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228_043145_e27f129a951e86f0f0a08fc04e3982fb

**서평**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2’을 읽고

***서평***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2’을 읽고

 

20130228_043145_e27f129a951e86f0f0a08fc04e3982fb

 

우선 저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를 드리면 저는 1960년 경북 문경(점촌)에 태어나 고교는 대구에서 그리고 목포에

서 해양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80년부터 84년까지 외항선 기관사로 근무한 후 1985년은 1년간 시골집에서 공부를 하

고 1986년 1년은 서울 대성학원에 다닌 후 1987년 부산 고신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해서 1993년 졸업 후 의사가 되

고 동대학원에서 의학석사(약리학 전공) 의학박사(면역약리학 전공)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모교의 약리학교실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20130228_043229_ce99b2640c5c5b22250c69b1ceb289d1

 

“소년기에는 학문(art)을 배워야 하고 청년기에는 욕망(kama)을 다루는 법을 익혀야 하며 중년을 지나면 비로소 법

(darhma)을 체득하여야한다.” Brahman을 가르치는 교재의 한 구절이라고 합니다.

어제 약 10시간에 걸쳐서 이 책을 읽고 여느 때처럼 저녁 산책을 하면서 리뷰를 구상하다가 떠올린 구절입니다. 우

리들의 삶을 풍요하고 유익하게 이끌어 주시고 계시는 많게는 저보다 약 25년 선배님들부터 적게는 약 25년 젊은,

서른 분들께서 펼쳐 보이신 진솔한 삶의 모습에 깊은 감동과 고마움을 느낍니다. 또한 TV 등의 대중매체에서 보는

현실과는 달리 오늘날 우리의 사회가 훨씬 역동적이고 희망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20130228_043322_a6e332e324993a460d7edab3d56fef8f

 

저 또한 시골 출신이라 60년대 후반 그리고 70년대 초반에는 여러 분들께서 지적하신 바와 같이 교과서 외에는 책

이 참 귀했습니다. 얼마 되지 않는 용돈으로 만화책을 어쩌다 사면 어머니께서는 모두 엿장수에게 주셨습니다. 대구

로 고교에 진학한 후에는 주말이면 그 당시 대구 시청 앞과 남문시장에 100여 곳은 족히 되었던 헌책방을 참 많이

도 뒤지고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 읽었던 책이 ‘논어’ ‘어사박문수’ ‘미운 오리 새끼’ ‘젊은 그

들’ ‘돈키호테’였습니다. 그야말로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키우던 때였습니다.

 

20130228_043549_8cf1984a9098ad38ca2ea663b4a995df

 

또한 한편으로는 어떻게 해서든지 가난을 해결하고 바깥세상을 둘러보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외항선 기관사가

되었습니다. 승선 근무를 하던 중에 Raymond A. Moody 박사의 ’Life after life’를 읽게 되었는데 가장 기억에 남

는 것은 ‘사후에도 삶은 계속되며 다음의 생까지 타인에게 행한 선(善)과 익히고 깨달은 지식은 지니고 간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결국 가난을 해결하기 위한 부의 축적도 중요하지만 ‘영혼의 진화’가 더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리

고 다시 의과대학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20130228_043625_bc95d643287943671119401677e9c24d

 

의학과 3학년 때 동료의 서가에서 알게 된 책이 Viktor E. Frankl 박사의 ’죽음의 수용소에서(Men’s search for mea

ning)’였습니다. 의학과 1학년 때 선친께서 별세하시고 막내 동생은 한의대에 다니고 있었는데 저도 학생이었지만

막내의 생활비와 등록금을 해결해 주어야 할 정도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 당시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내용

이 너무 가슴에 와 닿고 위로가 되어서 책의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구절들을 일일이 카드에 필사를 해서 식사를 하면

서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 “그 무엇도 이전의 가족들과 가졌던 추억과 기억을 손상시킬 수는 없다.”는 구절

은 많은 위안이 되었습니다. 의과대학 졸업을 앞두고 학생들의 사은회에 가서 몇 마디 축사를 하는 경우에는

꼭 “앞으로의 수련생활이 어렵겠지만 자신의 명예와 품위를 지키라.”고 당부를 하곤 합니다.

 

20130228_043659_e6aece6761b31b33a8b9ab47c9a276df

 

많은 분들께서 지적하셨듯이 단 한권의 책이 인생의 전체를 변화시킨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조그

마한 변화가 축적되어서 삶은 더욱 충실하고 풍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통해서 저자들의 영혼으로부터 우리들

에게 쏟아지는 가장 큰 축복은 바로 현실에 굴하지 않고 이상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용기와 힘을 받게 되는 것이라

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글을 써 주신 많은 분들께서 가르쳐 주신 바와 같이, 제가 6년 전 한국해양대학교에

서 동남아시아를 순방하는 원양항해 실습선 ‘M/V 한나라’ 호에 선의(Ship’s Doctor)로 한 달 정도 초빙을 받아서

간 적이 있었는데 생도들에게 훈시를 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해준 연설 중에 “결코 쉽게 이루지 못할 만큼 큰 꿈

을 품도록 하십시요. 그리고 그것을 빨리 실현해야 하겠다고 조바심내지 마십시오. 그러나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 결코 포기하지도 마십시오. 그러면 여러분들이 혼신의 노력을 계속하는 한 언젠가는 여러분의 꿈을 가득 실은 배

가 여러분들 앞에 다가올 것입니다.”라고 치사를 한 적이 있습니다.

이제 저도 명을 아는 나이(知命)가 되었습니다. 주변의 상황을 보면 공병호 선생님과 박현정 선생님의 자신의 계발

에 충실해서 ‘홀로서기’를 준비하라는 가르침에 많은 공감을 하게 됩니다. 또한 문용린 교수님의 ‘부유한 노

예’에 대한 견해는 습관적으로 앞만 보고 달리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20130228_045031_1a91135184c0389719f7f9cde1a69125

 

1992년 MS-DOS를 사용하는 컴퓨터로 진단방사선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dot printer로 인쇄하여 제출하기 시작해서 19

94년 Macintosh LC 475 기종으로 석사논문을 작성하고 1996년 의과대학에 HDD 1 giga bytes의 컴퓨터와 인터넷이 설

치된 이후로 3권의 노트북과 6대의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었고 분자생물학의 발달과 더불어 생명공학과 의

학의 발전으로 방대한 량의 정보가 매일 쏟아져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삶에서 본원적인

평화와 자유를 누리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와 지식은 일반인들에게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심영섭 선생님의 의

식의 문이 열리는 체험과 C. G. 융의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Man and his symbol)’이 시사하는 바는, 조성기 선생님

의 ’죽음의 수용소에서(Men’s search for meaning)’에서 “인간 존재의 무한한 뜻은 고뇌와 죽음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아우슈비츠라는 혹독한 상황에서 인간의 선(禪)적인 사유가 다다를 수 있는 깨달음의 극치

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공병호 선생님께서 “자신을 제어하는 일을 준(準)종교적인 차원까지 끌어 올리게 되면 삶 그 자체가 예술이 된

다.”고 하는 지적은 매우 공감이 갑니다.

사실 우리 모두는 영겁의 존재들이며 이미 자유롭고 구원되어 있으며 있는 그대로 모두가 깨달은 분들이기 때문입니

다.

감사합니다.

 

20130228_043733_294bf70941f2e10989cbba2c76947de9

 

8/5/‘0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