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박물관展 – 예술의 전당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영원한 인간’이란 테마로 “대영박물관展”이 열리고 있다.

세계 최대의 문명사 박물관에서 나들이 온 작품은 아름다움, 개인, 신, 권력, 변신, 사랑, 6개의 소주제로 구성되었는데, 시공간의 경계를 초월해 인류의 다양한 문화와 풍습을 통해 인간의 모습을 탐구해보도록 하였다.  

인간의 얼굴이 천차만별이다. ‘나’는 지구상에 단 하나이기에 소중한 것.  美에 대한 욕망으로 부풀려진 조각상에서 시대와 나라에 따라 변화하는 미의 기준을 보게 된다. 상징, 연상, 과장, 등 나라에 따라 다른 표현 양식이 금방 구분이 된다. 가령, 이집트 사람의 이미지는 스핑크스형 단말머리로 알게 되는 것처럼.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신상들의 이야기,  수호신, 부조, 조상신, 탄생설화 등 인간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의지하려는 속성이 있다. 배꼽을 ‘영혼이 드나드는 관문’으로 표현한 파퓨아뉴기니아 엘레마족의 신상,  그리스 비극무대, 무도회에서 사용된 크로데스크한 가면에서 느껴지는 인간 내면의 복잡한 심리..

18세기 영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팜므파탈의 교활을 그린 ‘그, 이상의 리차드 경’, 극 사실주의 드로잉 ‘가장 무도회’ 아르테미스 여신 두상,  알렉산더, 빅토리아 여왕 조각상, 스토아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황제의 두상, 엘리자베스 1세의 풍자만화는 부정부패를 그리고 있다. 미켈란제로의 아담의 창조를 모방한 작품, 우주의 지배자 예수 그리스도의 성상, 아담과 이브의 성경이야기를 채색 목판화로 독특한 기법을 사용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접시도 보이고, 히잡을 쓴 여인의 사진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 것은 감춤의 미학이랄까.  풍자와 익살과 재치와 해학이 담긴 조각 인물상들은 또다른 나로 변형 시킨 이미지들이다.

인간의 모습 중 가장 숭고한 것이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예술가들이 가장 선호해온 주제, 바로크 시대의 목판화로 ‘사랑의 정원’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의 묘사, 거울 앞에서 젖먹이는 여자의 일본 목판화도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 작품은 단 한 점으로 조선시대 신분을 나타내는 양반가의 인물을 서양화 기법으로 그린 초상화이다.

기억에 남는 것은 마티스의 드로잉과 수많은 지문으로 얼굴을 그린 척 클로스作 ‘ 지문’, 꽃과 과일로 구성된 인물 동판화, 탄자니아 시골마을 풍경의 그림에서 절구질을 하는 사람들, 인디라 간디의 승천을 그린 두루마리 열두 폭, 중국의 산수화 한 점 등이다.

1만년 세월을 아우른 인류문명의 보물들이 한자리에 놓였다는 데 자잘한 소품들을 너무 촘촘히 전시해놓아 작품감상에 방해가 되었다.  아무리 의미 있는 작품이라도 너무 많으면 시선이 분산되어 꼼꼼하게 감상하기가 어려워진다. 전시 기획자의 욕심이 좀 지나쳤던 것 같았다. 전시는 3월26일까지 연장되었다.

 

20160303_131643 20160303_131658 20160303_132346 20160303_132639 20160303_132800 20160303_145759  20160303_145640 20160303_145627  20160303_145840 20160303_145819 20160303_145614 20160303_145730 20160303_150628 20160303_145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