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트 밀 선집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서병훈 옮김 / 책세상 / 2020년 12월
자유론에 대한 저자로서 워낙 많이 알려진 존 스튜어트 밀-
그가 집대성한 글들 중 그를 대표하는 것들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을 접했다.
공리주의, 종교론, 자유론, 대의 정부론, 사회 주의론, 여성의 종속이란 부분으로 나뉜 글들에 대한 내용들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여전히 생각할 부분들을 던져준다.
아버지로부터 받은 교육과 아버지와 교류를 했던 벤담과의 만남은 공리주의에 대해 영향을 받으면서도 벤담과는 다른 공리주의를 주장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란 유명한 말속에 담긴 폭넓은 의미들은 윤리의 원리가 절대적이지만은 않은 오히려 불안정하고 지적 호기심을 잃는다는 것에 대한 경고를 말해주는 부분들은 진정한 쾌락의 길을 통한 행복한 삶은 무엇인지를 말한다.
여기서의 쾌락이란 감정적이면서 정신적인 부분을 뜻하기에 질과 양적인 면, 가치를 다루는 부분을 통해 다수의 행복론이나 개인의 행복에 대한 생각할 부분들을 느끼게 해 준다.
* 공리주의의 원리 중 첫 번째는 모든 개인의 행복이나 이익이 전체의 이익과 가능하면 최대한 조화를 이루도록 법과 사회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는 교육과 여론이 사람의 성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모든 개인이 자신의 행복과 전체의 이익, 특히 보편적 행복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행동 양식 사이에 긴밀한 끈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어야 한다.
밀은 대의 정부론에서 여러 정부의 형태중 가장 나은 민주주의에서도 여전히 빈부의 격차와 무한 경쟁
의 시대에서 기회조차 잡지 못하는 현실에서 다수가 아닌 소수의 발언에도 귀를 기울일 수 있는 사회
를 주장했다.
최선의 민주 정부란 무엇인지, 여기서도 밀의 도덕률을 강조한 사회 구성원들의 능력과 도덕성을 발전
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정치체제를 제시했는데, 인간이 자기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정부를 좋은 정부라
규정했다.
지금의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에 비쳐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이 역시도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한다.
사회 주의론 역시 그가 생각한 노동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느낄 수가 있다.
자유주의자인 밀이 왜 사회주의를 생각했을까? 밀은 노동에 대한 소외 부분을 사유재산권과 연결해
사유재산권이 절대적 권리가 아님을 말한다.
물질만능으로 발전하고 사유재산으로 인한 서로 간의 경쟁은 그가 생각했던 이상 세계와는 동떨어진
부분들이 많았기에 그는 물질 만능이 주는 현시대의 대안으로 주장한 논리가 여러 경험적 연구를 통해
설득력을 지니게 한다.
여기에서 그가 주장했던 자유를 포기하지 않는, 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자유사회주의를 추구를 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즉 개인의 자유가 가장 큰 가치이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윤리성 면에서 보면 그나마도 사회주의가 지향한 부분들에서 보인 면들이 자본주의가 지닌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느꼈던 것이기에 이러한 공존을 모색했다.
여성의 종속에서는 결혼이란 제도 아래서 여성이 지닌 활동과 삶의 연장선에의 한계를 드러낸 불합리한 부분들을 지적한 밀은 그가 살았던 시대에 비춰보면 상당히 진보적이었단 생각이 든다
여성의 능력이 남성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능력 부족이 아닌 그들이 받은 교육이 남성들이 받았던 교육과 다르고 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것일 뿐이란 사실을 보인다.
그가 살았던 1800년대 시절에 쓴 글들이라고 하기엔 당시 시대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혁신적인 진보 부분들이 많았음을 느끼며 읽었다.
모든 부분에서 인간 존재와 연결시켜 보다 나은 생활은 무엇인지, 진정으로 함께 살아가는 시대에 맞는 제도는 무엇인지에 대한 그가 고찰하고 쓴 주장들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 부분들이 많음을 느낀다.
물론 모든 주장의 글들이 옳다는 것이 아닌 불편하고 때론 지금과는 맞지 않는 부분들이 더러 있지만 시대를 감안하고 생각한다면 앞서 나간 진보 인임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특히 그는 교육을 통해 보다 나은 인간 형성과 사회 분위기 조성, 특히 여성의 종속에 대한 부분들에서 교육을 통한 남녀 간의 공동 화합을 다룬 부분들, 지금도 학대받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나오는 사건들을 접할 때면 마치 본 것처럼 다룬 이 부분에선 개선의 여지가 쉽게 변하지 않고 있음을 느끼게 했다.
한 권으로만 집중해서 그가 주장한 글들을 읽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이렇게 여섯 부분으로 나뉘어 만나 본 글들은 그가 평생을 천착해 온 총집합체의 선집이라 더욱 뜻깊게 다가왔다.
우리들에게 인간으로서 살아감에 있어 최대의 행복과 이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에 대한 여러 가지 경험적 연구 사례를 통해 전해 준 이번 글을 통해 그를 더욱 잘 알게 해 준 책, 나에겐 많은 의미를 부여해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