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금의 중국의 모습

작금의 중국의 모습

-‘후진타오 이야기’를 읽고

 

 

20100527_150909_c6adf859c5b5662a51fdfdcafd095a7

 

 

 

세 송이의 장미 꽃망울로 시작된 5월은 격일로 매일 4시간씩 계속되는 약리학 강의와 연구비 심사, 연구 윤리 심사, 학술대회, 교수 연수회 등으로 경황없이 지나가고 있다. 이제 뜰에는 난만한 장미와 새로 핀 수선화의 노오란 빛깔이 아름답고 뒷산에는 아카시아의 향기가 저녁 노을 속에 눈발처럼 흩날리고 있다.

 

 

20100527_151041_87091f991c0a781ca6e46e3c27afb6

 

 

 

어릴 때 받은 반공 교육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여행을 좋아해서 젊은 시절 정말로 종횡으로 많이도 다녔지만 중국에 발을 디딘지는 채 10년이 되지 않는다. 2003년 가을 학기에 한국해양대학교의 실습선 ‘한나라’호의 선의(Ship’s Doctor)로 한 달간 동승을 하면서 입항했던 샤먼(廈門)이 처음으로 가본 중국의 여행지였다.

 

 

20100527_151117_3ed3e5ff7eb0e45fd2689b552af19f1

 

 

 

그 후 2004년 겨울에는 약 2주 동안 운남성의 쿤밍, 대리, 리짱을 여행한 적이 있으며 그리고 정말 오지 중에 오지인 양쯔강의 최상류에 속하는 금사강(金沙江)이 흐르는 봉과(奉科)라는 곳에서 의료지원 팀의 일원으로 3일 동안 머무른 적이 있었다.

 

20100527_151145_525986ef6a33968415a1a2df9ef0e55a

 

 

그 이후에 2006년 북경에서 세계약리학회가 열려서 다시 2주 정도 북경을 방문하게 되었다. 그 후에도 상해를 두 번 더 방문한 적이 있지만 중국이라는 나라는 한마디로 감상을 적기에는 너무도 복잡하고 복합적인 나라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20100527_151212_ae873726b4917ac17d73bc9eb52f79b1

 

 

 

고교 시절 제목이 좋아서 사 모은 책 중에 펄 S. 벅이 쓴 ‘어머니’라는 책이 아직도 이층 서재의 한 구석에 자리 잡고 있는데 배경은 흙먼지가 사시사철 날리는 황하의 어느 시골이었다. 아이는 자주 씻지를 못해서 안질을 항상 눈에 달고 다녔다. 또 하나 중국에 대한 상념이 머무는 자리에 외항선 해기사로 근무할 당시에 보았던 1910년경의 중국이 배경이 되었던 ‘sand pebbles’라는 영화가 떠오른다. 그 이후 비교적 최근에 보았던 ‘마지막 황제’에서도 중국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받고 있는데 무엇인가 쉽게 접근하기가 꺼려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20100527_151243_59a3724a9c874eaf66e370746a135a

 

 

 

‘후진타오 이야기’를 읽으면서 2004년 발간된 션판(沈凡)이 쓴 자전적인 기록인 ‘홍위병’과 많은 장면들이 서로 섞이는 것을 느낀다. 타도의 대상이 되면 죽여서 내장을 꺼내 잘라서 한 조각씩 기름에 튀겨 먹는 군중들의 광기를 결코 잊을 수 없다. 그러한 광기의 시대를 인내와 자중으로 헤쳐 나가는 주인공의 이야기에 많은 감명을 받게 된다. 대약진운동 때의 중국의 기근과 관련된 일화 하나가 떠오른다. 먹을 것이 모자라게 되자 아버지가 자식을 위해 굶어 죽으면서 자신의 시신을 아이들에게 먹이라고 유언을 하였다는 것이다.

 

 

20100527_151336_7ac2aebb751c1f227849d6cbc4c81

 

 

 

후진타오의 아버지도 자신의 얼마 되지 않는 재산을 공산당에 바치면서 서운한 내색 한번 하지 못한다. 그리고 후진타오 자신도 상처받은 영혼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아마도 그 시대의 중국의 사람들 모두가 그렇게 살았을 것이다.

 

 

20100527_151417_81db2eb1438b2ef66cde6aa57d753be1

 

 

 

정말로 훌륭한 인품의 지도자이지만 1989년 라싸의 독립요구를 무력으로 진압한 사건은 이해는 가지만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또한 북경의 천안문 광장을 거닐어 본 적이 있지만 나는 등소평이 “20만 명을 죽여 20년을 안정시키자.”고 한 말에 동의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인명 경시 풍조는 아직도 중국의 역사에 연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고 여겨진다.

 

 

20100527_151500_916012694fa9b2ad9fb72e9ab47cf46d

 

 

 

그리고 무엇보다 1900년대 이후의 중국의 현대사를 개괄하는데 매우 유익하며 저자는 매우 객관적으로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고 있어서 중국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나는 젊은이들이 이 책을 읽고 보다 인내하고 자신의 내실을 기하는 계기로 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감사합니다.

 

 

20100527_151534_4c16fa7b7627bd42313c942eef791978

 

 

2010년 5월 27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

오도된 가르침의 폐해

오도된 가르침의 폐해

-‘노크하는 악마 (원제: Das Böss in uns)’를 읽고

 

 

20100502_060426_569a429f4995d02b43944d76115dd36c

 

 

 

어제 박찬종 변호사께서 MBN에서 기초단체장 공천 헌금과 관련해서 국회의원들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송을 잠깐 본 적이 있다. 야인으로 있을 때는 정당 공천을 없애야한다고 강변하다가 국회의원이 되자 자기사람들 줄 세우고 조직하는 도구로 쓰면서 법 개정을 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최근 기초단체의 호화청사, 단체장의 수뢰와 증뢰, 천안함 사건, 스폰서검사, 전교조명단 발표와 관련된 사건 등을 보면 아무리 세상 물정을 모르고 학교에서만 사는 문외한이라고 하지만 현재의 사회 현상은 정상의 궤를 넘어서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20100502_060504_343c9562f135ef34c23fedfae9bd198

 

 

 

이 책은 지난 3월에 베스트 리뷰어라고 조선일보에서 보내 주신 5권의 책 중에 리뷰를 쓰기를 망설이면서 미루어 두었던 마지막 권이다. ‘악(惡)’이라고 하면 자칫 관념적인 주제를 실체적인 사실로 왜곡시켜 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20100502_060543_46708aab9942b26be4fd8aab8eee8d

 

 

 

독일의 정신과 전문의인 Theo R. Payk은 여섯 장에 걸쳐서 악의 기원, 악의 화신, 악의 단면, 살인자 유형, 악의 배경, 악의 유혹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먼저 서장에서 “기독교를 비롯한 세계의 모든 종교 집단에서는 신도들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을 이용하며 복종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협하고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100502_060629_e5c429f798df88789978be98ec2dbc

 

 

 

1장에서는 “인간에게 원죄가 있다는 원죄론은 418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종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기독교 교리로 결정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교만, 탐욕, 식탐, 분노, 색욕, 질투, 태만을 인간의 7대 죄악으로 일컬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의 서구문화는 “여론을 조성하는 사람들이나 이른바 트렌드세터(Trend setter)라고 하는 사람들은 날로 발전해 가는 통신기술을 홍보나 시장 확보 수단으로 이용해 향락을 추구하는 사회 풍조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100502_060713_10f4e17183f93db8e6a63c1d12ebefa

 

 

 

그리고 “말초신경을 자극하고 감정의 흥분을 유발하는 향락사회에서는 진실함보다는 과대포장과 환상을 좇는 현상이 난무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기와 위선, 범죄의 경계를 넘지 않는 한도에서 교묘하게 속임수를 쓰는 것이 능력의 상징으로 포장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국제화된 시장 경제 원리라는 명목 아래 로비활동과 착취, 부정부패가 합리화되고 있다.”

 

 

20100502_060804_eba67eb4ff0bdf1ce1b3f3b84e34b77

 

 

 

“정보를 바르게 전달하고 수용하는 것 역시 민주주의 국가의 국민에게 요구되는 사항이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판매 부수나 시청률을 올리려고 과장되게 해석하거나 특정부분을 강조하기도 하고 전후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보를 첨삭하거나 발췌해 진실을 왜곡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잘못된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전달하면 일반 시민들은 그것을 사실로 받아 들여 결국 진실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허위 또는 왜곡된 사실을 유포하는 행위 뒤에는 여론을 통해 사람들을 조정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중략) 그리고 성실과 정직이라는 말은 약육강식의 사회 진화 과정에서 낙오된 어리석은 사람들을 일컫는 은유적 표현이 될 것이다.”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20100502_060848_4a9ddb24e99ffc4e56b2b74f3c759c35

 

 

 

이 얼마나 신랄하고 시의 적절한 지적인가? 해맑은 아이들과 자연을 벗 삼아 아무리 보지 않으려고 해도

우리 주변에 부패와 부정 편법 위계와 부조리가 너무 만연해 있다. 이제는 종교와 학교도 이런 오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20100502_060934_c81e99c68370cba6c16ec213af68fa

 

 

 

2장에서는 주로 중세의 마녀 사냥과 관련된 종교적 횡포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3장은 증오와 종교적 광신주의, 민족말살, 독재국가에서의 인권 탄압과 테러리즘과 관련 단체들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20100502_061012_641799fabecd56d4de9d87b76936e3

 

 

 

4장은 살인자의 유형에 대하여 5장은 범죄통계와 정신이상자를 비롯한 악의 배경에 대하여 6장은 살인 욕망을 포함한 악의 유혹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일반인에게는 다소 무거운 주제로 여겨진다.

 

 

20100502_061054_a4a219a26c3a5891d1d94cc1601586

 

 

 

개인적으로는 1장에서의 저자의 날카로운 지적이 매우 인상적이었으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과거 1970년대에 비하여 작금의 우리사회는 탐욕과 비리의 정도가 일부 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었으며 그 많은 원인 중의 하나가 사회 전체의 암묵적인 합의하에 향락과 게으름과 탐욕이 일반화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게 되며 우선 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된다.

감사합니다.

 

 

20100502_061157_4d834ad0fe33c4dbc3367bbc9cba4fb9

 

 

 

2010년 5월 2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