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크리스티나 달처 지음, 고유경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2월
하루에 단 100 단어만 말해야 한다면 어떤 기분이 들게 될까?
수다스럽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막상 이러한 제도가 시행이 된다면 그동안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말들이 갑자기 폭포수처럼 쏟아지며 공포의 분위기로 살아갈 것 같은데, 이러한 설정 자체를 다룬 책을 만났다.
근 미래의 어느 미국이 배경이다.
자신의 말을 신처럼 믿는 국민을 바라는 대통령, 성경의 교리를 토대로 생활의 전 부분을 지키며 살아가야 한다고 믿는 목사가 미국이란 나라를 장악한 시기를 다룬다.
아들 셋과 딸 하나, 남편과 살고 있는 신경학과 언어학자인 진은 정부가 실시한 ‘순수 운동’이라 불리는 정책으로 인해 자신과 딸의 팔목에 팔찌를 채우고 살아간다.
남성들을 제외한 여성들이 하루에 100 단어밖에 사용할 수 없는 정책에 따라 자신과 딸 소니아에게 할당된 단어, 100 단어만 넘어가면 엄청난 고통을 느끼게 하는 시스템 속에 남편과 아들들은 하고 싶은 말을 모두 쏟아내지만 정작 자신과 딸은 단어와 문장 사이의 모든 것을 최대한 간략하면서도 의미를 전달해야만 하는 처지다.
이런 그녀에게 아들과 딸의 성장은 정반대의 모습을 보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아들 스티븐이 정부의 정책대로 남자가 할 일, 여자가 할 일이 분리되어 있다고 믿는 사고방식, 딸 소니아의 학교 생활을 통해 오로지 글과 책은 저 멀리, 재봉과 요리를 배우는 과정들의 설정은 과거의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간 듯한 느낌까지 들게 한다.
어느 날 정부로부터 대통령 형의 뇌 사고의 치료를 위해 은밀한 제안을 받게 된 진은 정부가 주도하는 교묘한 정책의 실체를 통해 동료들과 함께 결정적인 일을 결심하게 된다.
과거처럼 느껴지는 설정, 여성과 성 소수자를 억압하고 다루는 정부의 정책은 인간다움은 무엇인지, 진의 대학 동료가 제안했던 그 시절, 동참했더라면 이런 일들은 좀 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착하지만 유악한 남편이 정부의 정책에 동조하는 모습은 유약함이 어떤 것인지를 보이며, 이 책을 통해 보인 각기 다른 등장인물들의 말과 행동들을 통해 우리 스스로의 결정권이 중요함을 느끼게 해 준다.
– 자유로워지려면 뭘 해야 할지 생각해봐.
어쩌면 이 지경이 된 지금, 무언가 시작하기 좋을 수도 있겠다.- P34
잃어버린 목소리를 찾기 위해, 더 나아가 인간다운 삶을 찾기 위해 새로운 도전을 향해가는 진의 모습은 자신의 대를 이은 딸 소피아를 위해서, 더 나아가 남, 녀의 성 차별이 아닌 오로지 인간이란 존재 자체만으로도 소중한 자체임을 일깨워 준 책이다.
저자의 전공분야를 십분 이용해 암울한 디스토피아의 세계를 그린 책, 기존의 디스토피아를 다룬 책의 또 다른 새로움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