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적인 피드백을 주고받기
‘하버드 피드백의 기술’ 을 읽고
주말 아침 식탁에서 어제 늦게 들어온 딸아이의 행동을 나무라는 소리를 듣고 변명하는 딸아이에 대해서 언성을 높이는 아내를 대할 때, 자칫 한마디 거들다가 주말이 서로 불편해 질 수 있다. 또는 운수행각 중에 만난 학인의 질문에 답하는 선사의 한마디는 평생을 괴롭히는 화두가 되기도 한다. 이 모두가 피드백의 한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들은 자신의 의견을 말로 표현하는데 서툴고 또한 남성은 여성에 비해 더 어눌한 경향이 있다.
이번에 읽게 된 Douglas Stone과 Sheila Heen의 ‘하버드 피드백의 기술’은 이러한 자기 표현과 피드백을 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운 점을 솔직하게 파헤치고 피드백의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는 통찰력을 기르고 자신이 성장하는 발판으로 삼는데 도움이 되는 틀과 도구들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특히 끌어당기는 피드백을 강조하는데 성장과 개선을 진심으로 원한다면 모든 사람들인 내놓은 피드백에서 스스로 교훈을 찾아내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피드백을 받을 때는 먼저 인정, 조언, 평가를 구분하고 평가의 결과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그치는 고정형정체성을 피하고 더 나은 개선의 여지를 찾아 노력하는 성장형정체성을 기르라고 조언하고 있다.
우리들은 자신이 발표를 하는 모습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고 자신의 얼굴에 나타난 표정을 볼 수 없듯이 자신의 사각지대가 타인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를 파악하라고 한다. 이러한 사각지대를 증폭시키는 요소들로서는 감정계산, 영향과 의도간의 격차 등이 있을 수 있다.
우리의 본 모습을 이해하고 사각지대를 파악하려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데, 문제가 되는 순간에 자신의 모습을 정확하게 직시할 수 있도록 솔직한 거울이 되어 달라고 부탁하고 나의 어떤 면이 자신에게 방해가 되는지를 질문하라고 한다.
자신에게 주어진 피드백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세 걸음을 뒤로 물러설 필요가 있는데, 한 걸음을 물러서서 서로가 교차하는 지점을 살펴보고, 두 걸음을 물러서서 역할 충돌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하며, 세 걸음을 물러서서 전체의 큰 그림을 그려 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또한 피드백에 있어서의 ‘받아들임과 선 굿기’라는 장에서는 피드백을 거절하는 요령으로서 분명한 선을 긋고 우아하고 솔직하게 거절할 줄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끝으로 피드백의 결과 지신의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의, 또는 거부반응에 대하여 세 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첫째, ‘진실자극’으로서 피드백이 잘못되거나 부당하며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경우이다. 둘째, 관계자극이 생길 수 있는데 피드백에 대한 인식은 피드백을 주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가 정체성 자극인데, 정체성이란 우리 자신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해 우리가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로서 누군가 비난의 성격이 짙은 피드백을 내놓으면 자신의 정체성에 관하여 상처를 입게 된다.
피드백을 주고받는 관계, 관점, 장소, 상황 등은 너무도 다양하고 복잡해서 한두 가지의 원칙으로 모든 조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과 상황 그리고 주제와 문제점들에 대하여 매우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한꺼번에 모든 것을 흡수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침대 옆이나 서가에 꽂아두고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찾아 읽으면서 시간을 두고 체득해 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감사합니다.
2014년 10월 27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