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겸제 정선 첫 작품 300년, “진경산수화 감상하세요” - 마운틴
겸제 정선 첫 작품 300년, “진경산수화 감상하세요”


조선 최고의 화가로 꼽히는 겸재 정선(1676~1759)이 올해로 <신묘년풍악도첩>이란 첫 작품을 그린 지 꼭 300년이 되는 해다. 현존하는 <신묘년풍악도첩>은 겸제가 1711년 금강산을 첫 기행해서 그림 그림이다. 그 때 나이 36세. 조선 화단에 겸재란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서곡이었다.

1,금강전도.jpg

겸재 정선은 50대 후반인 1734년 <금강전도>를 완성하면서 진경산수화의 새로운 화풍을 선보여, 그의 전성기를 활짝 연다. 사진 박은순 덕성여대 교수 제공

<신묘년풍악도첩>은 1712년 영조대의 최고의 시인으로 일컬어지는 친구 이병연이 금강산 초입의 금화현감으로 있으면서 삼연 김창흡과 겸재를 불러 금강산 여행을 한 게 계기가 됐다. 겸재는 말로만 듣던 금강산 일만이천봉을 보고, 채 감회가 가기 전에 12폭의 작품을 그려냈다. 그 그림이 신묘년에 그린 풍악도첩이라고 해서 <신묘년풍악도첩>으로 불린다. 이 작품은 겸재란 이름을 화단에 알리며 동시에 진경산수화의 새로운 화풍을 본격 구사하는 계기가 된다.

2.금강산전.JPG

겸재는 평생 금강산을 세 번이나 기행하면서 직접 본 경치를 그림에 그대로 담는 기법을 사용했다. 사진은 50대의 대표작인 <금강전도>이다. 사진 박은순 덕성여대 교수 제공

사실 그 때까지 조선시대의 화풍은 성리학적인 관념론과 명분론에서 벗어나지 못한 관념산수화, 추상산수화가 주류를 이루었다.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관념론에서 벗어나 보다 보편적인 세계관과 구체적인 현실을 중시하게 된다. 즉 실제 본 대로 사실적으로 그리는 기풍으로 바뀌게 된다.

3,인왕제색도.jpg

70대에 이르러 <인왕제색도>를 완성해 겸재는 화가로서 완숙의 경지에 이른다. 사진 박은순 덕성여대 교수 제공

겸재는 금강산을 다녀온 지 불과 1년 후인 이병연의 특별초청으로 아버지, 동생 등과 함께 또 다시 금강산을 기행한다. 2년 연속 금강산 구경을 한 겸재는 친구에게 보답을 하기 위해 내금강과 외금강의 진경 21폭을 그린 <해악전신첩>을 이병연에게 선물했다.

4.정선,화첩(7)진경산수59.JPG

겸재 정선의 화첩에 있는 진경산수화.

이병연은 이를 소장하고 있으면서, 삼연 김창흡, 시인 조유수, 서화수장가 이하곤과 신정하 등 당대 명인들에게 돌려 보이며 시를 받아 넣었다. 겸재의 명성을 일시에 알리는 결정적 계기가 됐고, 겸재는 당장 호사가들 사이에 유명인사가 됐다.

5.정선,화첩(7)진경산수61.JPG

겸재 화첩에 있는 진경산수화의 한 폭. 겸재 자신의 모습이라고 한다.

<해악전신첩>이란 이름은 이병연이 금강산과 주변의 명승들을 실제로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그린 것에 대한 경의와 감탄의 표현으로 붙인 것으로, ‘바다와 산의 본모습을 그린 그림’이란 뜻이다. 흔히 동양의 그림을 ‘전신’이라 부르고 여러 그림들을 모아 엮은 것들을 ‘전신첩(傳神帖)’이라 부른다. 아쉽지만 이 그림은 지금 전하지 않고 있다.

47.금강전도-견본담채-28.5X34.0cm-겸제기념관.jpg

금강전도.

이 때부터 겸재는 문인화가로서 개성적인 화풍을 구사했고, 화가로서 명성을 날리기 시작한다. 한 순간에 조선의 명망 있는 화가로 이름을 올리자, 겸재의 집은 그림을 부탁하려는 사람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2편에 계속>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1 Comment

  1. 푸른하늘

    03.16,2011 at 9:19 오후

    조선시대의 화가로서 독특하고 개성있는 산수화를 그려 명성을 날렸던 화가의그림…
    즐감하고 소장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