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나의 자서전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24
김혜진 지음 / 현대문학 / 2020년 3월
현대문학 핀 소설 시리즈 24 번째 작품이다.
작가의 이번 작품을 통해 또 한 번 한국사회 속에서 소외되고 외롭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투영한 작품이라 여전히 가슴 한편에 연민이 남아있게 한 작품이다.
주인공 홍이 어린 시절 살았던 남일동은 산 바로 아래에 위치한 곳, 흔히 말하는 달동네다.
남일동이란 곳은 재개발이란 명목 하에 수없이 계획이 세워지고 무산되길 반복되는 가난한 동네, 학교에 입학하고서 자신을 남토(남일동 토박이)란 별칭으로 불리며 자랐던 기억은 중학교 3학년이 되어서야 겨우 그곳을 벗어나게 된다.
의지의 벗어남이 아닌 행정구역상 남일동이 반으로 갈라지면서 부촌인 중앙동으로 편입하게 된 그 이후 그녀의 부모는 남일동 자체에 대한 기억을 잊어버린 듯한 모습으로 살아간다.
졸업 후 여행사에 취업을 했지만 왕따를 당하던 직장 동료와의 어울림은 되려 그녀에게 왕따라는 같은 따돌림을 당하게 되고 결국 그녀는 퇴사하게 된다.
알레르기의 심한 반응으로 인한 약 처방을 받기 위해 남일동에 위치한 약국에 들르게 되면서 남일동 달동네에 이사 온 주해와 딸 수아를 만나게 된다.
한때는 자신도 그 동네에서 살았다는 사실은 주해와 수아에 대한 시선을 달리 보게 되고 주위의 시선에는 아랑곳없이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구청이든 주민센터든 간에 자신의 의지를 피력했던 주해의 모습을 보면서 다른 감회를 느낀다.
주해의 유일한 소망은 딸과 함께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것, 거리의 가로등이나 마을버스 운행노선까지 이루어냈건만 정작 남일동 주민들은 시큰둥하다.
드디어 남일동에 재개발 계획이 세워지면서 본격적으로 아파트가 들어설 것에 대한 기대를 한 주해는 자신의 의도치 못했던 과거가 밝혀지면서 결국 남일동을 떠나야만 하는 처지가 된다.
책을 통해 같은 공감을 느낀다는 것은 실제 삶에 있어서 언제나 해피로 이어진다는 것은 없다는 사실, 더군다나 홍이 부모들처럼 누구나 가난한 동네를 벗어나고자 몸부림치지만 현실의 처한 상황은 그렇게 쉽게 이루어지지 않기에 더욱 애가 타들어가면서 자신의 상황을 외려 외면하고 싶어지는 그런 마음들이 잘 드러난다.
이방인이 들어와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심정이 아닌 타인의 외부 방문을 보듯 하는 사람들, 실제 주해처럼 마을에 필요한 것들을 위해 애를 쓰지 않으면서도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들이 드러나기에 책 속에 담긴 그들의 배타적인 심성들은 안쓰럽게 다가온다.
부와 가난의 차별이 행정구역의 선 하나로 구분되고 학교 배정조차도 그런 의미에서 차별로 이루어지는 현실, 나는 이렇게 살아도 자식들은 결코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홍이의 부모처럼 아둥바둥 애를 쓰는 삶의 각박한 모습들이 우리들 모습처럼 선명하게 다가온다.
– 불길은 몸부림치듯 높이 더 높이 솟구쳤습니다. 그 순간에는 어둠을 이기며 몸집을 부풀리는 그 불이 조금도 두렵지 않았습니다.
아니, 차라리 그 불이 여기 이 남일동 전체를 휩쓸어버리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점점 커지고 더 커지고 누구도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어마어마해져서 저 남일동을 모두 집어삼켰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이 무시무시한 남일동을 무너뜨릴 수 있는 방법이 더는 없다는 생각을 나는 했던 것입니다. (p. 167)
어쩌면 홍이의 행동을 통해 드러난 삶의 모습들은 이렇듯 남일동에 대한 기억을 지워버리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경계를 통한 나와 타인에 대한 구분과 차별, 그 속에서 주류에 편입하고자 애를 쓰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여전히 불편하지만 현실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기에 연민과 애잔한 감정이 든 작품이었다.
원미동 사람들과 비슷한 느낌을 받을것 같네요.
요즘 어떻게 잘 지내시나요?
몸 잘 챙기시고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네요.
원미동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