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오신 날

20200520_145609

코로나19로 국가적 위기 상황에 처하여 그 아픔을 국민과 함께 하고 치유와 극복에 매진하고자 4월 30일 예정이던 불기 2564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을 5월 30일로 변경했다.

5월 30일은 윤 4월 초파일이다. 애써 표현하자면 내일도 사월 초파일이니 부처님 오신 날이다.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에 있는 공림사의 사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을 영상으로 담았다.

” 성불하세요 !!! “

공림사 영상보기 ​↓

물안개 애잔한 월영교

DSC02198-1

.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과 성곡동 일원 소재

2003년 개통되었으며 길이 387m, 너비 3.6m로 국내에서는 가장 긴 목책 인도교이다.
다리 한가운데에는 월영정(月映亭)이 있으며,
월영교란 명칭은 시민의 의견을 모아 댐 건설로 수몰된 월영대가 이곳으로 온 인연과 월곡면, 음달골이라는 지명을 참고로 확정되었다.

조선 중기 원이 엄마와 그 남편 사이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의 사연이 간직된 나무다리이다. 먼저 간 남편을 위해 머리카락을 뽑아 한 켤레의 미투리를 지은 지어미의 애절하고 숭고한 사랑을 기념하고자 미투리 모양을 담아 2003년에 월영교를 개통하였다.

다리 이름처럼 밤하늘에 뜬 달을 마음속에 파고들게 한다.

 

비 오는 무심천(無心川)

무-1

1>

무-2

2>

무-3

3>

.

‘3년 가뭄은 견뎌도, 1달 홍수는 못 견딘다’라는 말이 있듯이
연이어 닷새를 국지성 폭우가 찾아오니 이 걱정 저 걱정이 쌓입니다.
장마는 멈추었지만 오늘부터 폭염이 기다린단다 합니다.
모두 건강하게 여름 나시기 바랍니다.​

— 無心川 : 길이 33.5㎞로 금강의 제2지류이다.
청주시 가덕면 내암리 계곡에서 발원해 문의면·남일면 일대를 지나
청주시를 관류한 뒤 미호천에 흘러든다. –​

아래는 <비 오는 무심천> 모습입니다.

 

운조루(雲鳥樓) :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

DSC0011

DSC0022

DSC0033

DSC0044

DSC0055

DSC0076

DSC0097

.

운조루(雲鳥樓) :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 (중요민속자료 제8호)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운조루란 이름은 도연명(陶淵明)의 詩 귀거래사(歸去來辭)라는 칠언율시의 머리글자만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無心以出岫 倦飛而知還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오르고, 새는 날기에 지쳐 둥우리로 돌아올 줄 아네) ]

조선 영조 때 유이주(柳爾胄)가 낙안군수로 있을 때 건축했다. 큰 사랑채 대청 위의 상량문에 따르면 영조 52년(1776)에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 후기 귀족 주택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는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건축물이다. ㅡ 자형 행랑채, ㅜ자형 사랑채, ㄷ자형 안채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사당과 연당이 남아 있다. 집을 지 은 12년 후에 유이주가 작성한 <장자구처기>에 따르면 최초 운조루는 78칸 집이었다.

화재와 세월로 인한 유실, 필요에 의한 복구와 증축 등의 과정이 있었다. 2007년 문화재청의 실측 조사에 의하면 현재 63칸이 보존되어 있다. 지붕은 사랑채, 안채가 이어 있으며 팔작지붕이다.

‘운조루’는 일종의 택호에 해당하는데, 원래는 큰 사랑채 이름이다.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란 뜻이다.

운조루와 오미동은 이른바 길지(吉地)로 유명한데 길지란 지덕이 있는 좋은 집터란 뜻이다. 하지만 세상사 요행은 없는 것이고 누구나 그러하듯이 성실하게 노동하고 그 댓가로 살아가는 사람 사는 이치는 동일하다. 사람 살기에 안온한 땅이란 뜻으로 이해하면 족할 것이다.

(해설은 운조루 안내 사이트에서 발췌)

나눔의 봉사

_DSC0715

나의 것을 남에게 나눠 준다는 것은 참으로 소중하다.
부자여서가 아니고, 할 일이 없어서가 아닌 진정 나눔의 정신이 투철해서이다.

( 한중 대학생들의 우정과 화합의 한마당인 ‘제6회 중국인 유학생 페스티벌’( 9.23~9.25)에
청주시민의 한 단체에서 우리 고유의 떡을 만들어 중국인에게 나누어 주어 우리 음식 문화를 알리며, 봉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