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귀재'(an investment guru)로 불리는 워런 버핏이 280억달러(약 30조원)를 들여 식품회사 하인즈를 인수하기로 해 전 세계적인 화제가 됐다(become a worldwide sensation). 하인즈는 토마토케첩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어(acquire world-fame) 케첩의 대명사가 된(become a synonym for ketchup) 그룹이다.
케첩은 미국인들이 워낙 즐겨 먹어 미국에서 생겨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be apt to think so). 그러나 케첩의 뿌리는 중국에 있다. 케첩은 원래 중국 푸젠(福建)성의 사투리로 ‘생선으로 만든 소스’를 뜻하는(originally mean ‘fish sauce’ in a dialect of Fujian province) 말이었다.
케첩의 기원은 5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date back more than 500 years). 중국 남부 푸젠성은 당시 해상 교역의 북적거리는 중심지(the bustling center of marine trade)였다. 푸젠성의 선박들은 페르시아와 마다가스카르까지 항해를 했다. 그리고 중국 뱃사람들 일부는 동남아 일대 항구들에 정착해 살았다(settle down in Southeast ports).
당시 크메르와 베트남 주민들이 이 중국인들에게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멸치로 만든 자극적인 생선 소스를 소개했고(introduce them to their pungent fish sauce made out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ies), 중국인들은 그걸 저장 생선 소스(preserved-fish sauce)라는 뜻에서 ‘茄汁’이라고 불렀다. 푸젠성 사투리로 그 발음이 ‘케즙’이었다.
영국으로 건너간 케첩에는 영국인들 입맛에 맞춰(take on a British flavor) 으깬 버섯과 양파가 더해졌다. 19세기 들어서는 토마토를 첨가해 자기들 나름의 케첩을 만들기 시작했다(begin to attempt to make their own ketchup). 하지만 미국으로 건너갈 때까지만 해도 케첩에는 발효된 멸치젓(sauced anchovy)이 남아 있었다.
멸치젓이 빠진(be dropped) 것은 1850년대 중반이었다. 1890년엔 하인즈 등 미국의 케첩 제조업체들이 더 나은 보존 필요성(the need for better preservation)과 단것을 좋아하는 미국인들 입맛(the American sweet tooth)에 따라 설탕의 양을 크게 늘렸다. 그것이 지금처럼 달착지근하면서 시큼한 제조법으로 이어지게(lead to the modern somewhat sweet and sour formula) 된 것이다.
어찌 됐든 케첩이 케첩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퍼지게 된(be brought onto the world stage) 배경에는 수세기 전 중국 푸젠성 뱃사람들의 사투리가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