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20년 9월 1일

아침 그리고 저녁

MyPhoto_1205168195_0020 아침 그리고 저녁
욘 포세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7월

이 책보다는 ‘삼부작’ 을 먼저 읽었다.

그 작품에서도 여전히 작가의 트레이드마크인 쉼표 없는 문장, 친절한 대사톤도 많지 않은 여백이 남겨주는 느낌들이 이 작품에서도 여전하다.

 

첫 장면인 아기의 탄생 부분에서 작가가 드러내 보고자 한 의미가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우리 인간들의 하루하루 삶이 그저 보통의 하루 삶이 아니란 느낌이 절실히 와 닿는다.

 

자신의 아버지가 그랬고 자신 또한 아버지의 직업을 이어받아 어부로 살아가는 올라이는 산통 중인 아내의 소리를 들으며 곧 태어날 사내아이의 이름을 자신의 아버지 이름으로 결정한다.

 

그 뒤에 시간은 훌쩍 뛰어넘어 할아버지의 이름을 물려받은 요한네스는 오늘도 평상시와 다름없이 일어나지만 뭔가 이상함을 느낀다.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 신체의 변화, 연금생활로 이어나가는 그의 삶은 단조롭다.

 

비싸다고 생각되는 담배를 끊을 수 없는 그의 유일한 즐거움인 담배와 커피를 피우면서 마시고 집을 나서는 그-

 

서로가 도와가며 머리를 잘라주며 생활하던 친구 페테르가 보이고, 그렇지만 이미 페테르나 아내 에르나는 이미 이 곳 사람들이 아니다.

 

같은 듯 다른듯한 모습과 말을 통해 요한네스는 그들과 대화나 함께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정작 한순간에 그들의 존재는 보이지 않는다.

 

누구나 태어남과 동시에 죽음을 생각하며 살아가고는 있다지만 망각의 인간인지라 우리들은 죽음에 대한 그 어떤 심오한 생각을 매일 하며 살아가진 않는다.

 

가까운 지인들의 죽음이나 친구, 동료들의 어떤 상황들을 통해 비로소  죽음이란 것을 크게 느끼게 되지만 이마저도 시간이 흐르면 또 잊어버리고 살아가는 것이 우리들의 모습이다.

 

결코 비범하다거나 특출하지 않은 어부 요한네스 삶을 통해 저자는 탄생과 죽음이란 동반자의 길을  드러내 보인다.

 

살던 곳을 떠나 다시 정착한 곳에서 자식들을 낳아 손자들이 몇 명 인지도 모를 정도의 부족함 없는 삶을 살아가는 요한네스 부부, 막내딸 싱네가 가까이 있어 더욱 친근함과 하루에 안부 인사를 하는 생활은 유일한 안식처다.

 

 

아내가 떠나고 자신이 홀로 남은 생활의 연속, 책은 요한네스란 평범한 인물의 탄생과 죽음이 실제 자신에게 오면서 죽음이란 것을 맞이하고, 그 자신이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을 느끼지 못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그의 가족이 그에 대한 절차를 마치는 모습을 통해 독자들은 죽음에 대한 것을 실감하는, 존재의 무(無)에 대한 여운을 남긴다.

 

 

한 인간의 탄생과 죽음 뒤에 남겨진 것은 기억이란 것으로 저장이 되고 곧 이 기억은 나 자신을 둘러싼 가족들과 타인들에게 기억 속에 남겨진 존재로 남겨진다는 것, 그렇기에 평범하게 살다 간 요한네스란 인물의 삶은 곧 우리들의 모습이란 사실이 공백이란 여운이 주는 문장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품이다.

 

 

 

 

찬란한 아침처럼 이 세상에서 태어난 존재, 살아가면서 파도와 잔잔한 밀물과 썰물의 삶을 이어나가면서 나름대로 잘 살아왔다고 느끼는 그 누구인  모두에게 저녁에 서서히 지는 일몰의 모습은 또 하나의 우리를 반추하는 듯하게 느껴진다.

 

 

 

 

 

인생은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란 말이 문득 떠오르게 한 작품이다.

 

 

아침그리고저녁

 

우리가 간직한 비밀

우리가 간직한 비밀우리가 간직한 비밀
라라 프레스콧 지음, 오숙은 옮김 / 현암사 / 2020년 8월

실화와 허구를 섞은 이야기들은 때론 이것이 실화인지 허구인지를 헷갈리게 할 때가 있다.

그만큼 이야기의 구성면에서 착착 들어맞는 재미가 있다는 얘기가 될 수도 있겠는데, 이 책 또한 그런 느낌이 많이 들게 한 책이다.

 

유명한 작품이자 영화 배경 속의 눈 풍경이 장관인 ‘닥터 지바고’-

이 작품이 출간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이 작품은 스파이 소설이자 로맨스, 당시 타자수란 직업을 가진 여성들의 생활 모습이 함께 그려진 작품이다.

 

책의 구성은 여러 등장인물의 시선으로 나뉘어 전개된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가 쓴 ‘닥터 지바고’의 실제 뮤즈로 알려진 그의 비서이자 그가 작품 활동을 해오면서 그의 곁에 머물던 사실혼 관계인 올가 프레볼로도브가 그린 시선, 대학을 졸업했지만 같은 졸업을 한 남자들과는 다르게 직업의 한계를 느끼며 타자수란 직업을 가진 여성들, 그리고 스탈린의 체제에서 벗어나 이민을 통해 미국에 정착한 엄마와 미국에서 태어나 대학을 마친 러시아계 미국인 이리나, 스파이 첩보원의 다른 이름인 제비 출신  샐리의 시선이다.

 

보리스는 아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판일로 만나 올가에게 첫눈에 반하고 두 번의 결혼 생활을 통해 이미 두 자녀가 있던 그녀 또한 그에게 반하면서 실제 부부처럼 살아간다.

 

스탈린의 억압적인 문인 감시 체제하에서 다른 동료들이 모두 숙청당하거나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모습을 보며 죄책감에 젖었던 보리스의 모습은 닥터 지바고를 쓰게 되면서 자신의 모든 열정을 쏘아 붓는다.

 

그런 그의 곁에서 비공식적 아내이자 그의 작품 활동에 대해선 모든 것을 도맡아 했던 매니저 역할을 한 올가는 당국에 의해 밉보인 보리스를 제제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용소에 끌려가게  되고 그곳에서 보리스의 아이를 유산하는 아픔을 겪는다.

 

모진 수용소 생활을 하면서도 보리스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을 멈추지 않았던 그녀, 한편 서구 쪽인  미국, 특히 정보국에선 타자수인 여성들의 시선이 제삼자의 시선으로 그려지면서 촉박하게 돌아가는 정보국의 모습을 그린다.

 

알고는 있지만 알았다는 표시나 더 이상 알려고도 하지 않는 자세,  모른 채 살아가야 하는 최첩 보 비밀들을 타자하는 여성들, 그 가운데 이리나의 또 다른 훈련을 통한 배달원의 첩보 생활과 샐리를 만나면서 새롭게 익히는 스파이의 훈련이 그려진다.

 

당시의 동, 서의 시선을 통해 닥터 지바고에 대한 출간을 불허한 소비에트의 정책과 이를 알고도 자신의 작품을 서방국인 이탈리아 출판업자에게 넘긴 보리스, 미국의 문화를 통한 공산주의에 대한 국민의 자발적인 의식을 통해 공산주의의 허상을 고발하고 자유주의의 이해를 돕는 취지의 일환으로 러시아 원본인 닥터 지바고 원고를 손에 넣기 위한 첩보전이 긴장감을 높인다.

 

특히 소련인들을 대상으로 책을 본국에 퍼지게 하는 작전은 그야말로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사랑한 남자를 위해 두 번이나 감옥행을 자처하면서도 그의 작품 세계를 누구보다 이해하고 사랑했던 올가의 인생, 똑같은 고등 교육을 받았지만 승진의 기회나 직업의 선택에 있어 한계를 느껴야 했던 인텔리 여성 집단이었던 타자수들, 레즈비언이란 자신의 성향을 감추고 이리나를 멀리해야만 했던 샐리의 행동반경은 이 시대를 배경으로 당시의 사회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가 있게 한다.

 

‘나’가 본 시점에선 ‘나’가 올가가 될 수도 있고. 이리나, 샐리, 그리고 타자수였을 수도  있는 시점의 글들이 실제 미국에서 닥터 지바고 프로젝트를 실행한 암호명 ‘아이다이노소어AEDINOSAUR’ 작전으로 펼쳐졌고 이는 무사히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단, 그 이후 보리스가 겪었던 상황은 악화일로였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당시의 관심을 보였던 부분들이 지금에 와서 보면 문학적으로 그린 면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 닥터 지바고 또한 그런 시대적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단 점에서 그 당시 이슈화됐던 노벨상 거부는 안타깝게 여겨지기도 한다.

 

(다행히 그의  사후 아들이 수상했다.)

 

활발한 스파이의 생활이 있는 반면 어찌 보면 가장 먼저 정보를 알고 입을 다물고 살아가는 사람들, 특히 타자수였던 여성들의 활발한 대화를 통해 스릴과 로맨스가 있고 자취를 감춘 사람들에 이야기를 독자들은 새롭게 전해 듣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실제 회의록과 자서전을 기본으로 타자수와 연관 지어 당시 소련과 미국의 쟁쟁한 대결의 세계를 그린 이색적인 이 책은 매카시 광풍의 영향으로 자신의 뚜렷한 성 취향을 밝힐 수 없었던 샐리와 이리나의 동성 사랑, 보리스의 죽음에 이어진 올가의 고난과 함께 더욱 생생하게 그려진다.

 

탁탁탁 끊어지는 타자기의 소리가 이제는 컴퓨터, 스마트폰의 흐름을 통해 시대의 흐름을 느껴가는 타자수 여인들, 책 제목인 우리가 간직한 비밀들은 올가, 샐리, 이리나, 타자수 여인들, 그들 저마다의 간직한 비밀을 품고 살았던 그 시대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비밀을 유지했기에 자신들의 모습을 보이지 않은 점들이 돋보였던 그녀들, 유지했었기에  ‘닥터 지바고’란 작품에 대해 오늘날 더욱 그 출간된 배경이 돋보이지 않았나 싶다.

 

이제는 각자의 생활로 돌아가 할머니가 된 그녀들의 모습에서 세월의 무상함, 그리고 여전히 자취를 감춘 그 누군가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