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미국에 ‘레임덕 Day’가 있는 이유 - 윤희영 기자의 뉴스 잉글리시(News English)
미국에 ‘레임덕 Day’가 있는 이유
집권 여당(ruling party)인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참패를 당하자(encounter a crushing defeat) 박근혜 대통령의 조기 ‘레임덕’ 얘기가 나오고 있다. ‘레임덕’이란 ‘절름발이의’ 뜻인 lame과 오리 duck의 합성어로, 임기 만료를 앞두고(prior to the expiration of one’s term of office) 나타나는 권력 누수 현상을 말한다(refer to a seepage of power).

이 단어는 18세기 런던증권거래소에서 만들어졌다(be coined). 채무 이행을 하지 않는(default on debts) 증권중개인을 일컫는 은어(slang)였다. 문서로 남아 있는 것은 영국 작가 호러스 월폴이 1761년 지인에게 보낸 편지에 “Bull(황소), Bear(곰), 레임덕이 뭔지 아느냐”고 적은 것이 가장 오래됐다. 황소는 강세장, 곰은 약세장을 가리키는 증시 용어(stock market term)이다. 레임덕이 정치 용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에 들어서서다. 1863년 1월 14일 미국 의회 기록에 “레임덕, 즉 고장나버린 정치인들(broken down politicians)로 인해 불쾌한(be obnoxious) 일을 겪어선 안 된다”는 표현이 남아 있다.

[윤희영의 News English] 미국에 '레임덕 Day'가 있는 이유

원래 레임덕이란 재선 시도에서 낙선하거나(lose a re-election bid), 재출마를 포기하거나, 임기 제한으로 인해(due to a term limit) 재출마할 수 없게 돼(be prevented from running for re-election) 잔여 임기 기간 중 권력이 무기력화되는(become lethargic) 현상을 일컫는 것이었다. 대통령뿐 아니라 국회의원, 지자체 단체장 등 선출직 공직자가 모두 해당된다.

그런데 의외의 상황도 벌어진다. 레임덕에 빠졌다고 퇴임 때까지 가만히 있다가(stand still until the retirement) 물러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유권자들의 바람에 반해(against the wishes of their constituents) 위험한 결정을 내리거나(make risky decisions), 공익보다 개인적 이익을 앞세우는(give priority to personal gain over public interest) 행정명령들을 남발하는(overissue executive orders) 경우도 적지 않다. 결과에 책임을 지거나(answer for their consequences) 더 이상 차기 선거에서 유권자들 눈치를 보지(read the countenances of voters in a subsequent election)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미국엔 ‘레임덕 데이'(2월 6일)가 있다. 레임덕 폐해를 막기 위해 새 대통령·의원 취임일을 앞당긴 1933년 수정헌법 제20조의 발효 날짜를 기념하는 날이다. 그럼 이날엔 무엇을 할까. 퇴임 예정인 이는 임기 중 자신의 잘잘못을 반추하며 무엇을 배웠는지 되새긴다. 그리고 그를 보내는 유권자들은 그의 노력과 수고를 인정해주고(give recognition for their endeavors and efforts) 감사 표시를 하며 그의 앞날을 축복해준다(wish them good luck in their futur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