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산에 가면 제일 쉽게 볼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봉수대다. 전국의 산이 4,000여개쯤 된다 하면 조선시대까지 봉수대가 약 700개 있었다고 전한다. 5~6개의 산에 오르면 반드시 하나 정도의 봉수대를 본다는 계산이다. 무심코 지나칠 수 있지만 웬만한 산에는 봉수대가 다 있다. 이 중 상당수는 훼손이 심해 흔적조차 찾기 힘들고, 비교적 원형대로 보존돼 있거나 복원된 봉수대도 일부 있다.
봉수대는 원래 군사시설이었다. 삼국시대부터 있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엔 체계적인 운영과 관리보다는 일시적으로 활용하는 측면이 컸다. 조선시대, 특히 세종 시대에 들어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신호방식과 봉수노선 등도 이때부터 체계화 됐다.
‘봉수대’ 글자를 한 자씩 살펴보면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봉(烽)은 봉화나 횃불을, 수(燧)도 봉화나 부싯돌을 가리킨다. 밤에는 횃불을 피우고, 낮에는 연기나 불을 피워 신호를 보낸다고 해서 ‘봉수’라고 불렀다. 그 일을 수행하던 자리가 바로 봉수대다. 낮은 산이라도 사방이 확 트인 봉우리에 대부분의 봉수대가 자리 잡고 있었다. 봉수대에 있는 5개의 화두는 연기나 불이 피어오르는 화두수에 따라 나라 안팎의 상황을 전했다.
세종 4년(1422) 각 도의 봉수대 시설을 정비하기 시작해서 세종 20년(1438) 16년 만에 완비했다. 연해나 변방에 설치된 각 ‘연변봉수’에는 목수가 쓰는 자로 높이 25척, 둘레 70척의 봉수대를 쌓고, 그 아래에 깊이․너비 각 10척의 참호를 팠다. 봉수대 위에는 임시로 집을 지어 각종 병기와 생활용품을 준비해 놓고, 봉화군․봉졸․봉군으로 이뤄진 봉수군과 봉수군을 통솔하고 감시하는 오장(伍長)이 생활하면서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세종은 또한 전국의 봉수 노선을 1로(路)에서 5로(路)로 나눴다. 봉수를 전달하는 봉수대는 조선시대에는 전국적으로 약 643개에 달한다고 <증보문헌비고>에 기록하고 있다. 대개 전달방식은 국경의 변방에서부터 내륙을 거쳐 서울 남산에 이르는 중앙집중식이었으나 때로는 중앙에서 국경지방으로 보내는 분산식도 있었다.
조선시대 봉수대 5대 기간선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됐다. 제1로는 함경도 경흥→강원도→경기도→양주 아차산 봉수, 제2로는 동래 다대포→경상도→충청도→경기도→성남 천림산 봉수, 제3로는 평안도 강계→황해도→경기도→서울 무악 동봉수, 제4로는 평안도 의주→황해도→경기도→서울 무악 서봉수, 제5로는 전남 순천→충청도→경기도→서울 개화산 봉수 등으로 나눠졌다. 이렇게 나눠진 봉수는 최종적으로 한양의 목멱산(지금의 남산)봉수대로 집결되어 그 상황이 즉시 조정에 보고됐다. 제1로․3로․4로는 몽고, 여진, 중국 등 북방민족의 침입을, 제2로․5로는 왜족의 침입을 경계하여 대비한 루트였다.
첫 발화지점에서 한양까지 봉수가 도달하는 데는 대략 12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당시 동래에서 한양까지 걸어서 20일 정도 걸렸던 상황을 감안하면 대단히 빠른 전달인 것이다. 조선시대 전체 봉수대가 643개였다면 선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1개의 선로에 평균 130개 가량 된다. 제2로인 다대포에서 성남 천림산 봉수까지 거리가 대충 400㎞ 정도 된다면 약 3㎞마다 봉수가 하나씩 있는 셈이다. 사방이 확 트인 봉우리에서 3㎞마다 있는 봉수는 흐린 날씨만 아니면 정확한 상황의 파악이 가능하다. 하지만 더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낮에는 활활 타오르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로 알렸다. 신호체계는 평상시는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경계에 접근하면 3개, 경계를 침범하면 4개, 접전을 벌이면 5개의 홰(봉수신호)를 올리도록 했다. 따라서 봉수대마다 5개의 봉수를 설치, 신호를 전달했다. 날씨가 좋지 않으면 봉수군이 직접 다음 지역까지 달려가기도 했다.
초기 봉수대에는 3인 1조로 구성된 봉졸들이 주야로 정찰하며 5일씩 교대근무 했다. 혹시라도 봉졸들이 근무태만, 부주의 등으로 봉화하지 않으면 최고 사형까지 처하기도 했다. 숙종시대 편찬된 <수교집록(受敎輯錄)>에는 근무소홀에 대한 처벌규정이 자세하게 기록돼 있다. 적이 출현하거나 국경에 가까이 왔을 때 거화하지 않은 경우 70~100대에 이르는 장형(볼기)에 처했으며, 적의 침입을 보고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형에 처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봉수대가 제구실을 못한 경우가 발생했다. 1510년 삼포왜란 때 불을 올리지 않았고, 1513년 왜적이 인천, 충청과 전라지역에 침입하여 20여 일간 체류했어도 봉화를 올리지 않았다. 특히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에도 한 달이 넘도록 봉화를 띄우지 않은 경우가 발생했다. 더욱이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했을 때에는 왜군들이 곳곳의 봉수를 파괴하기도 했지만 전국의 모든 봉수가 끊어졌다. 사실상 조선의 봉수는 임진왜란 이후 그 기능이 완전 마비됐다. 이에 따라 조정에서는 봉수무용론과 봉수의 폐단을 주장하는 일이 점차 늘어났다. 급기야 임란이 끝난 이후 1605년(선조 38)에는 말을 타고 직접 소식을 전하거나 사람이 직접 달려가서 소식을 전하는 파발제가 실시됐다.
삼국시대 이래로 부침을 거듭하던 봉수는 1885년 전신, 1890년대 전화 등의 근대적인 통신방식이 도입됨에 따라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이 땅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언제부터 벌어진 행사인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언제부터인가 봉수대에서 고사나 동제(洞祭)를 지내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는 무속인들이 사방 조망이 좋은 봉수대에 올라가 굿판을 벌이면서 민속신앙이 파고든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원래 봉수 주변에는 국법으로 일반인들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했다. 조선 세종 때부터 표석을 세워 이를 널리 알렸다.
<세종실록>에는 ‘봉수대 상단에 가옥을 지어 병기(兵器)를 보관하고, 아침 저녁으로 공급하는 물과 불을 담는데 필요한 그릇을 보관한다. 또한 무당이나 토속신의 사당건립을 법으로 금한다’라고 엄격하게 밝히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유추해보면 봉수대에서의 고사나 동제행사는 조선 이후, 즉 일제시대 때 나라 잃은 아픔을 달래는 하나의 변형된 방식으로 샤머니즘으로 파고든 것이 아닌가 볼 수 있다.
어쨌든 봉수대는 고대시대부터 있었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속하는 우리 역사의 산물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역사적 고증이나 학술 심포지엄 등은 이뤄지지 않아 안타깝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