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의 딩기 요트(dinghy yacht) 제작기

DSC07921

 지난 여름의 딩기 요트(dinghy yacht) 제작기 추천 0    스크랩 0
http://blogs.chosun.com/dhleemd/
 

 

 

지난 여름의 딩기 요트(dinghy yacht) 제작기

 

침실을 찾아드는 새소리에 눈을 뜨면 언제나 송도 바다가 시야 가득 들어옵니다.

요사이는 시끄러운 해변보다는 뒷산의 호젓하고 잘 다듬어진 산책로를 즐겨 찾는 편이지만

이제 해수욕장이 문을 닫으면 다시 요트를 끌고 바다로 내려가 볼 생각입니다.

지난주에는 한 주 내내 한 시간 정도 버스를 타고 부산 근교의 녹산에 있는 중소조선연구원(RIMS)에 출근을 해서 하루 6시간씩 조선공으로 일을 했습니다.

월요일(8월 10일)

DSC07921[1].jpg

DSC07768[2].jpg

DSC_0001[1].jpg

DSC_0087[1].jpg

DSC_0136[1].jpg

DSC_0152.jpg

오전에는 해양레저장비개발센터에서 연구원 및 센터에 대하여 소개를 받고 optimist 전체 작업공정에 대하여 김충곤 선생님(한국목조선박)의 설명을 들었습니다. 오후에는 이미 재단된 자작나무 합판 재질의 선저판 선미판 측판 선수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고 철사로 얽어서 선저판 조립을 한 후 epoxy 수지를 사용하여 glue 작업을 하였습니다. 작업 도중에 중앙일보와 부산일보의 기자분들의 취재가 있었으며 티브로드 낙동방송에서는 직접 현장에 대한 취재와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화요일(8월 11일)

DSC_0395.jpg

DSC_0408.jpg

DSC07769.jpg

DSC07774.jpg

선저판 조립에 사용된 철사를 제거하고 선저판 내부에 부재를 사용하여 보강작업을 하였습니다. 선수와 선미판의 내측에 트랜섬(transom)을 설치하고 선측판의 좌우현에도 외측으로 보강재를 수지로 접착시킨 후 grip과 vise로 고정하였습니다.

수요일(8월 12일)

DSC_0430.jpg

DSC_0434.jpg

DSC_0439.jpg

DSC_0436.jpg

DSC07792.jpg

DSC07803.jpg

DSC07801.jpg

선저판 내부에 부력물 고정용 패드를 도면에 따라 설치하고 중앙에 center board box를 설치하기 위하여 jigsaw를 사용하여 선저의 중앙부를 절개하고 center board box를 수지로 고정하였습니다. 선측판의 좌우현에도 내측으로 보강재를 수지로 접착시킨 후 grip과 vise로 고정하였습니다.

오전에 해양월간지 ‘SEA&’의 강승철 편집장님과의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목요일(8월 13일)

DSC07871.jpg

DSC07872.jpg

DSC07880.jpg

DSC07869.jpg

DSC07885.jpg

선수와 선미의 네 모서리에 홈을 파고 보강부재를 부착하고 mast hole을 뚫었습니다.

선저에 main sheet securing pad를 설치하고 선체에 대한 sanding 작업을 하였습니다.

금요일(8월 14일)

DSC07936.jpg

DSC07951.jpg

DSC08006.jpg

DSC08041.jpg

DSC08044.jpg

선체에 대한 페인트 도장과 mast와 boom 등의 sailing rigs를 제작하고 rudder와 daggerboard를 가공하였습니다.

오후에 수료식을 하고 기념 촬영을 하였습니다.

토요일(8월 15일)

DSC08045.jpg

DSC08051.jpg

DSC08067.jpg

DSC08096.jpg

DSC08110.jpg

DSC08144.jpg

DSC08156.jpg

서낙동강 요트 경기장에서 제작한 딩기요트 진수식을 거행하고 직접 조선을 해서 운항성능을 검사해 보았습니다. 아울러 카누와 카약 경기도 개최되었습니다.

요트 제작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중소조선연구원 및 센터에 계신 모든 분들과 한국목조선박의 김충곤, 김득원 두분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제7기 딩기요트 자가제작교실 개최 세부내용

(올 여름방학에는 혼자서 배를 만들어 바다에 띄워볼까?)
– 조선 산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전환과 해양레저 홍보를 위해 소형목제보트 자가제작교실을 개최

고유가시대에 여름휴가 계획을 앞두고 이런저런 휴가비용에 엄두도 못 내고 막상 휴가를 떠났지만 교통체증과 바가지 요금에 짜증만 날 수도 있는데…
여름방학기간 1주일이면 가족과 함께 배를 만들 수 있는 자가제작교실이 있다. 그 곳은 부산 녹산공단에 위치한 중소조선연구원 해양레저장비개발센터이다.중소조선연구원(원장 이화석)은 매년 여름과 겨울방학기간을 이용하여 해양레저·조선 산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전환과 해양레저 홍보를 위해 소형목제보트 자가제작교실을 개최하였다. 자가제작교실은 카누 및 딩기요트 자가제작교실을 통틀어 벌써 7번째이다.그동안 수강생들로부터 지적되어 왔던 보트완성에 대한 바램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오는 8월 10일 ~ 14일 동안 하루 7시간/5일 과정으로 교육기간 동안 내손으로 직접 딩기보트를 만들어 가덕도 앞바다에서 진수식도 한다. 직접 배를 만들고 싶은 분은 8월 7일까지 선착순 30명 모집한다.

  • 제7기 딩기요트 자가제작교실 개최 세부내용
    ○ 대 회 명 : 제7기 딩기요트 자가제작교실
    ○ 주 최 : 중소조선연구원 해양레저장비개발센터
    ○ 일 자 : 2009. 8. 10(월) ~ 8. 11(금), 5일간
    ○ 장 소 : 중소조선연구원 생산지원동
    ○ 교육대상 : 딩기보트 제작에 관심있는 일반인(선착순)
    ○ 참 가 비 : 80,000원(교재 및 점심식대 포함)
    ○ 신청기간 : 2009년 7월 27일 ~ 8월 7일
    ○ 참석문의: 이병성 선임연구원 Tel: 051-974-5587 bslee@rims.re.kr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rims.re.kr)를 참고바랍니다.■ 문의처: 중소조선연구원: 현종훈 팀장 ☎ : 051)974-5503 /010-5427-0756

참견은 간결하게.

참견은 간결하게.

-캐스 선스타인의 ‘심플러’를 읽고

 

 

20140123_115207_47f533534beaa02cef37aba0709bfd49

 

 

어떤 사고와 아이디어가 구체화되어서 기술되고 이것이 인쇄되고 제본이 되어서 출판된 책들은 모두가 나름의 존재 가치와 효용을 가지게 된다. 이 책의 초반부는 매우 너저분하고 자질구레하며 다소 딱딱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그 지루한 길의 모퉁이를 돌아서면 part 3의 시스템 1과 2의 이야기부터 웃으면서 무릎을 치게 된다.

 

 

20140123_115250_2e5c7a8e0fb5ef3d2e97721379ad0022

 

 

 

이 책은 미국의 오바마 정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규제와 행정절차의 간소화에 대한 것이 주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정책 입안을 하게 된 이론적 근거로서 저자는 행동경제학과 행동과학을 제시하고 있다.

 

 

20140123_115347_229f0c11c5fab69f3901e7612a939fa7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해서 선택하는 기재인 시스템 1에 대하여 옆구리를 찌르듯이(넛지) 주의를 환기시킴으로 해서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에서 실제로 가장 합리적이고 모두에게 유익한 공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고안하고 불필요한 잡다한 결정들에 주의를 빼앗겨서 실제로 중요한 선택을 국민들이 포기하지 않도록 개선해서 행정업무를 최적화하고 업무능률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40123_115441_d788696b0679b7efc7365fee5c3e2bae

 

 

 

옛날 수염이 아름다운 할아버지가 사셨는데 너무나 그 수염이 유명해져서 그 나라의 왕도 그 소문을 듣고 그 할아버지를 만나보게 되었다. 헤어질 때가 되어서 왕이 “영감님 한 가지 물어 봐도 되겠습니까? 영감님께서 주무실 때 그 수염을 이불 안에 두고 주무십니까? 아니면 이불 밖에 두고 주무십니까?” 그날 저녁 영감님은 수염을 어떻게 하고 잤을까?를 생각하다가 밤새도록 잠을 설치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바로 잘 작동하던 시스템 1이 작동을 하지 못하고 논리적이고 계산적인 전전두엽의 시스템 2가 작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학부시절 정답을 선택해 놓고 다시 어설픈 논리를 내세워 고쳐서 틀렸을 때의 씁쓸함이 떠오른다.

 

 

20140123_115523_5d7c51661ada859fd3909a4a8a25006e

 

 

 

이처럼 우리들도 불필요한 정보로 인하여 너무 많은 선택을 해야 할 경우에 평상시 잘 작동하던 시스템 1이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엉뚱한 선택을 해서 낭패를 겪을 수 있으므로 가능한 규제와 정책을 간소화 하여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20140123_115619_04176700b0bdcdba8e5fa09d89609fb7

 

 

 

이 책 part 4에서 ‘정보공개: 햇빛은 가장 좋은 살균제이다’라는 소제목에 나오는 내용으로서 “정보 공개는 비용이 적게 들고 영향력이 큰 규제 수단으로, 다른 접근 방식들을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것이다.” 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와 관련된 경험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20140123_115816_86e64843df036099edcada36a0f2469e

 

 

 

1993년 의과대학을 졸업할 즈음에 모교의 제의를 받아들여 약리학교실의 조교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5년 의학석사 학위를 취득한 논문(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92-KDa type IV collagenase (gelatinase B).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28(4), pp.161-165.)을 1996년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기고하여 출판이 되었다.

 

 

20140123_115854_b5a7f8f24069811c2cf85aa30382f4cb

 

 

 

이 논문은 1998년 12월 15일 미국의 국립생물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서 92 KD TYPE IV COLLAGENASE RECURSOR (Accession number: P14780)의 참고문헌(National Center of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www.ncbi.nlm.nih.gov) Protein QUERY in Dec. 15th, 1998.) 6번으로 등재되었으나 주저자인 본인은 전혀 그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그 이후에 우연히 Pub Med(http://www.ncbi.nlm.nih.gov)에서 논문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내 논문이 reference로 등재된 사실을 알게 되었다.

 

 

20140123_115930_3572da7a2f0eb2803ba9c7e16eb71203

 

 

 

관례상 교신 저자를 하셨던 분이 고의로 그 사실을 숨겼다는 것을 그리고 제일 저자도 자신으로 바꾸어 놓은 것을 알게 되었다. 인터넷이 일반화되기 시작하던 초창기의 일화이다. 만일 이러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다면 나는 지금도 그 사실을 알지 못했을 지도 모르며 더 많은 학문적 교류와 상호작용의 경로가 차단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20140123_120001_5318446ba0a11817af0460c33446e9ff

 

 

 

더 중요한 사실은 만일 이러한 공시제도가 좀 더 일찍 일반화 되어 있었다면 이러한 연구 윤리를 위반하는 사례가 훨씬 더 줄었을 것이라고 짐작해 볼 수 있다.

 

 

20140123_120042_961938d5e3424104d80d367e96424300

 

 

책을 읽으면서 줄곧 떠오르는 한 구절이 있다.

Brevity is the soul of the beauty.(간결함은 아름다움 그 자체이다.)

나는 이 책을 읽는 동안 학습계획의 구상과 설계, 그리고 강의법에 운용될 수 있는 많은 조언과 아이디어들을 얻을 수 있었다.

더 간편한 행정서비스 그리고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가꾸기 위하여 수고하시는 한국의 많은 행정 관료들과 조직을 이끄시고 계시는 분들이 한 달에 한번 정도라도 각 장의 주제들에 대하여 심도 있는 숙고를 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감사합니다.

 

 

20140123_120116_11a6a11e07daff2c8715978d73748eb8

 

 

2014년 1월 14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

정서와 느낌의 공유로 채색된 여행기

정서와 느낌의 공유로 채색된 여행기

-온다 리쿠의 ‘메갈로마니아’를 읽고

 

20131020_161204_e216047f41218632a9bce9ff4ef58e21

 

 

멕시코와 카리브 해는 마지막으로 항해한 지 30여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언제나 따뜻하게 느껴지는 곳이다. 그곳을 거닐어 보면 오랜 세월 전에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들의 시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져 오는 인연의 끈들을 느끼게 된다.

 

20131020_161324_dc3182a155dbe2306b4e9303d8e5a708

 

 

기억을 더듬어 1978년 9월에 발급된 선원수첩에서 확인한, 멕시코로 가기 위해서 미국 Los Angeles의 공항에서 입국 심사를 받은 날이 1982년 12월 9일이었다. 얼마 후 다시 Houston행 국내선 여객기에 탑승해서 자리에 앉으려다가 조금 떨어진 건너편에 십자로 끈이 묶여진 전형적인 인디언 샌들을 신고 있던 Indian 여인을 보았다. 나는 한마디의 말도 건네지 않았지만 잠시 동안 서로 미소 지으며 깊은 교감과 따뜻한 마음을 나눌 수 있었다.

 

20131020_161410_167f3d556cb750be43b83b9c8ae0f535

 

 

Mexico의 만사니요(Manzanillo)나 마사틀란(Mazatlan) 또는 아카풀코(Acapulco)에서 거리를 거닐다가 인디언 아이들이 자기들이 손수 만든 다소 주술적인 모양의 토속적인 인형을 사라고 갑자기 뛰어들면 깜짝깜짝 놀라면서도 언제나 그들의 웃는 모습이 친근했고 또 한편으로는 측은했다. 그것은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려웠지만 상당히 두터운 인연이나 혈연의 끈이 서로 묶여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20131020_161449_ee56e00bcbcf0208eb4316f96595f5ec

 

 

이번에 온다 리쿠의 ‘메갈로마니아’를 읽으면서 또다시 그때의 감흥과 연민의 소용돌이가 폭포수처럼 휘몰아치고 있다.

 

20131020_161558_467ee1174284ff0c2b569e8efba21445

 

 

Houston을 이륙한 PanAm 기가 Mexico City에 도착한 것은 1982년 12월 9일 거의 자정이 가까워질 무렵이었다. Maritime Overseas Corporation에서 보낸 Agent를 만나 호텔에 짐을 풀고 잠시 심야의 시내를 거닐었고 호텔 인근의 주류회사에서 새벽에 상품을 싣고 나가던 트럭의 행렬을 보았던 기억이 있다.

 

20131020_161636_a3f29e7a9371bcee79e926436db19372

 

 

아침에 다시 공항에서 오하카(Oaxaca)행 국내선으로 갈아타고 약 3시간 정도 비행을 한 후 오하카에서 다시 Central American Highway를 달리기 시작해서 점심쯤에 네하파(Nejapa)인근의 몇 집 되지 않는 시골마을에서 식사를 하게 되었다. Agent는 우리 일행을 위해서 최선을 다했지만 소스가 너무 짜고 매워서 결국 아무것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파인애플 쥬스로 식사를 대신하였다. 그러나 그곳에도 황소가 있었고 한국의 시골 모습과 너무도 흡사했다. 꼬박 이틀이 넘는 비행과 드라이브 끝에 살리나 크루즈(Salina Cruz)항에 도착해서 10개월 간 기관사로 근무하게 될 M/V Pluto호에 승선하게 되었다. 멕시코와 처음으로 인연을 맺게 된 연유이다.

 

20131020_161709_528652c9fcf9cfc6a7aa81432d657140

 

 

이글은 <NHK 스페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마야와 잉카를 중심으로 한 중남미 문명시리즈를 방송하면서 발행될 책에 실을 여행기를 기획하면서 저자가 동행하게 된 멕시코, 과테말라, 페루의 유적들을 약 2주간에 걸쳐 답사한 자료를 근거로 기술되어 있다.

 

20131020_161741_32249faa14127480e670c88813375309

 

 

저자도 밝히고 있듯이 이 여행기는 단기간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접하고 관련된 고고학적인 지식의 일천함으로 인해 사실적이기보다는 다소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가 가미된 환타지에 가까운 구성을 주도하고 있다.

 

20131020_161824_4c4cf26f3d91e566dea1b559cc8e0f5f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때 10 개월간의 멕시코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리고 그 이듬해인 1984년 약 10 개월간의 카리브 제도와 연안의 베네주엘라, 콜롬비아, 파나마를 다니면서 겪은 중앙아메리카에 대한 인상은 한마디로 요약해서 기술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느낄 정도로 매우 복합적이고 심오한 그 무엇인가가 문화의 저류에 흐르고 있으며 그것은 어쩌면 이집트나 터어키 등의 역사보다도 더 복잡하고 신비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것처럼 다가왔던 것에 비추어 볼 때 작가의 고뇌와 탄식에 깊은 공감을 느끼게 된다.

 

20131020_162036_6dad569919cac42e17e0b1c215a846d6

 

 

작가가 답사한 메소아메리카는 기원전 1200년부터 기원전 400년에 걸쳐 멕시코만 저지대에서 번성했던 올메카 문명을 필두로 한 멕시코 중앙부의 아스테카 문명, 유카탄 반도를 포함한 멕시코 남부에서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일부에 이르는 마야 문명이 발달하였었다.

 

20131020_162150_090c57928bbd50891372174bdb5301d0

 

 

그리고 고대 안데스 문명은 오늘날 페루를 중심으로 기원전 1천 년경부터 16세기까지 존속했던 여러 문화를 통틀어서 일컫는 것으로서 페루의 쿠스코를 중심으로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광대한 영역에 걸쳐 건설되었던 잉카제국과 겹쳐지는 문명이다.

 

20131020_162232_cd72201c14ae518759ecd272f22480a6

 

 

저자는 ‘메소아메리카의 올메카 문명의 주제가 중미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중동처럼 실로 전 세계적인 문화권을 연상시키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사실상 아스테카의 ‘태양의 피라미드’와 ‘달의 피라미드’로 유명한 테오티우아칸(Teotihuacan)유적은 이집트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피라미드 형태의 거석문화이기도 하다.

 

20131020_162318_874a4717395d771b402207ab381a943c

 

 

저자는 멕시코하면 마리아치와 타코스와 사막과 선인장의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들의 낙천적이고 소박한 웃음의 뒤에 숨어있는, 서구인들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고 유린된 과거 선조로부터 내려오고 있는 우수와 비애의 감정들이 가슴을 파고든다.

 

20131020_162531_59266f882d09bb8e578b06c8f1d5b0cd

 

 

저자가 유카탄 반도의 스푸힐(Xpujil) 유적을 둘러보다가 동네 소년이 탑 사이에 기어 올라가 있는 것을 보고 ‘이 동네 사람들에게 유적이란 집 근처에 있는 정글짐 같은 장소일 것이다.’라고 표현한 구절이 있는데 그것은 마치 관광객들은 머나먼 산토리니를 찾아가서 지중해의 석양을 보며 탄성을 지르는데 현지인들은 외로운 낙도에서 반복되는 단조로운 일상을 무료해하는 모습과 너무도 흡사해 보인다.

 

20131020_162630_d7f4667340a0d9a96514e8bd85d668ca

 

 

오늘날에는 2만 내지 1만 5 천년 전에 베링해협을 건너온 인류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조상이라는 견해가 유력하다고 한다. 마야의 건축은 세대를 거치면서 그 위에 계속 짓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예루살렘의 건축에 있어서도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는 것 같다. BBC 타큐멘터리에 의하면 아마도 마야 문명은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7천 년 만의 유래 없는 대가뭄으로 쇠퇴하게 되었다고 한다.

 

20131020_162811_69b15d5633d0f77dd6bb6775ae1508b9

 

 

잉카의 마추픽추는 ‘늙은 봉우리’라는 의미로 주변 봉우리의 이름 중 하나가 그대로 도시 이름으로 불려지게 되었으며 1911년 미국의 역사학자 하이럼 빙엄(Hiram Bingham)에 의하여 발견되었다고 한다.

 

20131020_162919_9a00480e9b42997acc4ce767de308eff

 

 

여행은 시간을 두고 계획해서 충분히 사전 지식을 쌓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둘러보아야 한다는 지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비록 2주간의 강행군에 가까운 여행의 기록이지만, 이글을 읽으면서 지나간 젊은 시절들을 되돌아 볼 수 있었고 언제나 가슴 한 구석에 남아 있던 멕시코와 카리브에 대한 많은 추억들과 객수에 대하여 깊은 교감을 가질 수 있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감사합니다.

 

20131020_163005_ea55a29cfcaab0e4e3ce4433848039f4

 

 

2013년 10월 20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원제: The Tao of Physics)’을 읽고 중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원제: The Tao of Physics)’을 읽고 중| 2013/02/19 05:35
 

 

나는 3년 전부터 이 글을 대해 오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된다.

그것은 밤하늘의 별을 보며 우주의 바닷가에 섰을 때와 같이 성성하게 밀려오는 지적 자극과 생각의 꼬리들, 끝없는 사고의 모험과 낭만과 환희를 가져다주었다.

 

20121220_144835_e255f3c64635001abcdc1b14b44dd021

 

 

10년 전 처음으로 미국에 발을 디뎠을 때, 물질문명의 웅대함과 현란함을 대하면서, 나는 신호등만 외로이 반짝이는 공허한 밤거리를 거닐면서 ‘5천년 동안 과연 동양은 무엇을 했단 말인가?’ 하는 문제로 괴로워했다.

 

20121220_144851_6c0a2eaa5f0db0c9fd0232bb7a763d5f

 

 

그리하여 나는 동양사상 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불교의 선종, 그리고 노장사상에 대하여 나름대로 공부를 하게 되었고 또한 물리학을 좋아해서 공부를 하면서 지난 세월 동안 간절히 추구해 오던 그 무엇이 현실로 다가오는 것을 느꼈으며 그 동안 틈틈이 쌓아 왔던 지식의 파편들이 동서양의 시공을 넘나들며 아름다운 조화와 통일을 형성해감을 깨달을 수 있었다.

 

20130101_144851_65f95f82e257feb06ff57f70115bec1f

 

 

단지 유감스러운 것은 서양의 양식 있는 지성들은 동양의 지혜를 배우려고 노력하는 반면 우리 주변의 젊은이들은 아직까지 어쩌면 황혼녘의 아름다움처럼 덧없는 서구 대중 소비문화의 매스컴과 광고의 홍수 속에 불어만 가는 물욕과 갈등으로 자신의 내면은 돌아보지 못한 채 그들의 외양만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모양새를 보면 안타까운 마음으로 착잡하다.

 

20130101_144911_65610113dccc65b90cf575371c3d2053

 

 

-제6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교지 해오라비(1989. 2. 19. 발행)에 발표한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원제: The Tao of Physics)’을 읽고 중.

 

20130101_144928_1dea107de59db35d262c600c0f8e78f6

 

 

 

Where you are sitting on?

Shelly Kagan 교수님의 ‘죽음이란 무엇인가? (DEATH )’를 읽고

 

“니, 앉은자리가 어디고?”

 

20130216_104307_72d1b51baee0e46d6c77b63817240c46

 

 

 

Shelly Kagan 교수님의 ‘죽음이란 무엇인가? (DEATH )’

 

번역본을 203 페이지까지 나름대로 정성들여서 읽고 던져두었다가

 

갑자기 화장실에서 생각나서

 

Shelly Kagan 교수님께 묻습니다.

 

 

 

 

“이 도둑놈아, 니, 앉은자리가 어디고?”

 

“Where you are sitting on?”

 

 

20130216_104429_7f5e161320e1caaf42c070fb7b31faeb

 

 

 

 

7월의 마지막 날 바닷가에 누웠으니

 

벌거벗은 그놈은 원래부터 허깨비라,

 

다시 한번 노선사께서 앉은자리 묻는다면

 

내 기꺼이 당신의 혀뿌리를 뽑으리라.

 

 

20130216_104544_1416f1ff4a83bac3fe75a2704769912b

 

 

 

七月末臥濱

裸者本來幻

若更問我座

吾請拔師舌

 

 

智峯 合掌

 

 

20130216_104645_7ba2e880587f86055fdeed966c7165e6

 

 

Seeking a Mind

 

This poem is dedicated to the Zen master Woon-Gyung (1910-1997).

 

 

 

At the last day of July

 

Lying down on the seashore.

 

From the beginning

 

The naked one was a phantom.

 

Once more

 

The old Zen master asked me

 

“Where you are sitting on?”

 

I was willing to uproot the tongue of the master.

 

 

–With a respect to Zen master,

 

Woon-Gyung (An old man who is ploughing in the cloudland).

 

 

 

 

Dae-Heui Lee, M.D., Ph.D.

 

Copyright ⓒ2004 Dae-Heui Lee, M.D., Ph.D.

 

 

——————————————————————————–

 

One early evening in the winter of 1996, I visited a small Buddhist hermitage with my old friend. After supper, an old Zen master asked me abruptly, “Where are you sitting?” I did not know how to reply and I was sweating frozen. One year later, when I visited the hermitage again, the Zen master had already entered Nirvana. Last summer, I was lying on the seashore. When I was falling asleep, I suddenly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question. I could not find myself anywhere, there is only the sense of self and interrelationship of cause and occasion.

 

 

20130216_104832_0ef305abb2b26a2397e9fa9fa312d097

 

 

I’d like to ask to Prof. Shelly Kagan about DEATH.

 

 

“Where you are sitting on?”

 

 

 

 

Dae-Heui Lee, M.D., Ph.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4 Amnam-Dong, Seo-Gu, Busan

602-703, Republic of Korea

 

 

 

URL: http://www.DCmedicine.net

E-mail: dhlee@ns.kosinmed.or.kr

 

20130216_171727_796dcc0316358be4d021adbe7447c467

다른 워드프레스 조선닷컴 위블로그(blogs.chosun.com)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