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20년 4월 1일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노동의 시대표지;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 기술 빅뱅이 뒤바꿀 일의 표준과 기회
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김정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3월

 

 

획기적인 산업의 발달은 명칭이 바뀌면서까지 진행 중이다.

이미 4차 명이란 말이 나왔듯이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말(馬)을 필요로 했던 시대가 저물고 곧이어 자동차, 트랙의 등장으로 인해 말(馬)에 대한 필요성 소멸은 당연한 현실이었다.

 

하지만 이렇듯 우리들 생활에 있어서 기계의 발전은 윤택한 삶을 이어주는 한 방편이었지만 점차 인간의 노동이란 현실에 입각해서는 다른 방향에서 생각할 고민을 던진다.

 

 

아무리 시대가 변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힘을 필요로 하는 일들은 반드시 존재했고 지금도 그러한 부분적인 일들은 이어져오고 있지만 과연  언제까지 인간들의 낙관은 계속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 저자는 책 제목에서처럼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한다.

 

은행만 가도 이미 창구에서는 직원이 수가 줄어들고 있고 자동기기의 의존도는 훨씬 많아졌으며, 이는 곧 전국적인 점포의 현황과도 맞물린다는 기사를 접한 적이 있다.

영화관 또한  티켓 현황을 보면 더욱 실생활에 밀접한 자동 기계화의 속도를 체감할 수 있다.

 

인간의 노동의 힘이 많이 필요로 한 때인 과거와 비교해 볼 때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사실 앞에 가까운 미래에는 우리들의 노동 가치는 과연 이어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을 엿보게 한다.

 

여기에 이를 보완하고자 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발상은 저자의 주장에선 그 발상 자체를 의심해보라고 말한다.

즉 교육의 발전과 역할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언제까지 인간들의 노동력 향상이 기계화와 함께 동반으로 이루어지기엔 요원하다는 의견에는 현실이란 점이 직시되고 있다.

 

 

 

 

노동1

 

하지만 과연 저자의 말처럼 인간의 노동 한계는 이것이 끝일까?

AI의 발전하는 시대의 적응과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세금과 분배의 문제에서 오는 역할분담, 기술문제, 일에 대한 의미와 진정한 노동의 가치에 대한 고민들을 되짚어 볼 것을 제안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들이 무엇인지를 제안한 점들도 되새겨볼 부분들이었고, 일을 통한 노동의 의미, 인생을 통해 무엇이 진정한 가치의 기준이 되는지를 생각해 볼 부분들이라 신선했다.

 

일을 통한 노동의 의미, 인생을 통해 무엇이 진정한 가치의 기준이 되는지, 미래에 일에 대한 부분들을 그린 책이라 멀다고만 생각할 것이 아닌 점을 그린 책, 기계문명과 인간관계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책이다.

 

내 휴식과 이완의 해

 

 

 

휴식과이완표지

내 휴식과 이완의 해
오테사 모시페그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3월

 

 

지친 하루의 일상 속에서 현대인들은 휴식을 겸한 여행을 꿈꾸기도 한다.

 

때론 그러한 소망이 꿈속에서 나타나 잠시나마 일상을 탈피하게도 하는 달콤한 유혹의 한 순간을 즐길 수도 있지만 현실을 마주한 깨어난 후의 일상은 여전히 팍팍하기만 하다.

 

하지만 만일 이 모든 것을 뒤로하고 숙면이란  세계를 지나 온전히 새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 약의 힘을 빌어 시험을 한다면 과연 우리들의 인생은 새롭게 시작이 될 수 있을까?

 

전작품인 ‘아일린’을 읽은 독자라면 새로운 이 작품을 쓴 저자의 글로 또 한 번 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부모의 죽음 이후 유산을 물려받은 20대의 그녀는 타인들이 보기에 완벽함을 보인다.

빼어난 미모와 신체를 가진 그녀, 하지만 그녀는 어릴 적부터 각자의 삶 속에서 살아온 부모의 사랑을 제대로 느끼지도 못한 채 성장했고 그녀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라고는 친구 리비와 재회와 이별을 반복한 전 애인 트레버가 있을 뿐이다.

 

미술관에서 직장생활을 했지만 이마저도 그만두고 온전히 새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 결심한 그녀의 선택은 약을 통해 긴 잠을 자고 깨어남을 반복하는 것이다.

 

자기 보존의 수단으로 택했던 동면은 정신과 의사 터틀 박사와의 상담을 통해  처방제인 인페르미테롤을 복용하면서 수면제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자고 일어나면 어느샌가 자신도 모르는 음식이 있고 영화가 틀어져있으며, 친구 라비의 방문을 받는 것,  전 애인에게 거짓의 말로 전화해 그를 오게 만드는 과정까지 이 모든 것이 때론 현실인지 꿈인지조차 모호하게 생각되는 지점에 이른다.

 

 

친구 라비로부터 자신을 바라보는 느낌이 부러움이자 때론 질투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끊임없이 자신의 엄마의 병세 걱정과 유부남 상사와의 아슬한 사랑 타기 고민들을 듣는 일조차 버거운 그녀의 선택은 여전히 잠을 자는것-

 

책은 그녀가 선택한 약 의존성에 대한 과정을 통해 현대인들의 고립된 정세 불안, 특히 책 속에서 보인 주인공의 애정결핍과 주변인들과의 친화성 거부를 드러내 보인다.

 

자발적 은둔을 자처하면서까지 극단의 삶이 아닌 전혀 반대의 ‘나’를 재탄생해 보려는 그녀의 말과 행동은 블랙코미디를 연상시킨다.

 

특히 이 책에서 사용한 방법인 수면이란 장치는 이 모든 것을 뒤로하고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살아가기 위해 택한 선택의  유일한 방법임을 납득하게 하면서도 납득하기 어려운 이중성의 모호함을 드러낸다.

 

그녀 나름대로 살아가고자 노력한 모습들은 보통의 시선에서는 극단의 처방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저자는 이러한 아이러니한 면들을 파고들어 오히려 그녀의 의지를 드러내 보이려 노력한다.

 

 

과연 그녀는 오랜 동면과 기상을 통해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새 세상에 한발 다가설 수 있을까?

 

다소 도발적이고도 실험적이라고도 느끼면서 읽은 책, 저자가 그린 새로운 시도의 환상적, 몽환적인 여정이 드리운 책이었다.

 

현대인의 과감하고 솔직한 결핍의 상태를 새로운 전개로 그려놓음으로써 저자만의 색깔을 드리운 책,  나의 진정한 휴식과 이완의 해는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