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세계 사건부 – 조선총독부 토막살인
정명섭 지음 / 시공사 / 2017년 3월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들이나 기타의 장르들은 암울했던 과거의 한 조각을 꺼내어 읽는 것이기에 매끄럽게 읽히진 않는다.
더군다나 이러한 시대에 살인사건이 발생했고, 조선인들이 연관이 되었다면 당시 조선인들의 입장에선 그들만의 살길은 막막할뿐더러 입지는 더욱 좁아진다는 사실은 뻔한 것이라고 생각되니 더욱 그렇다.
저자의 최근작을 읽은 작품이 《조선변호사 왕실 소송사건》이었다.
외지 부란 직업의 세계를 통해 법의 한계성과 당시의 억울함을 호소하던 장면을 잊을 수가 없게 했는데 이번에는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살인사건을 다룬 책을 접하게 됐다.
현재의 연예인 가십이나 유행을 선도하는 풍류나 세태 등을 다루는 잡지인 통속잡지 ‘별세계’란 잡지사에 근무하는 기자 류경호에게 어느 날 육당 최남선이 찾아온다.
10일 후면 완공이 됨과 동시에 조선에 대한 완전한 다스리기 뿌리를 박을 상징인 조선총독부 건물 안에서 설계와 시공을 맡았던 조선인 이인도가 살해된 채로 발견이 된다.
그것도 온전한 모습이 아닌 사체를 전기톱으로 잘라서 여기저기 흩어놓았는데, 문제는 이 사체들이 있는 장소가 전체적으로 보면 대(大)를 연상시킨다는 점이었다.
즉 대한제국의 대를 연상시키니 일본 입장에선 보도 절제를 명하게 되고 같은 동료인 박길룡 기사는 살인자로 모함을 받게 된다.
이 사건을 알게 된 최남선이 류경호에게 사건의 해결을 위해 일해줄 것을 부탁하게 되고 류경호는 사건을 접근하게 되는데…
이 책에는 당시 1926년도의 사회적인 모습들이 저자의 글로 인해 재 탄생이 된다.
화신백화점이나 창경궁, 경복궁, 조선 당시의 육조거리가 어떻게 조선총독부가 들어서게 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조선왕조가 무너져 내리는지를 세태의 흐름과 피지배자의 국민으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암담하고 암울한 상황을 그려낸다.
의열단을 엮어 이 사건을 몰아가려는 일본의 세력인 일동회에 맞서 사건의 진실을 캐려는 류경호의 추리 능력은 독자들로 하여금 조선총독부란 건물에서 일했던 조선인 건축기사가 무엇을 알았기에, 죽음을 당해야만 했는지에 대한 궁금증과 함께 조선이 일본에 의해 점차 피지배 국민으로 들어갈 즈음 처음 조선에 발을 디딘 일본인들이 바라보는 고국의 못마땅한 처사에 대한 불신, 여기에 기득권자로서 자신들의 모든 것을 지키려 하는 야망과 조선인들 사이에서 불화로 인한 사건의 일파만파는 조국을 떠나 한 개인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자신만의 안위와 기득권을 지키려는 목적 외에는 그 어떤 것조차도 용납을 하지 않는 비리적인 모습들을 보인다.
책은 실존인물과 허구의 인물들, 일제 협력자로 당시에 활동을 한 최남선, 화신백화점 설계자인 박길룡 건축사, 일본의 A급 전범이자 국수주의자인 도쿠토미 소호 를 섞어서 그들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본의 당시 정책의 일변도를 통해 보통의 조선사람들이 어떻게 살아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책이기도 하다.
살인사건을 토대로 벌어지는 내용들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추리소설이란 이름 대신 당시엔 정탐 소설이란 이름으로 불렸단 사실, 기생과 매춘이 성하고 남녀들의 몰래 데이트라든가 지금은 없어진 단성사란 극장 이름도 나오면서 이것도 우연일까 싶을 정도로 조선총독부가 완공됨과 동시에 한쪽에선 나운규의 ‘아리랑’이 상영이 되었단 사실들은 당시 시대의 역사를 관통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들과 함께 구국운동을 위해 노력했던 인사들의 행보도 중요했지만 이렇듯 이름 없는 보통의 조선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그 시대의 흐름을 조선총독부 안에 있는 어떤 ‘비밀’의 장소 때문에 벌어진 살인사건을 통해 드러내 보인 저자의 글 구성이 인상적으로 다가오게 한 책이었다.
살인범의 실체를 알고 난 후의 후련함보다는 왠지 인간사에 뿌려진 이익만 바라보고 살아가는 행태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한 책이기도 했고 오늘날의 우리들이 살아가는 토대를 마련한 당시의 모든 것들에 감사함을 느끼게 해 준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