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등산중독시대… 한달에 한번 이상 등산 1,560만 명 - 마운틴
등산중독시대… 한달에 한번 이상 등산 1,560만 명

등산중독시대다. 중독 치고는 가장 좋은 중독이다. 휴일 전철을 타면 노선마다 조금 차이는 있지만 승객 절반 이상이 등산객이다. 과연 등산객이 어느 정도일까? 가장 최근 자료가 나왔다.

지난 해 6월 출범한 한국등산지원센터가 한국리서치에 조사의뢰해 올 3월 발표한 ‘한국인의 등산관련 실태와 단체 실태’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두 달에 한번이상 산에 가는 사람은 1,886만 명, 한달에 한번 이상 산에 가는 사람은 1,560만 명으로 나왔다.

한국리서치는 등산인구를 ‘두 달에 한번 이상 산에 가는 사람’으로 개념 정의했다. 산림청에서 지난 2006년 한국갤럽에 조사 의뢰할 때 등산인구의 개념은 ‘한달에 한번 이상 산에 가는 사람’이었다.


한국리서치는 거의 매일 등산하는 인구가 국민의 2%인 86만 명, 1주일에 두 번 이상 303만 명, 1주일에 한 번 이상 401만 명, 1달에 1~2번이 770만 명으로 나타나 누적 등산인구는 1,560만 명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국민의 44%에 해당한다.

두 달에 1~2번 이상 등산하는 인구는 326만 명으로 누적 등산인구가 국민의 53%에 해당하는 1,886만 명에 이른다. 이어 1년에 서너 번은 632만 명, 1년에 한두 번은 535만 명으로 조사됐다. 산에 간적 없다는 응답은 285만 명에 불과했다.

산행 행태에 따른 분류로 암벽 등반을 주로 하는 사람도 4%인 80만 명이나 됐다. 릿지 등반은 무려 16%인 291만 명에 달했다. 암벽과 릿지 등반을 하는 인구가 전체 등산인구의 20%인 370만 명을 넘었다. 암벽과 릿지 등반은 서울지역이 각각 6%와 21%로 다른 지역보다 특히 많았다.

영국 등산협회는 등산을 네 가지 기준으로 나눴다. 산을 오르는 목적 보다는 야유회 성격이 강한 형태를 램블링(rambling, 산책), 산을 오른다는 개념은 있지만 정상을 고집하지 않고 자유스럽게 즐기면서 산행하는 그룹을 스크램블링(scrambling, 산행), 정상을 목적으로 하고 어느 정도 등산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산행하는 층을 마운티니어링(mounteering, 등산), 전문적인 등산행위, 즉 암벽, 빙벽, 해외원정 등의 등반형태의 산행을 하는 사람을 클라이밍(climbing, 등반) 등으로 구분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등산 인구는 램블링이나 스크램블링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조사로 마운티니어링이나 클라이밍 인구도 익스트림 스포츠의 보급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인구 중 남녀의 비율은 54%와 46%로, 1,018만 명인 남자가 868만 명인 여자보다 다소 많았다. 등산인구의 연령별 비중은 18~29세가 13%, 30대가 19%, 40대가 29%, 50대가 23%, 60대가 17%로 나타났다. 50대와 60대는 전체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이 28%였으나, 등산인구 중에서는 40%로 월등히 높았다. 이는 50대 이상이 그만큼 산에 다니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등산객_증가.jpg

휴일이면 모든 산에 등산객들이 붐벼, 등산이 가히 전국민 레저 시대를 맞았다.

전체 등산인구 중 2008년 등산을 시작한 사람이 4%, 2007년부터 5%, 2006년부터는 8%였다. 불과 1~2년 전에 등산을 시작한 사람이 무려 17%에 달하는 314만 명으로, 최근 들어 등산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매년 100만 명 이상의 등산객이 증가했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국립공원 입장객수도 입장료가 폐지된 2007년부터 크게 늘어났다. 2006년 20개 국립공원 총 2,498만 명에서 2007년 3,797만 명으로 사상 처음 3,000만 명을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매년 100만 명 이상의 등산인구가 증가한 가운데 이들의 연령별 구성은 20대가 67만 명으로 21%, 30대가 94만 명으로 30%, 40대가 86만 명으로 27%로 나타났다. 특히 18~39세까지의 사람이 등산을 시작한 경우가 전체 연령층의 51%나 차지했다. 등산이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젊은층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늘어나는 등산인구는 인터넷 카페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다음과 네이버에 개설된 등산관련 카페는 1만 7,000개에 이르며, 회원수도 160만 명에 달한다. 대부분(84%)의 온라인 등산 카페가 2004년 이후 개설됐으며, 그 이전에 있었던 카페는 불과 19%였다.

인터넷은 등산인구를 속속 받아들여 각종 등산정보를 제공하는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등산객들이 산에 관한 자료나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인터넷으로 꼽았다. 무려 41%가 인터넷을 통해 등산자료와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다. 친구나 선후배를 통해서는 19%, 신문․잡지는 1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인터넷은 안내 산행의 역할까지 담당했다. 등산객 22%가 인터넷에서 모집하는 산행에 참여한 적이 있다고 답할 정도였다.

두 달에 한번 이상 산에 가지 않는 비등산인구 중 4%는 “앞으로 무조건 산에 더 자주 가고 싶다”고 답했고, 63%는 “가급적 산에 더 자주 가고 싶다”고 응답해 앞으로도 계속 등산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앞으로 산에 갈 생각 없다”고 답한 사람은 500만 명이 채 안되는 32%로 나왔다.

등산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친구나 선후배, 직장 동료의 권유에 의해서가 가장 많은 33%였다. 가족의 권유가 20%, 그냥 혼자 가고 싶어서가 18%, 의사의 권유가 1%였다. 의사의 권유는 없었지만 산에 다니면 건강을 회복할 수 있을 것 같아 등산을 시작한 사람도 14%나 됐다.

‘등산하는 이유’는 82%가 “건강에 도움이 돼서”라고 답해 압도적이었다. 다음으로 ‘경치가 좋아서’가 46%였다. 중복 응답으로 조사했다. 세 번째가 ‘산을 걷는 것 자체가 좋아서’였다. 43%였다. 이어 ‘정상을 오르는 기분이 좋아서’는 29%였다.

‘가장 좋아하는 산’은 30%가 설악산을 1위로 꼽았다. 지리산이 22%, 북한산 8%, 한라산 5% 순이다. 호남 사람은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인지 46%가 지리산을 제일 선호했고, 설악산은 14%에 불과했다. 가장 가보고 싶은 외국의 산은 1위(29%)로 알프스, 백두산이 근소하게 2위(28%)를 차지했다.

등산객들이 산에 가면서 가장 불편한 사항은 ‘문화재 관람료 징수’를 들었다. 76%가 “관람료는 당연히 절에 들어가는 사람만 받아야 한다”고 했다. 절에 들어가지 않는 사람에게 관람료를 받는 것은 ‘거의 갈취’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등산지원센터는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등산객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와 어떤 사업을 벌일 것인가에 대해 집중 검토하고 있다.


조사 대상과 방법은 전국의 18~69세의 남녀 총인구 3,570만 명을 대표할 수 있는 1,800명을 비례 할당으로 무작위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웹서베이(Web-Survey)및 전화조사 방법을 이용했다. 2008년 10월8~20일까지 조사했으며,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3%.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1 Comment

  1. 저 하늘아래

    04.06,2009 at 4:30 오후

    등산하고나서 술을 먹으면 절대 안됩니다! 근육이 피곤해 있는데 거기에 알코올이 들어가면 회복이 잘안되지요! 등산하고나면 식사나하고 술은 다음날에 먹으세요! 피로도 회복되고 술맛도 좋을겁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