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백두대간에 어떤 동물들이 살까…곰, 수달, 담비, 삵 등 서식 - 마운틴
백두대간에 어떤 동물들이 살까…곰, 수달, 담비, 삵 등 서식

백두대간의 생태계가 점차 회복되는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됐다.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며 장기적으론 백두대간 고유의 특성을 지닌 자연림으로 돌아갈 가능성을 충분히 보였고, 멸종위기 종들도 속속 살아나고 있다.

앞에 썼던 백두대간의 식생과 조류에서도 언급했듯이 얼마만큼 보존을 잘 하느냐에 따라 결국 전적으로 인간의 손에 달려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동물과 식물, 즉 생태계가 건강해지고, 더불어 인간도 좋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다.

하늘다람쥐.jpg

하늘다람쥐

식생, 조류, 양서파충류 이어 이번엔 포유류에 대해서 살펴보자.

포유류는 지리산 일대에서는 방사한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반달가슴곰과 수달, 담비, 삵, 하늘다람쥐 등 20종 가까이 관찰됐으며, 정령치 인근 지역에서 포유류의 흔적이 가장 많이 발견됐다. 탄피, 올무 등 밀렵의 흔적도 곳곳에서 나와 단속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덕유산 일대에서는 포유류의 서식조건은 양호한 상태였으나, 야생동물의 속성상 사람의 발길이 닿는 등산로 주변에서는 서식흔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추풍령 일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종인 삵과 담비가 고루 출현했으며, 이들의 서식지는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사면과 작은 능선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곳에서도 밀렵용 올무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삵.jpg

조사에 참여한 야생동물연합 조영래 박사는 “야생동물의 특성은 인위적인 간섭이 있는 곳에는 서식을 피하고 있으며, 등산로 조금 벗어난 곳에서 삵, 족제비, 멧돼지, 멧토끼, 노루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며 “사람들이 편하게 다니기 위해 만들어 놓은 도로나 임도에 의해 생태의 단절이 심각한 상태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마련하는 등의 인간과 야생동물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담비.jpg

담비

조 박사도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포유류의 서식 조건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야생동물이 농작물의 피해를 많이 준다고 보도하고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그만큼 없애버렸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백두대간에서 야생동물의 흔적이 많이 확인되지만 마루금 중심으로는 별로 찾을 수 없다. 능선은 많은 등산객들이 다니고 있어 야생동물 서식지로는 좋은 환경은 아니다. 아마도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위적인 간섭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백두대간을 종주하는 등산객들은 종주 전 야생동물 보호에 관한 최소한의 설명을 듣는 시스템을 마련했으면 한다. 이는 남의 집에 갈 때 예의를 갖추는 것도 같다고 볼 수 있다. 자연을 즐기는 만큼 자연을 소중히 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자연이 무너지면 결국 재앙은 결국 인간에게 돌아오는 이치를 생각해보면 될 것이다. 온다.”

수달.jpg

수달

국립환경과학원 서민환 과장은 “백두대간의 생태계의 의미와 의의를 찾고자 6개 구간으로 나눠 전문가 64명이 동시 투입해서 조사했다”며 “이같은 자료를 토대로 어떤 지역이 시급히 복원돼야 하며,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등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해졌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달가슴곰.jpg

반달가슴곰

백두대간의 생태 건강성에 대한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이 2007년 처음으로 1년 동안 지형, 식생, 식물상, 조류, 포유류, 담수어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 저서무척추동물 등 9개 분야 전문가 64명과 함께 남한 백두대간 전체 684㎞ 중 지리산~덕유산~속리산 형제봉 구간 240㎞를 현지답사하며 관찰해 얻은 것이다. 그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묶어 발간했다.

올해는 태백산~설악산 일부 지역을, 2010년엔 설악산 나머지 지역을 조사해서 백두대간 전 지역 생태계 특성 조사를 끝낼 계획이다. 환경과학원은 이 자료를 토대로 백두대간 보전 및 복원계획을 수립한 뒤,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1 Comment

  1. 김규용

    10.23,2010 at 2:05 오전

    좋은 글 과 사진 을 올리는라고 수고 가많은십니다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