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북한에 시장경제의 달콤함 전하는 ‘숨은무기’ - China Inside
북한에 시장경제의 달콤함 전하는 ‘숨은무기’

개성공단 초코파이

지해범(조선일보 논설위원)

스케이트를 처음 타는 어린 딸이 몇 발짝 못 가 넘어진다. 엄마는 따뜻한 차와 초코파이를 딸에게 건네며 위로한다. 딸은 초코파이를 먹으며 피겨 스타가 되는 미래를 그린다. 몇 년 전 러시아에서 방영된 한국산 초코파이 광고다. 1990년대 초 러시아 보따리상들이 처음 들여간 초코파이는 러시아의 대표적 어린이 간식으로 자리 잡았다. 현지 공장 두 곳에서 만든 초코파이가 아프가니스탄·아제르바이잔에까지 수출된다. [불법복제-전재금지]

초코파이.JPG

▶베트남에선 2006년 호찌민시에 첫 초코파이 공장이 들어선 이래 파이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조상을 잘 모시는 베트남 사람들은 집 안에 봉조당(奉祖堂)이라는 제단을 차려놓고 명절과 대소사마다 수시로 제사를 지낸다. 그 제상에 초코파이가 오른다. 특별한 음식으로 대접받는다는 뜻이다. 한국에 바나나가 처음 수입되던 시절 우리 제사상에 오른 것과 비슷하다. [불법복제-전재금지]

▶중국에서 초코파이는 ‘하오리여우(好麗友) 파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좋은 친구를 뜻하는 하오여우(好友)에 예쁘다(麗)는 글자를 더했다. 춘절(설)이면 대형 마트에서 초코파이를 카트 가득 사 가는 사람이 많다. 친척 아이들에게 선물로 주려는 것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팔린 초코파이가 7억개 1300억원어치를 넘었다. 한 사람이 반 개꼴로 먹은 셈이다. 오리온 중국 지사는 전국에서 쏟아져 나오는 ‘짝퉁’ 초코파이를 막는 게 가장 큰일이다. [불법복제-전재금지]

▶초코파이는 개성공단 근로자 5만여명에겐 간식을 넘어 비공식 수당이자 통화(通貨)였다. 근로자들은 하루 여덟 개 받는 초코파이를 먹지 않고 장마당에 비싸게 내다 팔곤 했다. 초기에 회사마다 주는 초코파이가 3~10개로 들쭉날쭉하자 적게 받는 근로자들이 거세게 항의해 개수를 통일해야 했다. 초코파이를 돌아가며 한 사람에게 몰아줘 목돈을 만드는 계(契)도 생겨났다. 옛 구로공단 여공들이 간식 빵을 모아줘서 고향 집에 부치게 했던 ‘빵계’를 닮았다.[불법복제-전재금지]

오리온초코파이.JPG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초코파이가 북한에서 전설적 지위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마시멜로로 채운 작고 둥근 파이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북한을 서서히 변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개성공단 초코파이가 북한 주민이 바깥세상에 눈뜨게 하는 ‘자유의 창’이라는 얘기다. 당장 개성공단이 문을 닫자 북한 돈 500원 하던 장마당 초코파이 값이 750원으로 뛰었다고 한다. 북한 사람들이 들인 초코파이 맛은 바로 시장경제의 달콤한 맛이다. 35g짜리 초코파이가 북한 체제에 묵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불법복제-전재금지]

[이 글은 조선일보 2013.5.4 만물상 코너에 실린 글입니다]

6 Comments

  1. 벤조

    2013년 5월 7일 at 11:14 오후

    여기서는 문 파이(moon pie)라고도 하던데,
    저도 작년에 일부러 쵸코파이 사먹어봤습니다.
    오랫동안 안 먹어 맛을 잊었거든요.
    미국 과자보다 덜 달고, 고향맛도 났어요.ㅎㅎ
    그런데
    북한에선 이걸 뭐라고 부를까요? ‘쵸코파이’가 영어이름이잖아요.

       

  2. Dionysos

    2013년 5월 8일 at 12:02 오전

    시장경제의 달콤한 맛이 북한 곳곳에 골고루 퍼져라.
    우리의 강력한 무기는 주먹이 아니고 입소문입니다.
       

  3. 지해범

    2013년 5월 8일 at 1:59 오후

    벤조님,
    반갑습니다.
    moon pie 이름 좋은데요. 우리말로 ‘달 과자’ ‘달빵’
       

  4. 지해범

    2013년 5월 8일 at 2:01 오후

    Dionysos님, 반갑습니다.
    6.25 직후 미군들이 주는 초콜렛이 미국의 번영과 민주주의의 상징이었듯이, 초코파이도 한국식 풍요와 자유의 상징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다가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5. 소리울

    2013년 5월 8일 at 3:12 오후

    러시아 여행을 갔을 때 직접 가져간 쵸코파이몇 개를 주었는데 현지 가이드의 활짝 웃는 미소가 참으로 인상적이었어요.
    초코파이 때문에라도 얼른 북한이 생각을 고쳐먹으면 좋으련만…
    경제든 정치든 순리대로 가야 제 길을 찾을 수 있을 텐데…
    민심이 천심인 것을…   

  6. 지해범

    2013년 5월 8일 at 4:20 오후

    소리울님,
    백번 지당한 말씀입니다.
    민심을 외면한 결과가 오늘의 북한 모습 아니겠어요?
    참 딱한 북녁 동포들, 북쪽 지도자들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