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본문스크랩]    [심층분석] 임금·세금 치솟는 중국, 이젠 떠나고 싶다! - China Inside
[본문스크랩]    [심층분석] 임금·세금 치솟는 중국, 이젠 떠나고 싶다!
이성훈 기자 inout@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중국 랴오닝성(遼寧省)에 진출한 섬유업체 B기업은 요즘 사면초가에 빠졌다. 지난해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염두에 두고, 2만㎡의 땅을 210만 위안(약 3억3000만원)에 구입했다. 공장을 짓던 B기업은 올해 초 예상치 못한 ‘세금 날벼락’을 맞았다. 공장을 가동하기도 전에 12만 위안(약 1900만원)의 세금을 내라는 고지서가 날아든 것.

중국 정부는 지난 2006년 토지 관련 조례(條例)를 수정, 그동안 중국 기업에만 부과해 온 토지사용세를 외자(外資)기업으로 확대하고, 과세 금액도 최대 3배 이상 높였다. B기업 관계자는 "진출 당시 토지사용세 도입에 대해 어떤 정보도 듣지 못했다"며 "세금을 이렇게 많이 낼 줄 알았으면, 애초 중국에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둥성(廣東省) 중산에 있는 A전자업체는 올해 최저임금 상승으로 연간 월급으로 19만 위안(약 3000만원)을 추가 지출해야 할 형편이다. 여기다 내년부터 기업 부담인 ‘근로자 사회보험료’ 산정 기준이 현행 임금의 60%에서 100%로 올라갈 예정이어서, 실질적인 인건비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 회사는 원가절감을 위해 결국 4시간 잔업 근무를 없애는 비상경영에 돌입했다.

톈진(天津)에서 음향기기를 생산하는 삼신이노텍 고광민 과장은 "올림픽을 앞두고 인건비만 10% 가까이 올랐다"며 "생산원가에 대해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값싼 노동력과 풍부한 자원, 정부의 친(親)기업 정책으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 온 중국 경제가 고비용 구조로 급격히 탈바꿈하고 있다. 변화의 속도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이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들이 도태되고 있다. 특히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 진출에 나선 국내 중소기업들은 ‘고비용 쇼크’의 직격탄을 맞았다. 코트라 이평복 중국팀장은 "중국 내 기업환경의 변화는 고성장에 따른 현상이라 예전처럼 저비용 구조로 회귀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투자전략도 변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임금·세금 등 달라진 투자환경에 울상

중국 내 기업환경은 임금·세금·자금 등 모든 측면에서 악화되고 있다. 칭다오(靑島)의 농산물 가공업체인 K식품은 요즘 원재료 구입비를 마련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그동안 영세 가공업체들은 거래처로부터 거래금의 일부(선수금)를 미리 받아 재료를 구입하는 게 관례였다. 하지만 지난달 중국 정부는 외국기업들이 선수금을 재료구입에 사용하지 않고, 환(換)투기에 악용한다며 ‘선수금 인출한도’를 제한해 버렸다. 이번 조치로 식품·섬유·전자부품 업종 기업들은 자금회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올해부터 중국 정부가 외자기업에 부여하던 법인세 우대 혜택을 첨단업종이나 인프라 개발업종에 한정함으로써 제조업 중심의 우리 기업들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달 초 대구상공회의소가 중국에 진출한 대구지역 45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정상가동 중인 기업은 182개사에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청산절차를 밟거나 휴업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내 기업환경의 악화는 정치적 고려가 중요한 요소라는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 표민찬 수석연구원은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빈부격차와 외국기업 우대에 대한 중국 내 여론이 악화돼, 중국 정부로서는 이를 해소하는 대책이 불가피했다"며 "이런 정책은 비단 외국기업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기업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서비스 등 진출 업종 다양화 필요

중국의 고비용 시장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었던 단순 임가공 위주의 진출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제무역연구원의 정환우 박사는 "올림픽 이후 생활 수준이 높아질 것을 감안하면, 제조업보다 내수 시장을 집중 공략할 수 있는 업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내륙지역의 요식·교육시장 등도 공략할 만하다"고 말했다.

서비스·금융 등 중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분야를 공략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표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수시장을 잡기 위해서는 미국·유럽 등의 기업과 경쟁을 피할 수 없다"며 "아직 글로벌 기업의 진출이 더딘 유통·금융 등 미개척 시장을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