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도 출렁다리

_DSC02691

_DSC02742

_DSC02903

_DSC02914

_DSC02985

가우도’라 부르는 이유
전남 강진읍 보은산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 섬의 생김새가
소(牛)의 멍에에 해당된다 하여 “가우도(駕 멍에가 牛島)’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짐.
가우도에는 14가구. 31명( 남15,여16)이 살고 있으며,
가우도 출렁다리는 육지에서 가우도를 잇는 총연장 길이 403m. 교폭 2.2m이며, 전남 강진군 도암면 신기리 소재.

초긴장(超緊張)-소싸움

DSC071201

DSC072352

DSC072723

DSC073984

DSC074015

DSC074026

DSC074627

DSC074778

DSC074799

DSC07479-110

제12회 보은한우축제 < 전국민속 소싸움 대회 10.13~19>에서 10월 13일에 찍은 사진입니다.

* 소싸움은
옛날에는 아이들이 들판에서 소를 먹였는데, 여러 마리의 소가 한꺼번에 모여서 풀을 뜯다가 자기네들끼리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이를 본 아이들이 서로의 소를 데리고 나와 싸움을 붙이기도 했는데 이것이 소싸움의 시초라고 합니다.
소싸움의 시작은 소의 무게를 다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소의 몸무게에 따라 3등급으로 나뉘는데 갑종은 730㎏ 이상, 을종은 641729, 병종은 640㎏ 이하이다. 싸움은 같은 등급끼리 붙이는 게 원칙이다. 두 마리의 소가 싸움터에 나가면 처음에는 서로 노려보는 탐색전을 하는데, 이를 눈싸움이라 한다. 그러다가 주인이 싸움에 임하도록 유도하면 서로 싸우게 되고, 이때 주인도 옆에 붙어서 소리 지르며 응원을 한다.
한쪽 소가 도망가거나 넘어지면 패한 것이다. 싸움을 하다가 힘이 부쳐서 싸울 의사가 없는 소는 도망갈 방향을 찾거나, 꼬리를 내려서 흔든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소싸움을 벌이고 있는 곳은 많지 않다. 주로 영남 지역에 국한되어 있는데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진주·밀양·의령·함안·김해 등지이고,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청도 한 군데밖에 없다. 그런데 근년에 들어 소싸움놀이가 활성화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전라북도 정읍, 충청북도 청주 보은, 경기도 부천, 경남 창원과 창녕에서도 소싸움판이 벌어지고 있다. 청도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서면 청도천 둔치에서 소싸움을 벌여왔는데,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1년 내내 소싸움을 벌일 수 있는 현대식 전천후 돔 경기장을 2011년 청도 화양읍 삼신리에 건설했다.


— 자료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소싸움(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놀이, 국립민속박물관)

人山人海

DSC076301

DSC076422

DSC076443

DSC07644-14

10월은 연중 최다 축제의 달이다.
전국 지자체 별로 지역 특산물을 홍보하며 거의 모두 축제가 이루어진다.
‘충북 보은대추축제’는 [2018.10.12(금)~2018.10.21(일)],
임금님께 진상하였던 명품 보은 대추와 보은의 청정한 자연에서 자란
우수한 품질의 농특산물을 현지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축제로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 보은대추축제장에서 )

저잣거리 공연 – 화선무

DSC068621

DSC068732

화선무는 한국 전통춤의 기본 춤사위를 바탕으로 짜인 즉흥적인 춤으로 부채를 들고 추는 입춤 중 하나입니다.
꽃 그림과 부채가 어우러진 춤으로 꽃 화(花), 부채 선(扇) 자를 써 ‘화선무’라고 붙여졌습니다.
1978년 고 임이조 선생이 처음으로 전통 춤사위를 엮어서 만든 창작 전통춤입니다.

청주 예술의전당거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