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夢花)

몽화

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일제 시대의 가슴 아픈 역사적인 사실들은 두고두고 지워지지 않을 상처로 남을 여러 가지 일들이 겹쳐져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위안부란 명칭으로 불리고, 삶을 살았던 할머니들의 연세가 이제는 고령에 접어들었단 사실, 한 두 분씩 세상과 이별하는 시점에서 역사의 산 증인으로 살다간 분들에 대한 안타까운 사연들을 접할 때마다 울분과 통탄을 느끼게 된다.

 

덕혜옹주(손예진 주연으로 영화화 다고 한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역사 시선을 던져 준 작가의 신작, “몽화’를 읽었다.

 

덕혜옹주가 높은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인 압박과 역사 속에 자신의 인생을 살다

간 인물이라면 이번에 접한 책 속의 주인공들은 평범한 세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일본 순사를 패고 만주로 달아나버린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찾기 위해 떠나는 엄마는 국밥집을 운영하는 동생에게 자신의 딸을 맡기고 떠나 버린다.

 

중학교도 채 못 마친 차영실이는 그렇게 이모가 중학교를 졸업하게 해 줄 것을 기대하며  국밥집과 사촌 동수를 보살피는데, 어느 날 거대한 한옥의 집에서 같은 또래의 여학생을 만나게 되고 그 여학생으로부터 친구하자는 말을 듣게 된다.

 

한정인, 일제 앞잡이로 생활하는 아버지를 멸시하며 계모 밑에서 자라는 소녀는 화월각이란 기생집에서 자라는 은화와는 친구사이, 곧 세 사람은 아지트를 모처로 삼아 우정의 맹세를 하는데, 역사는 그녀들을 가만두지 않는다.

 

시대는 해방을 맞기 전인 1940대를 그리고 있다.

각자가 간직한 꿈을 가지고 살아가던 꽃다운 나이의 청춘들인 세 소녀의 삶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주위의 압박과 억압, 오로지 자신의 인생은 자신만이 개척해야 함을 알게 되면서 결코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굴레로 들어가는 과정들이 그 시대를 살아갔던 여인들의 삶을 대표한다고도 할 수 있는 여운을 남기는 책이다.

몽화꿈2

일제의 앞 날에 대한 불투명과 강제 징집이란 것을 피하기 위해 앞잡이란 명분을 내세워 불란서로 피신시키는 정인 아버지의 행동은 지금의 군 복무를 피하기 위해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들의 선구자적인 모습을 보는 듯하며, 홀로 서기를 위해 기생집을 뛰쳐  나왔건만 결국엔 위안부란 삶의 나락으로 떨어져 버린 은화의 기구한 삶, 중학교를 마치기 위해 일하면서 학교를 다닐 결심을 하고 일본까지 갔던 영실의 기막힌 인생 항로는 그들 스스로가 원했던 삶도 아니었기에 더욱 현실적인 갑갑함과 막막함, 힘없고 돈 없는 민초들의 기구한 운명이 일제라는 역사의 한 줄기 속에 이처럼 피어보지도 못한 채 시들어 버린 꿈같은 꽃을 연상시킨다.

 

“길들여진다는 것은 무뎌진다는 것이다. 무뎌진다는 것은 천천히 스러져 간다는 것이다. 무엇엔가 저항할 힘조차 사라진, 슬픈 야합. 길들여진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 p276

 

정인은 결혼이란 것을 통해 제 자신이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각성, 은화는 또 다른 인생의 시작을 위해 발을 내딛는 용기를 통해서, 영실은 아버지에 대한 생각과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인생의 설계를 통해 또 다른 시작의 의미를 알려주기에 길들여지게 했으나 그것에 대한 거부와 무뎌짐과 스러져 간다는 것이 어떤 것이란 알기에 더욱 자신들의 인생을 스스로 이뤄나가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얼마 전 위안부들에 대한 역사적인 한. 일 간의 일도 있었고 영화 ‘귀향’을 통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소리 없이 응원하며 관객이 많이 몰렸단 소식을 접했다.

작가가 책 끝말 미에 소신 있게 한 말이 인상에 남는다.

 

 -그들의 고통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이름 없이 억울하게 죽어간 이도, 아직 생존해 있는 분들도 억울함을 풀어내지 못하고 있다.

시간은 흐르고 그들은 점점 사라져 간다. 사라져 가는 것이 잊히는 것이라면 그들이 사라지기 전에 그들의 이야기를 살려 놓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것이 역사의 광풍 앞에서 자신을 지켜 내기 위해 몸부림쳤던 가녀린 소녀들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다. -p382~383

 

 

오늘 신문을 보니 수학능력시험에 한국사를 봐야만 한다는 정책이 발표됐다.

역사란 무엇인가?

한 나라가 지닌 나무의 뿌리와 줄기가 얽히고 섥혀서 만들어낸, 좋은 일, 나쁜 일 모든 것을 통해서 보완할 것은 보완하고 버릴 것은 버리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역사가 아닌가?

근본적인 문제를 예외시 하고 오로지 시험 점수에만 올인하다 못해 정작 중요한 우리나라의 역사를 옵션 식으로 선택 사항으로 남겨뒀던 정책이 이제야 제자리를 찾아간단 느낌이 들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책의 내용을 비단 소설을 통해서만이 아닌 진정한 우리의 뿌리 깊은 역사적인 인식을 바르게 인지하면서 제대로 된 역사 가치관을 가지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일이 아니었나 하는 느낌이 든다.

새파란 싹이 피어나 한 떨기 청초한 꽃들로 피어나기까지 그 숱한 시간들을 견디면서 오로지 독보적인 아름다움마저 피어 보지 못하고 이리저리 때를 타며 사그라져버린 꿈들, 오늘도 몽화(夢花)에 대한 그녀들의 꿈이 진정 몽화(夢花)로 그치는 것이 아닌 진정한 꽃으로 피어나길…..

성인만이 아닌 청소년들이 읽어도 좋을 책이란 생각이 든다.

 

 

몽화(夢花)”에 대한 2개의 생각

  1. 데레사

    가슴이 아파 옵니다.
    흔히들 그시대를 살아보지도 않았으면서
    한마디로 친일이니 뭐니 하면서 매도하는 풍조가
    만연한 사회의 시각을 바로잡아줄 책일것 같습니다.

    위안부 할머니들도 생을 마감하기전에 진심어린
    사과를 받아야 하는데 일본이란 나라, 아베라는
    인간이 미워지기만 합니다.

    응답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