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글 목록: 2016년 10월 6일

셀 7

셀7

셀 7
케리 드루어리 지음, 정아영 옮김 / 다른 / 2016년 9월

“죽음에 투표하시겠습니까?”

 

어떤 사건에 의한 범행이 발생이 되고 그 범인이 잡힌 후에 그 범인은 죄가 명백하게 밝혀질 때까지는 그 어떤 처벌도, 형량도, 그리고 보다 명백한 것은 아직은 죄가 있다고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보통의 사람으로 법의 심판을 기다린다.

 

그런데 만약 이런 법 테두리 안에서 진짜 범인은 살아있고 전혀 엉뚱한 사람들이 처벌을 받게 된다면?, 그것도  법정에서 선고하는 사법 제도가 폐지되고 국민들의 손에 의해서 오로지 법의 처벌을 받게 된다면?

유죄 아니면 무죄, 단 두 가지 외에는 그 어떤 처벌의 형벌은 있을 수 없으며 국민들은 자신들 스스로가 배심원이 되어 범인으로 잡혀 온 사람의 일거수일투족을 보는 시스템에 의해 형량을 구형하게 된다면 그 법은 과연 온당한 제도일까?

이런 법의 시스템은 완벽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를 묻게 되는 책-

 

 

디스토피아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가상의 이야기지만 읽으면서 섬뜩함을 내내 지울 수가 없었던 책이다.

 

부유한 사람들이 사는 동네와는 떨어진 하이라이즈란 곳에 살고 있는 16살의 소녀 마사 허니듀는 사회 유명 인사인 잭슨 페이지를 총으로 쏴 죽인 그 자리에서 자신의 죄를 밝히고 수감이 된다.

살인죄로 구속된 마사는 ‘7일의 정의 법’에 따라 7일 동안 TV 뉴스쇼에 신상이 공개되고, 이 공개된 자료는 시청자들의 버튼에 따라 그녀의 운명이 결정지어지게 된다.

 

시청자들은 전화, 문자, 인터넷을 이용해 무죄 혹은 유죄에 투표하게 되면 그 결과에 따라 7일째 날 최종적으로 사형인지, 무죄인지를 확정받을 수 있는 정책, 온통 사회는 이를 독점 중계하는 tv 방송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실제 상황에 따라 주목을 받게 된다.

 

과연 마사는 사회에서 벌이는 여러 가지 좋은 일들만 해 온 잭슨 페이지를 죽였을까? 설마 자신의 엄마를 죽였다고 해서 복수심에 불타 계획적으로 실행해 온 것일까?

 

책의 구성은 제1수용실에서부터 제 7 수용소까지의 마사가 견딘 일상들을 보여주고 그 안에 갇힌 그녀가 그녀가 회상하는 형식의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가 씨줄과 날줄 형식으로 교차되면서 보인다.

그녀를 상담하는 상담사 이브와의 대화를 통해서 마사가 밝히지 않는 비밀은 무엇인지, 왜 자신이 죽어야만 변화가 올 것이란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인지에 대해 독자들로 하여금 끊임없는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사생활이란 이름은 사치에 속하는 모든 행동의 제약을 감시당하고 수용소를 옮길 때마다 창문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며 가스를 뿌려 정신적인 혼미 상태를 노리는 교정 당국의 태도, 그 뒷면엔 국가라는 거대한 체제 속에서 힘없고 나약한 ‘최초의 10대 여성 수감자’로 관심을 끌게 된 마사의 등장을 통해 더욱  비정한 체계를 엿볼 수가 있게 한다.

 

자신의 남편 또한 무죄였지만 투표에 의해 사형을 당해야만 했던 아픔을 지닌 이브는 마사의 이상한 낌새를 눈치채게 되고 마사의 남자 친구이자 잭슨 페이지의 양아들인 아이작과의 만남을 통해서 또 다른 갈림길에 서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개인의 생활을 tv스크린을 통해 보는 장면은 트루먼 쇼를 생각나게 했다.

거대한 집단 안에서의 철장 속에 갇혀 있는 생쥐처럼 통제당하는 마사는 자신의 신분과 처지를 이용하면서 자신의 죽음 뒤에 밝혀질 비밀로 인해 보다 더 나은 세상을 열기 위해 자초했던 죽음의 과정이 실제 점차 다가올수록 겁에 질리고 두려움에 쌓이는 과정, 그러면서도 아이작과 한 약속을 이행시키기 위해 행동에 옮기는 절차들은 나이는 어리지만 연약한 소녀의 당찬 결심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의 비리와 악행을 서슴지 않고 행하는 사람들이 저지른 죄를 대신해서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단지 돈만 많으면 얼마든지 생사의 갈림길 버튼 하나를 누룰 수 있는 국민들의 이성을 망각하게 하는 제도에 대해 비난을 쏟아내게 한다.

 

완전한 법은 없다지만 없는 가운데서도 최선의 법 구현을 실현하는 것, 바로 그것이 민주주의의 기본이란 생각은 이 책을 읽으면서 점차 진짜 법에 따라 사형을 받아야 마땅한 사람일 까에 대한 생각은 접어둔 채 피의 맛에 길들여져 가는 로마시대 백성들처럼 이성을 망각해가는 국민들의 모습들을 보여주는 사례들은 현실 세계에서도, 혹여 잘못된 결정에 의해 귀중한 생명을 찾을 수 없게 된 것은 아닌지에 대한 경각심마저 불러일으킨다.

 

“눈에는 눈’이란 말을 소재로 방영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버튼 하나가 그 어떤 일들의 결과를 생성하는지에 대해 재미만을 생각하는 사람들, 아무리 무죄를 외쳐도 자신들이 보려고만 하는 것만 봤던 사람들이 어떻게 마사의 행동을 통해 반성을 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차후의 이야기는 독자들의 상상에 맡겼듯이 이야기 안에서의 권력을 쥐고 흔드는 사람들의 그릇된 행동과 제도권의 약함이 어떤 결실들로 다가올 수 있는지, 새삼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