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913_013709_647a0b048cbf0c1e8099793cbd96dabc

아는 만큼 모르는 것이 생긴다.

아는 만큼 모르는 것이 생긴다.

존 헨드릭스의 ‘디스커버리,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호기심’을 읽고

 

 

 

20140913_013709_647a0b048cbf0c1e8099793cbd96dabc

 

 

 

어둠이 깊어가는 숲속에는 명멸하는 반딧불이의 궤적이 아름답고 산책 나온 사슴벌레가 참나무 가지를 기어오르고 있어서 새삼 가을을 돌아보게 된다.

 

20140913_014234_fd9a4c6857921477cf15be397e6c9b53

 

 

 

이번에 읽게 된 존 헨드릭스의 ‘디스커버리,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호기심’은 저자와의 나이가 6살 정도 차이는 나지만 비슷한 연배이고 약 30여 년 전 그러니까 1979년부터 1984년까지 외항선 기관사로 근무하면서 미국의 많은 항구들을 드나들면서 직접 보고 겪은 사건들에 대한 기술도 많아서 매우 현실감이 있었고 또한 저자의 어린 시절의 배경이 웨스트버지니아의 탄광촌인 산골이었던 것처럼, 탄광촌과 멀지 않은 산골이 고향이었던 나의 어린 시절의 추억들과 겹치는 부분도 많아서 특히 흥미롭고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았다.

 

20140913_014744_7aafbb5fae984556570f1bacfc62fe23

 

 

 

저자도 서문 13 페이지에 가능한 정직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읽어 가면서 정말로 정직하고 솔직한 삶을 사신 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는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최대한 정직하려고 노력할 것이고, 냉철하고 객관적인 눈으로 나의 성공과 실패를 모두 들여다 봄으로써 이런 종류의 책에 흔히 빠져있는 통찰과 답들을 일부나마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20140913_015055_f8f754e769bc1c5565b82b40d7ffc6dd

 

 

 

‘매력적인 TV라는 매체를 왜 지식을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없을까?’라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켜서 끈질기게 하나의 숙원사업으로 거의 20년이라는 세월에 걸쳐 몇 번의 파산의 위기에 몰리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디스커버리 채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너무도 구체적이고 솔직하게 기술하고 있어서 다양한 측면에서 배울 점과 감동적인 요소들이 많았다.

 

20140913_015138_cee2ff89069d368dddeb9febec8a94c0

 

 

 

투자를 유치하고 주식회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보면서 이전에 벤처회사를 설립해서 투자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했을 때를 회상해 보기도 하고 지금도 모 기업에 약 10년째 투자하고 있는 자신의 투자 철학에 대하여 위로와 격려를 받기도 한다.

 

20140913_105452_642bc78f4523b264f31af2f89a8b6b38

 

 

저자가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메이트원’이라는 지명을 찾을 수는 없었지만 지도에서 켄터키 주와 경계를 이루는 터그포크 강은 찾아볼 수 있었다. 저자가 여섯 살이 되던 해 앨라배마의 헌츠빌로 이사하면서 저자는 로켓과 우주여행에 대하여 열광하게 되는데, 나의 초등학교 시절 아폴로 11호 이야기를 할 때면 ‘지구 위의 사람들이 우주로 떨어지면 안되니까 아마도 지구 밖에는 천막처럼 그런 것이 있을 것이고 그 천막 어딘가에 구멍이 있어서 로켓이 지구을 떠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상상을 하였던 기억이 있다.

 

 

20140913_105515_9d0bb7d6ed6ba67b48897642dd4c7e3f

 

 

 

1958년 터스키기의 고등학교에서 흑인학생의 등록을 막았던 주지사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을 읽으면서 앨라배마의 터스키기에서 흑인들을 대상으로 매독균을 접종하고 치료도 하지 않은 채 십 수 년 동안 매독의 진행을 관찰한 미국의 연구가 떠올라 고개를 젓게 만든다.

 

20140913_105856_19dc3da5533a85f5a0f9c904dca06397

 

 

1970년 무렵 한국에도 초기의 흑백 TV는 마치 가구처럼 생겨서 브라운관 앞에 미닫이의 문이 있었다. 1973년 중학교 3학년이 끝나갈 무렵, 집에도 흑백 TV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고교 입시를 앞두고 TV 시청의 유혹을 물리치기가 참으로 어려웠었다.

지금은 TV를 시청하지 않지만 3년 전쯤에 마지막으로 본 다큐멘터리가 이 책 306페이지에 소개된 ‘생명을 건 포획(Deadliest Catch)’이었다.

 

20140913_110625_c668ca37ea08219336381760a1e14433

 

 

이 책은 한사람의 일생을 건 사업의 전말을 매우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특히 어떤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을 구상하거나 기업을 운영하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유익하고 구체적인 가르침이 풍부하다고 생각한다. 절대 겉치레의 나열이 아니라는 것을 읽어보면 실감하게 될 것이다.

 

20140913_110929_2c75589e53014cfdb83fdf7b96c26901

 

 

 

이 책이 시사하고 있는 또 하나의 교훈은 끝없는 지적 호기심과 그것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결국 개인과 인류의 발전과 삶의 풍요로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7월, 10여 일 간 남부 아프리카를 여행한 적이 있었다. 그들의 삶의 모습이 너무도 가슴 아팠지만, 나는 현지의 가이드에게 30년 전에 한국도 이러했다고 위로를 하면서 그래도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라고 이야기 했던 기억이 난다.

 

 

20140913_111021_533db1657416b98fc4f6041af20b3674

 

 

 

나는 저자가 기획하고 있는 전 세계인의 교육을 위한 GET계획이 뜻하는 바대로 커다란 결실이 있기를 빈다. 결국 모든 불행의 원인은 어리석음 때문이며 그러한 어리석음은 무지가 원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진정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회에 기여하고 자신과 인류의 발전을 추구하는 저자의 모습에 깊은 감동을 받게 된다.

감사합니다.

 

 

20140913_111408_1efa00222a82d8049b1c04c5f5f63db1

 

 

2014년 9월 12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