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여인실록

조선왕조조선왕조여인실록 – 시대가 만들어낸 빛과 어둠의 여인들
배성수 외 지음 / 온어롤북스 / 2017년 2월

조선왕조 500년이란 흔한 말속에는 격동의 모든 역사적인 사건들을 통해 현재의 우리들이 무엇을 배우고 깨우치며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안내서 같기도 하고 교훈적인 면들이 많다.

 

비단 조선뿐만이 아닌 한국의 역사란 태동서부터 시작되는 ‘역사’란 말이 의미하는 바는 저자들이 말했듯이 우리들의 거울이며, 이 거울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며 어떤 정책과 삶을 통해 평화로운 역사를 이루어나갈지에 대한 여러 의미를 깨닫게 해 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기존 출간됐던 많은 조선의 역사, 특히 남성 중심적인 역사적인 활동 범위를 벗어나 여인들, 그것도 금수저 격인 왕비나 후궁이나 규수들의 전형적인 여인들의 삶에서 탈피한 이미 알고 있거나 몰랐던 부분들까지 현대적인 관점에서 다룬 책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

 

책의 저자들은 현직 고등학교 역사교사 4분이 편찬한 책이다.

역사 속에서 이미 알고 있던 것에서 벗어나 교육적인 암기 위주의 교육을 벗어나 ‘왜’란 물음에 접근한 방식이라 기존에 알고 있던 역사의 내용들과 함께 현재를 중심으로 당시의 여인들의 삶을 좀 더 가깝게 조명해 볼 수 있는 책이다.

 

대표적으로 어을우동, 신사임당, 황진이, 허난설헌, 김개시, 김만덕을 다룬다.

 

시대적인 순으로 각기 다른 선생님들이 다룬 내용들이라 연차적으로 무난히 흐름에 편승할 수 있는 글의 시대 순과 함께  이 여인들의 삶에 있어서 사회적인 분위기와 그 안에서 자신만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루며 살아갔는지에 대한 조명은 양반 사대부의  부인으로서 살다가 근친상간과 계급의 허울을 던져버리고 노비에 이르기까지 두루 모든 남성들을 섭렵했던 어을우동의 삶과 죽음에 이르기까지에 대한 과정들로 시작되는 책의 시작은  자신을 가두었던 사회적인 반 감정에 이은 뭇 남성들에 대한 여성으로서, 여기에 덧붙여 자신이 가진 장점을 이용해 삶의 주도권자로 살아간 어을우동이란 여인의 삶에 조명한 글들 외에 우리가 전형적인 현모양처란 이미지로 각인된 신사임당의 출생과 자녀들의 교육과 삶에 뒤에 가려진 현모양처란 수식어가 사실은 정치적인 이익에 앞세운 대표적인 케이스로 남는 과정을 보인다.

 

어을우동이 뭇 남성들의 신분을 뛰어넘는 사회통념상으론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을 통해 자신만이 가진 인생을 살다 간 여성이었다면  황진이처럼  자신만의 세계에 자긍심을 가지고 뭇 여성들을 대했던 남성들을 통쾌하게 무릎을 꿇게 했던 기생으로서의 자격심과 시와 그림을 사랑했던 여인으로서의 자신의 모든 것을 통해 교류를 하고자 했던 여성으로서의 삶을 보임으로써 또 다른 조선이란 틀에 갇혀 살다 갔던 여인들의 모습들을 보는 느낌을 받게 한다.

 

한류의 원조격이라고 할 수 있는 허난설헌, 비선 실세의 전형적인 모범을 보인 김개시와 선조, 광해군과의 이야기는 한편의 인생역정을 보는 듯도 하고, 이어 기생에서 탈피해 섬에 사는 어려움을 이기고 조정에게까지 가서 정조를 알현한 김만덕이란 제주 객주 여성인의 삶 또한 제주도의 풍경처럼 한 편의 인생 드라마를 보는 듯하다.

 

이처럼 조선이란 유교사상과 성리학에 입각한 한 나라의 체제 안에서 여성들, 자신들이 가진 여성으로서 참아내기 힘들었던 과정들 속에서도 나름대로 자신만의 인생을 자신의 주도하에 살다 간 여인들의 각기 다른 삶을 통해 들여다본 역사는 지금이나 그 때나 여전히 비슷한 양상들이 이어지고 있다는 사례들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뒤의 후세들이 지금의 역사를 어떤 평가를 내릴지에 대한 생각을 염두에 두고 정치나 교육, 생활의 일반적인 것들을 다루고 실행하면서 살아간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역사로 가는 토대를 만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책의 구성은 한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기 전에 당시의 시대상을 먼저 알려주고 시작하는 글이 있기에 한 여성에 대한 삶을 조명해 볼 때 그 당시의 상황과 맞물려 그녀들이 왜 이런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훨씬 받아들이기 쉽게 하고 있으며 당시에는 어떤 점들이 도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할지라도 시대의 의식과 흐름에 따라 역사적인 평가는 달라짐을 보여준 글들의 예시는 ‘역사’를 관통하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일례로 광해군에 대한 평가가 지금에서는 조금씩 다른 관점에서 다루어진다는 점)

 

 

굵고 큰 사건들 뒤에는 이렇게 여인들의 삶이 함께 들어가 있는 역사, 더 크게도 와 닿기도 하고 작지만 그 안에서 이뤄지는 삶의 척도에 있어서 나름대로 열심히 살다 간 조선왕조 500년 역사란 말속에 그녀들의 소리 없는 외침을 들은 책이었다.

 

보너스로 뒤 편에 또 다른 여인들을 간략하게 적은 글 또한 인상적인 책이다.

 

조선왕조 여인실록”에 대한 2개의 생각

  1. journeyman

    6명의 인물들이 모두 잘 알려진 유명인(?)들이네요.
    이왕이면 잘 알려진 인물들도 다루었으면 싶은 아쉬움이 남네요.

    응답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