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친북 세력과 2030세대의 갈등 - 윤희영 기자의 뉴스 잉글리시(News English)
친북 세력과 2030세대의 갈등
2030세대의 82.8%는 북한의 목함지뢰와 포격 도발(wooden-box land mines and artillery provocation)로 인한 한반도 긴장이 북한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일경제신문 설문조사 결과, 북한 책임이 100%라는 응답자가 54.2%, 100% 미만 80% 이상은 28.6%로 나타났으며, 80.4%는 ‘군사 대응(military response) 필요성이 커졌다’고 답해 젊은 세대의 안보 의식(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이 크게 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단호하게 응징하겠다는(adamantly retaliate against the provocation) 정부 방침에는 60.2%가 ‘잘한다’는 평가를 했다.

이 같은 2030세대의 의식 변화에는 미국도 주목하고 있다(pay attention to the alteration of consciousness). 외교안보전문대학원 플레처스쿨의 대니얼 드레즈너 교수는 “한국 젊은 층의 의식이 변화하고 있다”며 “나이 든 세대보다 미국에 더 적대적이라고 당연시해 온 미 정부의 ‘정형화된 사실(the stylized fact)’을 바꿀 때가 됐다”고 지적한다.


[윤희영의 News English] 친북 세력과 2030세대의 갈등
그에 따르면 그동안 좌파 영향을 받아온 상당수 한국 젊은이가 미국을 한국이 가장 절실히 필요할 때 구해주러 온(come to Korea’s rescue in times of its greatest need) 동맹국이 아니라 자국의 이해타산 때문에(because of its own self-interest) 개입해 온 것으로 여겼다. 또 한국에 자국 뜻을 강요하기 위해(in an effort to impose its will on the country) 독재자들과 그 패거리를 지탱시켜 줬다고(sustain authoritarian rulers and their cronies) 믿어왔다.

드레즈너 교수는 “그 결과, 한때 이른바 과격 좌파 주변부로 밀려났던(once relegated to the so-called radical leftist fringes) 세력이 김대중 대통령 당선을 계기로 정치 주류로 들어갔고(come into the political mainstream), 노무현 정부 시절엔 대세를 이루게 됐다”고 말한다. 이런 현상이 상당 기간 미국 외교정책 통념(the foreign policy conventional wisdom for quite a while)이었는데, 최근 여론조사 결과 커다란 변화가 관측된다는 것이다. 실제 20대와 30대의 79.9%와 72.8%는 미국을 중국보다 더 나은 세계 지도국으로 평가한다. 74.8%가 한국의 장래 파트너로 미국을 선택한다. 모든 연령 집단(all age cohorts)이 미국을 선호하는데, 그중 40대 미만에서 훨씬 선호도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난다.

드레즈너 교수는 “과거 젊은 세대가 중년이 돼 반미 성향이 다소 누그러지기는(mellow a bit in their anti-American attitudes) 했지만 여전하다”면서 “이에 비해 현재의 젊은 세대는 중국의 부상(浮上)과 북한 의도에 큰 의구심을 갖고 있어 미 정부도 한국 젊은 세대에 대한 과거의 ‘정형화된 사실’을 한시바삐 수정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문제는 앞 세대와 치열한 이념 갈등을 벌였던(come into an ideological conflict) 일부 386세대가 멀지 않은 장래엔 다음 세대인 현재의 2030 젊은이들과 또 다른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는 아이러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