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글 보관함: 매슈리지웨이대장

책임, 조국, 명예.

책임, 조국, 명예.

-‘끝나지 않은 전쟁 6.25’를 읽고

 

 

20100727_182228_63cb80253f9be6e3bd9aa1bf97d390b7

 

 

 

1982년 봄쯤으로 기억된다. 주택가의 꽃들이 아름다운 Virginia주의 Norfolk에 기항했을 때 The Mcarthur Memorial을 둘러 볼 기회가 있었다. 2층에 한국에서 보내온 인천 자유공원의 맥아더 동상의 축소 모형이 전시되어 있었다. 20대 초반의 제복을 입고 혈기 왕성한 때라 George Patton 장군이나 Douglas Mcarthur 원수를 본받고 싶어 했었다. 특히 1951년 4월 19일 워싱턴 의회에서의 마지막 연설 장면은 인상적이었고 오랫동안 뇌리에서 지워지지 않았으며 삶이 어렵고 힘들 때 마다 혼자 되뇌이곤 했었다.

 

 

20100727_183501_368c74bbf03ae510ec7e81d0c4a6a1c6

 

 

 

“I still remember the refrain of one of the most popular barrack ballad of that day, which proclaimed most proudly that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And like the old soldier of that ballad I now close my military career and just fade away. An old soldier who try to do his duty as god gave him the light to see that duty. Good bye.”

 

 

20100727_183536_cc15128ec3e15c5c18e7e090b0d975a7

 

 

 

우리들은 시골에서 자랄 때 전쟁만화를 많이 보았고 아이들끼리 패를 짜서 전쟁놀이도 참 많이 했었다. 아마도 6.25 전쟁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영향도 있었으리라. 그러나 6.25에 대한 단편적인 사실들은 학교에서 배운 적이 있지만 전체적인 사실을 개괄하고 있지는 못하고 오히려 외국의 기록 영화나 전기물을 보고 대체적인 사실을 파악하고 있었다.

 

 

20100727_183859_4b904490974a765b71222e705825c353

 

 

 

다행스럽게도 이번에 남도현 선생님의 ‘끝나지 않은 전쟁 6.25’를 읽으면서 전체의 전쟁의 흐름이나 각각의 전투에 대하여 비교적 소상히 알 수 있어서 아주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

 

 

20100727_184007_3a7f4c1d7d7f0fac52ee199d1969241

 

 

 

그런데 1978년 미국의 전기작가 William Manchester의 ‘American Caeser’의 내용을 요약한 1984년 6월호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한국전쟁과 맥아더 원수’에서 밝히고 있는 내용에 의하면 1950년 1월 딘 애치슨 국무장관이 워싱턴의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행한 즉흥연설에서, 태평양에서의 미국의 방위선은 “알류산 열도에서 일본을 거쳐 류쿠열도로 이어진다.”고 밝힘으로서 공산측의 남한 침공을 유발한 점이 있고 1950년 3월 10일 미국 CIA는 “북한 인민군이 1950년 6월에 남한을 공격할 것”이라고 예측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못내 아쉬운 점이 있다.

 

 

20100727_184118_e4d67a28b0a39646aba4a3de1ce2f1d

 

 

 

한국전이 발발한 지 4일째인 수요일 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경에서 수원으로 날아와 서울에서 1.6 km 떨어진 산등성이에서 맥아더 원수가 한강의 “철교를 없애버려”라고 한 것이 한강의 철교와 인도교를 일찍 폭파한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20100727_184153_f53e9124182ebde24b3b5f18e16ae1ed

 

 

 

인천 상륙 작전에서 미해병 1사단 5연대가 상륙한 적색해안은 실기사 때 미국 서부해안의 Portland, Oregon이나 Vancouver, Washington에서 밀을 싣고 와서 하역하던 곳인데 간만의 차가 심해서 Dock로 드나들었던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대단한 구상이라고 생각된다.

 

 

20100727_184255_cbfd37e7dc9c323488c2bc49ac097

 

 

 

대구에서 고향을 가는 시외버스를 타면 항상 다부동을 지나게 된다. 도로 옆에 다부동 전적비가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기 위하여 여름에 미처 수습하지 못한 전사자의 시체가 부패해서 여기저기에서 터질 정도로 처절하게 싸웠다는 내용에 숙연해 질 수밖에 없었다.

 

 

20100727_184409_ef94d6c0414601e8bb0665d165a2ed1

 

 

 

‘한국전쟁과 맥아더 원수’에서 밝히고 있는 바에 의하면 “맥아더는 곧 겨울이 닥쳐와 압록강이 얼어붙으면 중공군의 도강이 쉬워질 것을 우려해서 공격의 속도와 강도를 높이기로 결정”하였으나 미 8군과 10군단 사이로 잠입한 30만 중공군을 맞아 “현재로서는 새로운 적을 저지시키는 것은 ‘거의 실행불능’한 일이라고 보고함에 따라 미국은 유엔군을 한국에서 완전히 철수시키는 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하게 된다.”

 

 

20100727_184447_165ff38ff0ccfa6764366a88530b5e1

 

 

 

1950년 12월 23일 8군 사령관인 워커 장군이 지프차 사고로 사망한 후 후임으로 육군참모차장인 매슈 리지웨이 대장이 한국으로 와 8군 사령관에 취임하고 ‘Hand in Hand, Shoulder to Shoulder’라는 슬로건을 외치며 전선을 촘촘히 연결한 상태로 서서히 적을 밀어 붙여 맥아더가 그토록 암담하게 예언했던 파국을 막는데 성공하게 된다.

 

 

20100727_184815_4b772052ab9cc8b2b48ac998b97976

 

 

 

한 가지 의문점은 ‘끝나지 않은 전쟁 6.25’에서는 당시 공산군 총사령관 겸 조중연합사령관이 ‘팽덕회’라고 밝히고 있으나 ‘한국전쟁과 맥아더 원수’에서는 ‘임표’ 휘하의 48만 4000명의 중공군 및 인민군이라고 밝히고 있어서 다소 혼란스럽다.

 

 

20100727_184849_ab5d4f805abd4182872498a5af546f81

 

 

 

또한 본서을 읽으면서 화천호를 왜 ‘파로호(破虜湖)’라고 명명하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한국의 평화를 위하여 싸워주신 미국과 16개 참전국의 모든 분들, 전진부대 청성부대 그리고 서해 5도를 점령한 해병대를 비롯한 모든 선배 용사들에게 깊은 감사와 존경을 드립니다.

 

 

20100727_184929_b77265b8ef8313272d3c93c1483b

 

 

 

‘한국전쟁과 맥아더 원수’에서 “1945년 소련군 보병부대는 스탈린이 일본에 대해 선전포고를 한 것과 때를 같이하여 한반도 북단에 진주하기 시작했고 미국은 전함 미주리함상에서 일본의 항복문서 조인식이 끝난 후에야 한반도에 상륙했다. 미군이 한반도에 상륙 직후 수명의 준장들이 국방성 내의 한 사무실에 황급히 모여 “한반도를 분할해야 하는데 어디에서 자르면 좋을까?”하고 의논을 하는 자리에서, 극동지역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대령 한 사람이 한국은 사회적 경제적 단일체로서 분할할 수 없는 곳이라고 이의를 제기했으나 장군들은 그래도 꼭 분할을 해야만 하고 그것도 그날 오후 4시까지 분할선을 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중국에서 근무하다 국방성으로 돌아온 ‘딘 러스크’라는 젊은 장교가 행정상 북위 38도 선을 따라 분할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고 했다.

 

 

20100727_185051_79fa262939b9a2c708db81515619f6

 

 

 

군대가 없고 국력이 약하면 이렇게 된다. 다시는 이처럼 참혹한 재난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도 우리들은 결코 6.25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오늘이 바로 휴전협정을 조인한 날이었다.

감사합니다.

 

 

20100727_185125_1d77a8bab65ac366b2ef509d432a3526

 

 

2010년 7월 27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