한 백신이나 약을 개발하지 않는 강대국들의 잇속을 따지는 한계, 에이즈란 병을 인간의 삶 속에 전멸이 아닌 더 이상의 나쁜 결과물로 가지 않기 위한 예방에 치우치는 정책, 더 나아가 같은 질병의 발생 사태를 통해 인종 간의 차별과 빈부의 차이에 따른 처방 개선의 한계가 있는 현실을 꼬집는다.
이제 인류는 과거의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을 정도의 빠른 발전의 진보를 거듭 향하고 있다.
이번 코로나 19 사태만 보더라도 인류의 이동이 빨라짐에 따라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을 볼 때 인류가 발전하면 그에 상응하는 질병의 전파도 더욱 빨라지고 있음을 여실히 느끼게 된다.
하나의 전염병의 발생은 인간의 삶은 물론이고 거시적인 형태의 세계사를 통해서 보더라도 역사 자체를 바꾸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을 볼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오랜 인류의 역사 속에서 함께해 온 질병의 세계,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에 필요한 것을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다.
흑사병, 스페인독감, 사스.메르스 ..모두 먼나라
얘기 같았지요.
그러다가 코로나에 된통 당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어서 물러가라는 말도 무의미할것 같습니다.
그러게요…
본격적으로 더워지면 어떻게 될지 그것도 걱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