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성은 사적 제215호(1971년 2월 9일 지정)로 길이 18,845m, 성벽 높이 1.5∼3m, 총면적은 약 2,512천평(8.2㎢)의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산성이다. 행정 구역상 금정구, 북구, 동래구, 경남 양산시와 성벽을 기점으로 경계(境界)하고 있으며 산 능선을 따라 성을 쌓았다.
금정산성이 금정산 능선을 따라 길게 뻗어 있다. 국내에서 가장 긴 산성이다.
금정산성은 임진왜란의 혹독한 피해를 입은 동래부민(東萊府民)이 난(亂)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피난 겸 항전성(抗戰城)이다.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남해안과 낙동강 하류에 왜구의 침입이 심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신라 때부터 이미 성(城)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문과 주변 성곽을 완전 복원하는라 한창 공사 중이다.
성문 4개와 망루4개가 있는 산성은 경상감사 조태동의 건의에 의하여 숙종29년(1703)에 동래부사 박태항 등이 성을 쌓았고, 숙종33년(1707)에 동래부사 한배하가 중성을 새로 쌓았으며, 순조8년(1808) 동래부사 오한원이 무너지고 없어진 성을 고쳐 쌓았다.
금정산성의 제4망루.
금정산성을 지키는 일은 동래부사가 맡았으며, 유사시에는 동래, 양산, 기장 삼읍(三邑)의 군인과 승려들이 차출되어 방어토록 되어 있었고, 평상시에도 산성내에 있는 국청사, 해월사(현재는 존재하지 않음)의 승려 100여명과 범어사 승려 300여명으로 성을 지키도록 했다.
등산로 따라 있는 금정산성은 부산 도심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어 등산객들 쉼터이기도 하다.
금정산성은 그 후 뚜렷한 보수 없이 부분적 손질로 유지되어오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을 경계한 군사용 건물이라는 이유로 군관아건물(軍官衙建物)은 훼손되고 무기 또한 몰수당했다.
남문은 이미 복원 정비를 끝냈다.
산성의 보수정비는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인 1972년 동문과 남문, 1973년 서문, 1986년 북문을 복원하였고, 1976년∼1979년 제1망루, 제2망루, 제3망루, 제4망루를 복원하였으며, 붕괴·훼손된 성곽보수 등 금정산성 정비계획에 의거 연차적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보수 정비하고 있다.
금정산성 제2망루.
금정산성은 금정산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천년고찰인 범어사와 더불어 우리고장의 문화유적지이며 관광명소이자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이 깃 든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금정산성에 대한 설명.
동문 성벽위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