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조선 선비들은 왜 산에 올랐을까?… 초도 거쳐 선계 가는 길로 여겨 - 마운틴
조선 선비들은 왜 산에 올랐을까?… 초도 거쳐 선계 가는 길로 여겨

조선시대의 선비들은 왜, 어떤 자세로, 어떻게 산에 올랐을까? 등산할 때 지금과 다른 점은 무엇이고, 당시 선비들이 산에 갈 때 가지고 갔던 준비물은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등산객이 매년 크게 증가하는 요즘 과거 선비와 평민들의 등산형태를 지금 상황과 비교해보면 여러 재미있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었고 유도회(儒道會) 협동번역사업 책임연구원으로 있는 나종면(55) 박사와 같이 북한산에 오르며 그가 쓴 책 <선비를 따라 산을 오르다>에 대해 얘기를 듣고, 과거와 지금의 등산행태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7.백범영-080730.jpg

조선 선비들은 왜 산으로 갔을까? 지금의 등산과는 다른 형태를 보여 잘 비교된다. 사진 용인대 백범영 교수

조선의 선비들에게 입산은 영(靈)의 응결처를 경험하는 것이고, 정신적 자유의 실현으로 봤다. 당시까지만 해도 산에 영(靈)이 있어 심신이 허약한 사람은 도깨비나 귀신에 홀리므로 입산해서는 안 된다고 여겼다. 특별히 선택된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산은 현실세계(속세)의 연장이 아니라 또 다른 세계였다. 입산한 사람은 속세의 허상을 버리고 정화된 신성한 공간으로 들어가는 의미로 간주되었다.

선비들에게 입산은 산의 입구에서부터 시작된다. 평지와 산이 만나는 접점, 즉 산의 입구를 초도(超道)라 불렀다. 이는 속세의 질긴 인연을 뛰어넘는 것으로부터 올바른 수양이 시작된다고 봤기 때문이다. 오감을 억지로 차단하지 않아도 초도를 건너는 것 자체가 외부를 차단하며 끊는 것이다. 산에 들어가 신선한 기운을 받아들여 몸에 축척하면 호연지기가 저절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였다.

5-1.JPG

<선비를 따라 산을 오르다>의 저자인 나종면 박사가 북한산 자락을 걷고 있다.

선비들의 입산에 대한 의미는 조호익(1545~1609년)의 <유향풍산록(遊香楓山錄)>에 잘 나와 있다.

‘푸른 산 두른 속에 작은 동천 열렸는데 / 저 멀리 골짝에서 물 흐르는 소리 오네 / 숲 사이로 걸어가자 구름 가리나니 / 산 밖의 풍진 세상 몇 겹이나 막히었나’

동천(洞天)은 속세와 다른 신선이 사는 세계다. 그는 산을 동천으로 파악함으로서 깨달음이 초도를 넘는 순간 갑작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봤다. 초도는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이며 분기점이다. 다시 말해 초도를 통과하자마자 저절로 동천에 이른다는 것이다.

001-20110109-214118.jpg

조선 선비들은 입산을 선계로 들어가는 초도로 봤고, 등산을 선계인 동천으로 인식했다.

사진 백범영 교수.

선비들이 그렇다고 선선의 세계만 머무른 것은 아니다. 동천에서 발을 딛고 세속을 돌아보니 얽히고설킨 인연이 몇 겹이나 보였다. 이는 선비들이 초도를 비장하게 건너 산에 들어가 ‘속세의 부정’을 겪고 난 후 다시 ‘속세의 부정’을 부정하고 속세로 돌아오는 순환과정을 거친다. 결국 선비들은 세상을 버리지 않았고 떠나지 않았던 것이다.

조선시대는 선비들만 산에 갔던 건 아니다. 평민과 하인들도 갔다. 그러나 목적과 사회적 배경이 달랐다. 목적이 다르면 행위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평민과 하인은 하나의 노동행위로 산에 갔고, 선비들은 수행과 유람으로 산에 갔다.

산 입구가 현실과 이상의 경계인 초도

선비들의 입산이 수양과 수행의 측면인 정신적 행위에 가까웠다는 점에서는 요즘 등산행위와 사뭇 다르다. 요즘은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증진이 주목적이며, 정신과 육체가 둘이 아니고 구분도 안 된다. 현대인들에게 등산은 속세와 선계를 구분하는 이분법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생활을 연장시켜주는 하나의 수단과 도구의 공간으로 존재한다. 과거 선비들이 가졌던 산의 이상성이나 고결성을 잃은 데 반해 산의 현실성과 친근성을 훨씬 더 얻은 셈이다.

002-20110109-214145.jpg

선비들이 산에 갈 때 지금과 다른 준비물인 부적과 거울을 챙긴사실은 재미있다.

선비들이 산에 갈 때 재미있는 사실은 오늘날과 다른 여러 가지 준비와 지참물을 가져갔다는 점이다. 첫째 재계(齋戒)를 했다. 부추나 마늘 등과 같은 오신채(五辛菜, 마늘․달래․무릇․김장파․실파와 같은 자극성 있는 다섯 가지 채소류)나 비린내 나는 산물고기 등을 먹지 아니하고 속된 사람들과 교류를 삼갔다. 재계하는 기간은 7일 또는 100일 등으로 잡았다.

둘째, 산에 들어가는 날짜는 길흉에 따라 취사선택했다. 나쁜 날에 입산하면 도사라고 해도 호랑이나 늑대, 또는 독충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수행을 망친다고 여겼다.

셋째, 우보법(牛步法)에 통달해야 한다.

이처럼 준비를 마친 입산예정자가 꼭 챙겼던 것은 다름 아닌 거울과 부적이다. 거울은 단장용이라기보다는 선비들의 신분과시용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적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JPG

나종면 박사(왼쪽)와 백범영 교수가 등산하다 잠시 쉬면서 커피를 마시고 있다.

부적은 영묘하고 불가사의한 힘을 가져 귀신뿐만 아니라 맹수나 독충까지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부적은 입산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영지를 캐러 갈 때는 영보부(靈寶符)라는 부적을 지니고 흰 개와 흰 닭, 하얀 소금 한 말을 꼭 챙겨갔다고 기록에 남아있다.

일반 산행인 경우는 승산부(乘山符)를 가지고 갔다. 오악진형도라는 부적을 가지고 가면 바위나 나무의 도깨비, 산이나 하천의 정령도 사람을 범하지 않는다고 여겼다.

산중에서 약을 만들 때는 노군입산부(老君入山符)를 챙겼다. 이는 복숭아나무 판자 위에 붉은 글씨로 부적문자를 가득 차도록 크게 써놓은 것이다. 집이나 문, 실내의 사방 모서리나 도로의 요소요소에 붙여 놓으면 그곳을 기준으로 50보 이내에는 도깨비나 산의 정령 따위가 침입할 수 없다고 한다.

20110109-6_백범영-운해-001.jpg

백범영 교수가 그린 그림.

그 외에도 맹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부적, 살무사를 물리치기 위한 부적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는 산에 올라가는 목적이 꼭 수양과 수행만이 아니었던 점고 고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 박사의 책에 언급된 선비들은 문무자 이옥, 월사 이정구, 번암 채제공, 미수 허목, 율곡 이이, 해좌 정범조, 삼연 김창흡, 수당 이남규, 아계 이산해, 남명 조식, 한강 정구, 퇴계 이황, 면암 최익현, 어당 이상수, 지산 조호익, 보만재 서명응 등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사대부들이다. 방내와 방외를 가리지 않고 두루 산에 올랐고, 기록을 남긴 것을 정리했다.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1 Comment

  1. 문종섭

    01.11,2011 at 12:00 오전

    조선 선비들은 입산을 선계로 들어가는 초도로 봤고, 등산을 선계인 동천으로 인식했다는 사고가 얼마나 고상하고 아름다운 정신인가 생각해보게 합니다.
    지금은 등산이 일종의 자연환경파괴 행위로 연결되며 무질서한 행락행위로 비쳐지기도 합니다.훌륭한 글 소계하여 주심에 찬사를 드립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