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산림의 황폐화가 이미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기준으로 남한의 산림축적은 125.6㎡/㏊에 달하는 반면 북한의 산림축적은 약 38㎡/㏊ 정도에 그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은 산림청이 분단 70년 제70회 식목일을 맞아 남북한의 산림현황을 한 눈에 비교해 볼 수 있는 ‘2015년 남북한의 숲’ 위성영상자료를 공개하면서 밝혀졌다.
이번에 공개한 영상자료는 국내위성 ‘천리안’이 2014년 가을 촬영한 자료로, 남한지역은 영토의 대부분이 울창한 산림에 둘러싸여 있는 반면, 북한의 산림은 자강도, 양강도, 함경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산림을 찾기 힘들 정도로 황폐화 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번 영상 공개는 산림청 산하 한국임업진흥원이 지난 3월부터 추진 중인 북한 산림모니터링 활동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진흥원은 모니터링을 통해 북한 산림황폐지와 우선 조림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등 산림복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진흥원은 국내외 위성자료와 최신 위성자료처리기법을 활용해 북한지역의 산림과 비산림지역을 구분하고, 비산림지역 가운데 산림 황폐지역을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북한 산림통계는 발표하는 기관마다 달라, 구체적인 북한 산림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진흥원은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산림과 황폐지를 구분하는 등 북한 산림현황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북한 산림복구사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와 함께 진흥원은 북한 토양정보를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북한 산림 황페지 복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향후 북한 산림복구사업이 시행될 때를 대비해서 각 토양환경에 맞는 수종을 조림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한 사전 분석작업을 끝낸다는 방침이다. 위성영상분석을 통해 제작된 북한산림지도와 함께 지질도, 토양도, 수치표고모델(DEM)을 이용한 북한토양특성 분석으로 황폐지역에 적절한 조림수종 선정 및 수종별 조림대상 면적까지 산정하기로 했다.
해방 이후 북한의 산림이 남한보다 훨씬 울창했다. 하지만 남한은 1970년대 이후 집중적인 치산녹화사업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한 반면, 북한은 영토의 80%를 차지한 산림을 지속적인 뗄감으로 사용하면서 현재는 더욱 황폐해지게 됐다.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매년 평양시 면적에 해당하는 11만2,000㏊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임진강 상류 지역의 잦은 범람을 초래해, 지난 1998년과 1999년에는 임진강 하류에 밀접한 남한지역에 163만 명의 인명피해와 약 6,000억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특히 현대경제원 연구발표에 따르면 북한 산림복구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권은 약 2,555만 tCO2로, 이를 판매수익으로 환산했을 때 약 1억4,000만 달러의 경제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훌륭한 미래 국가 수익원이 될 수 있다. 여기에 복구한 산림을 장기적으로 관리하면서 목재를 판매할 경우 목재 수입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김남균 한국임업진흥원장은 “통일 이후의 경제 환경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생계와 관련된 인도적 차원에서도 북한 산림복구사업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제”라며 “한국임업연구원이 제공하는 과학적 자료가 통일 한반도 시대를 준비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